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 설계실습] (결과) 설계실습 12. 카운터 설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 설계실습] (결과) 설계실습 12. 카운터 설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 내용 및 절차
2. 결론

본문내용

회로 >
< 결과 파형 >
8진 비동기 카운터 실습이 예상했던 것보다 난항을 겪어서 다른 빵판을 구해서 16진 비동기 카운터를 설계하였다. 위에서 보이는 것처럼 설계실습 계획서에서 설계했던 데로 회로를 구현하였는데, 생각보다는 많이 까다로웠다. 이번 실습도 앞에서와 동일하게 Clk에 스위치를 연결하여 ON/OFF로 Clk 신호를 인가해주었고, LED로 각 플립플롭의 출력을 확인해보았다.
이번 설계실습 또한 계획서에서 얻었던 결과 파형(아래서부터 Q1, Q2, Q3, Q4 순서이다)과 동일한
결과가 잘 나왔음을 확인해 볼 수 있다.
2. 결론
2007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번 실험은 설계실습 계획서에서 예상했던 결과가 아주 잘 나왔다. 물론 회로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지만 회로 결선의 문제였을 뿐, 특별히 다른 원인으로 인해 오동작하거나 어려움을 겪은 부분은 없었다.
2009
이번 실습을 통해서 JK 플립플롭을 이용한 비동기식 카운터를 직접 설계해 보고 그 동작을 눈으로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앞의 실습에서 확인해 볼 수 있는 것처럼 설계한 회로가 카운터로써 정상적인 동작을 했음을 알 수가 있었다. 하지만 안타까운 점은 비동기식 카운터를 설계했지만 우리가 한 실험으로는 비동기식으로 동작했는지 안했는지를 확인해 볼 수가 없었다는 점이다. 이는 함수발생기와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해서 각 플립플롭의 출력단에서 발생하는 Delay Time을 측정하는 과정을 통해 알 수가 있는데, 실제로 해보지 못했다는 점이 아쉽게 느껴진다. 실험을 하기 전에 이런 부분들을 조금 더 명확하게 알고 있었으면 결과를 내는 과정에서 실험의 목적에 부합하는 결과를 얻는 방법을 고민해보았을 텐데, 결과 레포트를 쓰면서 실험에 대한 이해가 완전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이 아쉽게 느껴진다. 이번 학기 실험도 거의 막바지에 접어들었는데, 다음 실험에서는 조금 더 세심하게 준비해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2009
8진 카운터와 16진 카운터 모두에서 첫번째 LED에 불이 들어오지 않았다. 카운터 크기를 늘려봐도 첫번째 LED에만 불이 들어오지 않는것은 그대로였다.
두번째 LED가 0번 세번째 LED가 1번이 되는 식으로 회로가 작동했다. 실험시간 내내 그 원인을 찾으려고 노력했지만 결국 원인을 찾을 수 없었다. 다음 실험 전까지
그 이유를 알아보고, 다음 실험에서는 제대로된 회로로 실험에 임해야겠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4.25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10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