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 식물 기공의 개폐 기작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물학] 식물 기공의 개폐 기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확인하고 표와 그래프를 작성한다.
그림 1. 시험에 사용된 기구
그림 2. 분리한 표피층으로 만든 완성된 프레파라트
Ⅳ. 실험 결과
A
A용액
B
B용액
C
C용액
(2) 열린 기공의 비율
열린 개수/전체 개수
비율
A
4/20
약 20%
B
19/19
100%
C
4/9
약 44%
100
80
60
%
40
20
0
A B C
따라서 열린 기공의 개수/전체 기공의 개수의 비를 보았을 때, B가 0.5M KCl 용액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A는 0.5M MgCl, C는 증류수이다. (공변세포의 엽록체에서 광합성→공변세포의 칼륨이온의 투과성이 증가되어 칼륨 농도 증가→공변세포의 삼투압 증가→주변세포에서 수분 흡수→팽압 증가→공변세포의 부피가 팽창하면서 기공이 열림)
Ⅴ. 고찰
햇빛에 의한 광합성 작용으로 공변세포 내의 포도당 농도가 높아져서 바깥 표피세포에서 공변세포 쪽으로 물이 흡수되고(삼투현상), 팽압이 높아지면 기공이 열리고, 팽압이 낮아지면 기공이 닫힌다. 따라서 광합성을 할 수 있는 낮에 기공은 주로 열린다. 또한 잎 뒷면에 기공이 많은 이유는 균을 피하기 위해서 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공기 중에는 무수히 많은 세균이 떠다닌다. 그것들이 공기에 떠다니면서 식물의 잎에 도달하면 기공을 통하여 병을 발생시키는데 공기 중의 균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앉을 때 거의 잎의 윗면에 떨어진다. 그 때문에 피해를 줄이기 위해 뒷면에 많이 자리잡도록 진화한 것이다. 그리고 실험 중에 시금치를 암 상태에서 24시간 보관한 이유는 모든 기공을 닫기 위함이고, 15분간 주어진 빛에 의해 광합성이 되어 기공이 열린다.
  • 가격2,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4.19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01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