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환경에서도 확실한 검출을 할 수 있으며 응답속도가 빠르다.
②광학 근접 센서 : 방사기라고 불리어지는 광원과 빛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수신기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을 수신기는 포토 트랜지스터이고 방사기는 LED 이다. 위의 두 조합이 광센서를 만들고 광학 엔코더를 포함하여 많은 분야에 응용된다.
③초음파 근접센서 : 이 센서에서 초음파 방사기는 고주파수음파를 주기적으로 방사한다. 초음파 센서의 운용에는 두가지모드가 있는데 대항모드와 반향모드이다. 대항모드수신기는 방사기 앞에 위치해 있는 반면 방향모드는 수신기가 바로 다음에 있거나 방사기와 통합되어 있고 반사된 음파를 수신받는다, 만약 수신기가 수신범위안에 있거나 음파가 센서 가까이에 있는 물체의 표면에 반사된다면 그 음파가 감지되고 신호가 발생한다. 반면에 수신기가 음파를 감지하지 못하면 신호는 발생하지 않는다. 모든 초음파 센서는 방사기 표면으로부터 물체의 거리와 존재를 인지할 수 없는 사각지대를 가지고 있다. 초음파 센서는 방향모드에서 음파를 반사할 수 없는 고무나 거품같은 표면을 가진 물체에 대해서는 사용할수 없다.
④유도성 근접센서 : 금속의 표면을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센서는 페라이트 코어를 가진 코일과 발진기-검출기, 그리고 고체 상태의 스위치이다. 센서가 가까이 접근 시 금속 물체의 존재가 있으면 발진의 크기는 감소한다. 수신기는변화를 검출하고 고체 상태 승위치를 단락시케는데. 센서의 검출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다시 켜지게 된다.
⑤용량성 근접센서 : 유전체 상수가 1,2보다 큰 물체가 존재하면 반응한다. 이 경우 센서 내부의 물질은 컨덴서로서 동작하고, 센서 탐침의 전체용량 성분이 올라간다. 이것이 내부 발진기의 기동신호가 되어 출력단을 켜게 되고 출력신호를 보낸다. 즉 센서는 측정범위 내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용량성 센서는 나무, 액체, 그리고 화학재료와 같은 비금속을 검출할 수도 있다.
⑥와전류 근접센서 : 와전류는 도체의 내부에서 국부적으로 소용돌이 모양으로 닫힌 통로를 흐르는 전류로서 도체 내부를 지나는 자기력선속의 변화로 인해서 생기는 전류이다. 도체판에 직각으로 자기장을 걸어서 이것을 증가시키면 도체판에는 자기장 방향에 대하여 좌회전하는 맴돌이 전류가 생겨서 자기장의 증가를 방해하려고 한다. 또 자석을 도체판 위에서 이동시키면 맴돌이 전류가 생기며 맴돌이 전류의 자기장은 자석의 이동을 방해한다. 이원리는 전산전력계나 맴돌이 브레이크에 이용된다. 와전류 센서는 상가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보통 두 개의 코일이 있고 하나의 코일을 기준으로 자속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전도 물질이 가깝게 근접할 때 와전류는 찰O로 전도 물질에 유도되고, 첫 번째 코일 자속의 반대의 자속을 생성하나 전체 자속은 사실상 감소한다. 전체 자속의 변화는 전도 물질의 근접정도에 따라 비례적으로 변하고 두 번째 코일에 의해 측정되어 진다. 와전류 센서는 전도성물질의 존재 검출에 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물질의 두께. 틈. 공백등의 비파괴 검사에도 이용된다.
②광학 근접 센서 : 방사기라고 불리어지는 광원과 빛의 존재유무를 감지하는 수신기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을 수신기는 포토 트랜지스터이고 방사기는 LED 이다. 위의 두 조합이 광센서를 만들고 광학 엔코더를 포함하여 많은 분야에 응용된다.
③초음파 근접센서 : 이 센서에서 초음파 방사기는 고주파수음파를 주기적으로 방사한다. 초음파 센서의 운용에는 두가지모드가 있는데 대항모드와 반향모드이다. 대항모드수신기는 방사기 앞에 위치해 있는 반면 방향모드는 수신기가 바로 다음에 있거나 방사기와 통합되어 있고 반사된 음파를 수신받는다, 만약 수신기가 수신범위안에 있거나 음파가 센서 가까이에 있는 물체의 표면에 반사된다면 그 음파가 감지되고 신호가 발생한다. 반면에 수신기가 음파를 감지하지 못하면 신호는 발생하지 않는다. 모든 초음파 센서는 방사기 표면으로부터 물체의 거리와 존재를 인지할 수 없는 사각지대를 가지고 있다. 초음파 센서는 방향모드에서 음파를 반사할 수 없는 고무나 거품같은 표면을 가진 물체에 대해서는 사용할수 없다.
④유도성 근접센서 : 금속의 표면을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센서는 페라이트 코어를 가진 코일과 발진기-검출기, 그리고 고체 상태의 스위치이다. 센서가 가까이 접근 시 금속 물체의 존재가 있으면 발진의 크기는 감소한다. 수신기는변화를 검출하고 고체 상태 승위치를 단락시케는데. 센서의 검출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다시 켜지게 된다.
⑤용량성 근접센서 : 유전체 상수가 1,2보다 큰 물체가 존재하면 반응한다. 이 경우 센서 내부의 물질은 컨덴서로서 동작하고, 센서 탐침의 전체용량 성분이 올라간다. 이것이 내부 발진기의 기동신호가 되어 출력단을 켜게 되고 출력신호를 보낸다. 즉 센서는 측정범위 내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용량성 센서는 나무, 액체, 그리고 화학재료와 같은 비금속을 검출할 수도 있다.
⑥와전류 근접센서 : 와전류는 도체의 내부에서 국부적으로 소용돌이 모양으로 닫힌 통로를 흐르는 전류로서 도체 내부를 지나는 자기력선속의 변화로 인해서 생기는 전류이다. 도체판에 직각으로 자기장을 걸어서 이것을 증가시키면 도체판에는 자기장 방향에 대하여 좌회전하는 맴돌이 전류가 생겨서 자기장의 증가를 방해하려고 한다. 또 자석을 도체판 위에서 이동시키면 맴돌이 전류가 생기며 맴돌이 전류의 자기장은 자석의 이동을 방해한다. 이원리는 전산전력계나 맴돌이 브레이크에 이용된다. 와전류 센서는 상가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보통 두 개의 코일이 있고 하나의 코일을 기준으로 자속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전도 물질이 가깝게 근접할 때 와전류는 찰O로 전도 물질에 유도되고, 첫 번째 코일 자속의 반대의 자속을 생성하나 전체 자속은 사실상 감소한다. 전체 자속의 변화는 전도 물질의 근접정도에 따라 비례적으로 변하고 두 번째 코일에 의해 측정되어 진다. 와전류 센서는 전도성물질의 존재 검출에 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물질의 두께. 틈. 공백등의 비파괴 검사에도 이용된다.
추천자료
건축 의학 전기.전자 광물(돌)의 이용
[전기전자]스티키토 만들기
1교시 <방사선 이론> 전기전자공학
[예비] 전기전자실험 커패시터의 직병렬 연결
[기초 전기전자] 전류, 전압 측정
[전자전기컴퓨터설계실험3] N-Channel MOSFET 전류/전압 특성 측정 결과보고서 (About MOSFET...
[전자전기컴퓨터설계실험3] MOSFET Circuit &#8211; Basic MOSFET Circuit 결과보고서 (A...
[전기전자공학] 전동기(電動機 / electric motor), 발전기(發電機 / generator)
[전기전자 실험] 쿨롱의 법칙
[전기전자] 형광체 발광에 대해서
[전기전자 실험] 선형 연산 증폭기 회로
[전기전자 실험] DMM을 이용한 직류 전압, 저항 측정
[전기전자회로 실험] 소비전력 및 최대전력전달 실험 : 전원부로부터 부하로 최대전력이 전달...
[전기전자 기초 실험] 공통 베이(CB)스 및 에미터 플로워 트랜지스터 증폭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