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신건강에 대한 성격학자들의 견해
(1) 프로이드 (Freud)
가. 대상상실 불안 (Fear of loss of object)
나. 애정상실불안(Fear of loss of love)
다. 거세불안(Castration anxiety)
라. 초자아불안(Super-ego anxiety)
(2) 설리반 (Sullivan)
(3) 프롬 (Fromm)
(4) 에릭슨 (Erikson)
참고문헌
(1) 프로이드 (Freud)
가. 대상상실 불안 (Fear of loss of object)
나. 애정상실불안(Fear of loss of love)
다. 거세불안(Castration anxiety)
라. 초자아불안(Super-ego anxiety)
(2) 설리반 (Sullivan)
(3) 프롬 (Fromm)
(4) 에릭슨 (Erikson)
참고문헌
본문내용
며, 따라서 어느 한 단계의 발달도 생략되거나 소홀히 다루어질 수 없다고 보았다. 에릭슨의 이러한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에서 얻어지는 인간 정신건강의 요소들은 희망, 의지력, 목적, 능력, 충성심, 사랑, 배려, 지혜 등이다. 에릭슨이 제시하는 정신발달의 모델을 보면 그 최종 완성의 단계는 모두 인간 주체의 자아와 연관되어 있다. 자아통합의 단계에서 요구하는 인간적 특성들은 인간의 지적, 정적, 의지적 차원에서의 특성들, 곧 객관성과 애타성, 자율성이라는 정신건강의 특성들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 하경옥(2009), 보건소 활동프로그램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 김지숙(2009), 노인의 무용참가에 따른 정신건강 및 생활만족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 김지현(2009), <정신건강론>, 공동체
● 박선환(2008), <정신건강론>, 양서원
● 박용천(2005), 정신분석적 관점에서의 불안, 대한불안장애학회지 1권, 1호
● 전미리아(2004), 인간이해와 프로그램 고찰, 석사학위논문
참고문헌 ···············································································
● 하경옥(2009), 보건소 활동프로그램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 김지숙(2009), 노인의 무용참가에 따른 정신건강 및 생활만족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 김지현(2009), <정신건강론>, 공동체
● 박선환(2008), <정신건강론>, 양서원
● 박용천(2005), 정신분석적 관점에서의 불안, 대한불안장애학회지 1권, 1호
● 전미리아(2004), 인간이해와 프로그램 고찰, 석사학위논문
추천자료
정신건강론-성격학자들이 말하는 건강한 정신(성격)의 공통점
[정신건강론] 성격학자들이 말하는 건강한 성격의 공통점
정신건강에 대한 이해 (성격학자들 견해)
정신건강에 대한 성격학자들(프로이드,셜리반, 프롤, 에릭슨)의 견해에 대해 설명하시오
[정신건강에 대한 성격학자들(프로이드, 설리반, 프롬, 에릭슨)의 견해에 대해 설명]
[정신건강론]정신건강에 대한 성격학자(프로이드,설리반,프롬,에릭슨)들의 견해에 대해 설명...
[프로이드의 정신건강에 대한 견해 서술] - 정신건강의 개념, 프로이드 정신건강에 대한 견해...
정신건강에 대한 성격학자들의 견해
정신건강 성격학자들
정신건강의 개념과 정신건강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에 대해 논술해보세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