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등장하는 이야기는 <주몽 신화>에서 시작하여 이성계의 이야기를 다룬 <용비어천가>에도 나타나는 전통적 서사 방식이다.
4. 작품 특징
이처럼 <왕수재>는 <거타지 설화>, <작제건> 이야기를 서사적 원척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 금기 모티프, 지하국 대적 퇴치 이야기, 인신공양 모티프 등의 모티프 등을 수용하고 있다. 또한 <주몽 신화>에서 이어져 온 활 쏘기 능력이 뛰어난 인물을 등장시킨다. 이런 영웅적 인물은 어릴 때 고난을 당하지만 탁월한 능력을 바탕으로 성공하게 되는데, ‘왕수재’ 역시 이와 유사한 길을 밟고 있다. 그러나 <주몽 신화>에서 볼 수 있는 신화적 세계관은 많이 희석되었다. ‘왕수재’는 자신의 경솔함 때문에 금기를 어겼다는 점이 신화와의 차이점이다. 즉, 신화의 인물이 보여 주는 완벽함보다는 인간적인 한계를 지닌 주인공이 등장한다.
그런데 <왕수재>의 가장 큰 특징은 민족적 자부심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용녀’는 아들을 남기고 떠나면서 “3년만 더 있었더라면 반드시 성스러운 아들을 낳아, 중국을 쓸어버리고 9주를 평정”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즉, 뛰어난 능력을 가진 인물이 날 수도 있었지만 ‘왕생’의 경솔함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이 작품의 작가는 중국 주나라와 은나라의 창업자와 마찬가지로 고려의 창업자도 기인한 사적을 남겼다고 한다. 이 역시 중국과 우리를 대등하게 바라보는 민족의식의 표현이다.
한편, 이 소설은 ‘육지(마한)’-‘바다’-‘섬’-‘육지(개성)’로 공간을 이동하면서 전개되는데, ‘바다’를 경계로 하여 소설의 전기성이 강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4. 작품 특징
이처럼 <왕수재>는 <거타지 설화>, <작제건> 이야기를 서사적 원척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 금기 모티프, 지하국 대적 퇴치 이야기, 인신공양 모티프 등의 모티프 등을 수용하고 있다. 또한 <주몽 신화>에서 이어져 온 활 쏘기 능력이 뛰어난 인물을 등장시킨다. 이런 영웅적 인물은 어릴 때 고난을 당하지만 탁월한 능력을 바탕으로 성공하게 되는데, ‘왕수재’ 역시 이와 유사한 길을 밟고 있다. 그러나 <주몽 신화>에서 볼 수 있는 신화적 세계관은 많이 희석되었다. ‘왕수재’는 자신의 경솔함 때문에 금기를 어겼다는 점이 신화와의 차이점이다. 즉, 신화의 인물이 보여 주는 완벽함보다는 인간적인 한계를 지닌 주인공이 등장한다.
그런데 <왕수재>의 가장 큰 특징은 민족적 자부심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용녀’는 아들을 남기고 떠나면서 “3년만 더 있었더라면 반드시 성스러운 아들을 낳아, 중국을 쓸어버리고 9주를 평정”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즉, 뛰어난 능력을 가진 인물이 날 수도 있었지만 ‘왕생’의 경솔함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이 작품의 작가는 중국 주나라와 은나라의 창업자와 마찬가지로 고려의 창업자도 기인한 사적을 남겼다고 한다. 이 역시 중국과 우리를 대등하게 바라보는 민족의식의 표현이다.
한편, 이 소설은 ‘육지(마한)’-‘바다’-‘섬’-‘육지(개성)’로 공간을 이동하면서 전개되는데, ‘바다’를 경계로 하여 소설의 전기성이 강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추천자료
[고전소설]'홍계월전'을 읽고
2008년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이태준, 홍석중의 황진이비교-춘향전과의관계)
고전소설사
2011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2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고전소설의 이해] 판소리<춘향가>와 오페라<피가로의 결혼>의 비교 분석 및 특징과 유사성
2013년 동계계절시험 고전소설강독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8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경판본 홍길동전과 박태원 홍길동전 비교)
[고전소설론] 몽유록의 장르 귀속 문제 교술과 서사의 경계
[한국고전소설론] 몽유록의 장르 귀속 문제 교술과 서사의 경계 [교술 몽유록 서사 몽유록]
2018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