목차
없음
본문내용
대로 푸른색으로 염색되었다.
6. 고찰
이번 실험은 Gram 염색 방법과 원리를 익히고, Gram positive균(B. cereus)과 Gram negative균(E. coli)을 판별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Gram staining은 세균의 세포벽의 구조 차이를 이용하여 분류하는 기초적 세균염색법의 일종으로 C. Gram(1884)이 창안하였는데, 세균을 크게 2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우선 열 고정시킨 세균을 염기성 색소로 염색한 후, I2-KI 혼합용액으로 처리한 다음, 아세톤 또는 알코올로 탈색하여 다른 색소로 염색한다. 처음에 염색한 색소로 염색되는 것을 그람양성이라고 하고,
Gram positive균은 세포벽이 15-80nm로 두껍고, 두꺼운 peptidoglycan 층이 있다. 반면 Gram negative균의 경우에는 세포벽이 10nm로 얇고, 얇은 peptidoglycan 층과 외피 인지질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실험은 저번 실험과 달리 염색 technique이 중요했기에 몇 번의 실패를 거듭하고 나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액체 배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Heat-fix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증류수로 씻는 과정에서 균이 다 쓸려갔다. 또 탈색을 제대로 하지 않아 negative균이 positive균으로 보이는 사태도 발생했다. 고체배지를 사용했다면 실험이 좀 더 수월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7. 참고문헌
생물학 및 실험1 실험서
네이버 백과사전, 그람 염색법
네이버 백과사전, 그람 양성균
네이버 백과사전, 그람 음성균
6. 고찰
이번 실험은 Gram 염색 방법과 원리를 익히고, Gram positive균(B. cereus)과 Gram negative균(E. coli)을 판별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Gram staining은 세균의 세포벽의 구조 차이를 이용하여 분류하는 기초적 세균염색법의 일종으로 C. Gram(1884)이 창안하였는데, 세균을 크게 2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다. 우선 열 고정시킨 세균을 염기성 색소로 염색한 후, I2-KI 혼합용액으로 처리한 다음, 아세톤 또는 알코올로 탈색하여 다른 색소로 염색한다. 처음에 염색한 색소로 염색되는 것을 그람양성이라고 하고,
Gram positive균은 세포벽이 15-80nm로 두껍고, 두꺼운 peptidoglycan 층이 있다. 반면 Gram negative균의 경우에는 세포벽이 10nm로 얇고, 얇은 peptidoglycan 층과 외피 인지질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실험은 저번 실험과 달리 염색 technique이 중요했기에 몇 번의 실패를 거듭하고 나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액체 배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Heat-fix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증류수로 씻는 과정에서 균이 다 쓸려갔다. 또 탈색을 제대로 하지 않아 negative균이 positive균으로 보이는 사태도 발생했다. 고체배지를 사용했다면 실험이 좀 더 수월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7. 참고문헌
생물학 및 실험1 실험서
네이버 백과사전, 그람 염색법
네이버 백과사전, 그람 양성균
네이버 백과사전, 그람 음성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