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01 외식 프랜차이즈의 특징 03
02 독특한 외식 프랜차이즈의 사례 04
03 외식 프랜차이즈의 문제점 06
04 외식 프랜차이즈가 나아갈 방향 08
01 외식 프랜차이즈의 특징 03
02 독특한 외식 프랜차이즈의 사례 04
03 외식 프랜차이즈의 문제점 06
04 외식 프랜차이즈가 나아갈 방향 08
본문내용
다.
04.
외식 프랜차이즈가
나아갈 방향
일반적으로 ‘감독자’ 라는 뜻으로 사용하지만 프랜차이즈 산업 분야에서는 가맹점을 순회하면서 관리, 감독, 지도, 교육, 컨설팅을 해주는 사람을 말한다.
▷ 더 크고 탄탄한, 더 전문적인, ‘신뢰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
: 선진국의 프랜차이즈 산업 추세를 바탕으로 하였을 때, 앞으로 우리나라 프랜차이즈는 무분별한 소규모 점포확장을 하는 것 그 이전에 철저한 상권분석과 체계적인 운영시스템을 마련한 후에 점포당 영향권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단순히 소규모 점포운영방식으로는 장기적인 프랜차이즈산업의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없기 때문에, 너무 이른 시기에 해외시장을 노리는 것 보다는 현재의 사업 내수공사를 먼저 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며, 이것이 후에 해외시장에 진출하는데 있어서 보다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사업망을 구축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리고 프랜차이즈의 규모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부차원의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정부에서는 법망을 피해 점포를 확장하는 업체를 규제하는 것이 시행되어야 한다.
프랜차이즈와 같이 서비스가 메뉴얼화 되어있는 외식업체의 경우 소비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하며 최전선에서 일하고 있는 서브직원들의 서비스 수준이 매출을 결정짓는 큰 요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랜차이즈 패밀리 레스토랑의 경우 어느 지역을 가더라도 각 가맹점마다 메인음식의 맛과 질은 비슷하다. 하지만 소비자는 일반 레스토랑과 비교하였을 때 좀 더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 레스토랑과는 좀 더 차별화된 서비스를 기대하는 인식이 생기기 마련이다. 하지만 직원 서비스수준의 질이 낮음을 경험한 소비자는 더 이상 재구매의 의사가 없을 것이며, 같은 브랜드지만 다른 지역에 있는 가맹점 또한 기피하게 될 것이다. 이는 결국 프랜차이즈 산업 전체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마케팅 분야에서 사업체 수입의 80%는 20%의 충성스러운 소비자로부터 나온다는 이론이 있듯이, 소비자의 ‘재구매’ 의사 또한 무시 할 수 없다. 이러한 프랜차이즈 경영의 특징으로 인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그러므로 ‘서비스’ 부분에 있어 이를 관리·감독하는 슈퍼바이저(super-visor)
의 역할이 중요하다. 가맹점을 개설 하고 난 직후부터 가맹점이 운영되는 내내 정기적인 관리와 교육이 필요하며, 서비스 분야뿐만 아니라 식재료의 관리, 그리고 가맹점 주변 지역 상권이나, 점포의 물리적인 환경, 가맹점의 시스템 등에 대한 분석과 그에 맞는 조언 등을 지속적으로 해 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부정적인 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먼저 예비 창업자들이 사전에 프랜차이즈 사업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사업을 시작 할 수 있도록 교육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가맹본부와 가맹점 모두가 단순한 자신의 개인적인 ‘사업’의 개념이 아닌, ‘공정성’이 있는 기업 윤리에 입각한 경영을 펼쳐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앞서 언급했듯이 정부차원에 있어서의 관리·감독과 규제가 필요한 시점이다.
결과적으로 프랜차이즈의 발전을 위해서 가맹본부는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장기적으로 롱런 할 수 있는 철저한 시장조사 및 슈퍼바이저의 양성배출을 통해 가맹점들이 안정적인 경영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해야 하며, 가맹점 또한 보다 수준 높은 경영방침과 가맹본부와의 신뢰를 쌓아 프랜차이즈 전체 시스템 운영에 있어 서로 win-win 할 수 있는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며, 이것이 우리나라 프랜차이즈 산업이 나아가야 할 길이라 생각된다.
*
참고문헌
· 외식 프랜차이즈 창업시 업태별 선택 속성 차이 연구 | 2005 | 송병화
· 외식산업 프랜차이즈기업 본사의 조직특성과 직무특성 및 개인특성이
인적자원 소진에 미치는 영향 | 2011 | 김주연
· 한국 프랜차이즈 산업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2007 | 백금성
· 한국 프랜차이즈산업의 베트남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 2010 | 타오 티쭉하
· 한식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이
브랜드 충성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 2011 | 권태용
· 한국프랜차이즈 협회 | http://www.ikfa.or.kr
· 피자헛 ‘프레쉬 고메이 피자’ 4종 선봬 | 2005.9.27 | 파이낸셜뉴스
· 치킨 업계 \'시장 포화\'…카페형 프랜차이즈로 위기 탈출 \'모색\' | 2012.9.27 | 뉴시스
· 네이버 카페 게시글 | http://cafe.naver.com/famousfood/7537
04.
외식 프랜차이즈가
나아갈 방향
일반적으로 ‘감독자’ 라는 뜻으로 사용하지만 프랜차이즈 산업 분야에서는 가맹점을 순회하면서 관리, 감독, 지도, 교육, 컨설팅을 해주는 사람을 말한다.
▷ 더 크고 탄탄한, 더 전문적인, ‘신뢰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
: 선진국의 프랜차이즈 산업 추세를 바탕으로 하였을 때, 앞으로 우리나라 프랜차이즈는 무분별한 소규모 점포확장을 하는 것 그 이전에 철저한 상권분석과 체계적인 운영시스템을 마련한 후에 점포당 영향권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단순히 소규모 점포운영방식으로는 장기적인 프랜차이즈산업의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없기 때문에, 너무 이른 시기에 해외시장을 노리는 것 보다는 현재의 사업 내수공사를 먼저 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며, 이것이 후에 해외시장에 진출하는데 있어서 보다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사업망을 구축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리고 프랜차이즈의 규모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부차원의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정부에서는 법망을 피해 점포를 확장하는 업체를 규제하는 것이 시행되어야 한다.
프랜차이즈와 같이 서비스가 메뉴얼화 되어있는 외식업체의 경우 소비자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하며 최전선에서 일하고 있는 서브직원들의 서비스 수준이 매출을 결정짓는 큰 요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랜차이즈 패밀리 레스토랑의 경우 어느 지역을 가더라도 각 가맹점마다 메인음식의 맛과 질은 비슷하다. 하지만 소비자는 일반 레스토랑과 비교하였을 때 좀 더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 레스토랑과는 좀 더 차별화된 서비스를 기대하는 인식이 생기기 마련이다. 하지만 직원 서비스수준의 질이 낮음을 경험한 소비자는 더 이상 재구매의 의사가 없을 것이며, 같은 브랜드지만 다른 지역에 있는 가맹점 또한 기피하게 될 것이다. 이는 결국 프랜차이즈 산업 전체에 대한 소비자의 불신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마케팅 분야에서 사업체 수입의 80%는 20%의 충성스러운 소비자로부터 나온다는 이론이 있듯이, 소비자의 ‘재구매’ 의사 또한 무시 할 수 없다. 이러한 프랜차이즈 경영의 특징으로 인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그러므로 ‘서비스’ 부분에 있어 이를 관리·감독하는 슈퍼바이저(super-visor)
의 역할이 중요하다. 가맹점을 개설 하고 난 직후부터 가맹점이 운영되는 내내 정기적인 관리와 교육이 필요하며, 서비스 분야뿐만 아니라 식재료의 관리, 그리고 가맹점 주변 지역 상권이나, 점포의 물리적인 환경, 가맹점의 시스템 등에 대한 분석과 그에 맞는 조언 등을 지속적으로 해 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부정적인 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먼저 예비 창업자들이 사전에 프랜차이즈 사업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사업을 시작 할 수 있도록 교육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가맹본부와 가맹점 모두가 단순한 자신의 개인적인 ‘사업’의 개념이 아닌, ‘공정성’이 있는 기업 윤리에 입각한 경영을 펼쳐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앞서 언급했듯이 정부차원에 있어서의 관리·감독과 규제가 필요한 시점이다.
결과적으로 프랜차이즈의 발전을 위해서 가맹본부는 단기적인 수익보다는 장기적으로 롱런 할 수 있는 철저한 시장조사 및 슈퍼바이저의 양성배출을 통해 가맹점들이 안정적인 경영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해야 하며, 가맹점 또한 보다 수준 높은 경영방침과 가맹본부와의 신뢰를 쌓아 프랜차이즈 전체 시스템 운영에 있어 서로 win-win 할 수 있는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며, 이것이 우리나라 프랜차이즈 산업이 나아가야 할 길이라 생각된다.
*
참고문헌
· 외식 프랜차이즈 창업시 업태별 선택 속성 차이 연구 | 2005 | 송병화
· 외식산업 프랜차이즈기업 본사의 조직특성과 직무특성 및 개인특성이
인적자원 소진에 미치는 영향 | 2011 | 김주연
· 한국 프랜차이즈 산업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2007 | 백금성
· 한국 프랜차이즈산업의 베트남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연구 | 2010 | 타오 티쭉하
· 한식 프랜차이즈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이
브랜드 충성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 2011 | 권태용
· 한국프랜차이즈 협회 | http://www.ikfa.or.kr
· 피자헛 ‘프레쉬 고메이 피자’ 4종 선봬 | 2005.9.27 | 파이낸셜뉴스
· 치킨 업계 \'시장 포화\'…카페형 프랜차이즈로 위기 탈출 \'모색\' | 2012.9.27 | 뉴시스
· 네이버 카페 게시글 | http://cafe.naver.com/famousfood/7537
추천자료
외식산업 외식 2
[외식산업] 외식산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
외식산업 외식
국내 외식 프랜차이즈(Franchise)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외식업 프랜차이즈의 개요, 국내 및...
[외식서비스 매뉴얼] 외식매뉴얼시스템(매뉴얼의 개념과 기능, 특성, 종류)
한국 외식산업의 분류(우리나라 외식산업의 표준산업분류에 의한 분류 및 식품접객업 영업의 ...
외식산업의 소비행동과 라이프스타일(소비 및 외식행태의 변화)
[외식산업의 시장논리] 외식시장의 생성과 발전, 한국(우리나라)과 일본의 외식시장 발전논리
식생활과 외식의 라이프스타일 - 식생활의 다양한 변화(식생활의 다양화), 외식기능과 역할의...
[경제발전과 외식산업의 관계] 경제발전과 외식산업의 관련성, 경제활동 발전단계와 외식산업
[소비자의 외식패턴분석] 소비자 외식행태의 실태분석(소비자의 식생활태도 분석 및 외식소비...
[미국, 일본, 한국의 외식산업 발전과정(외식산업의 역사, 외국과 우리나라의 외식산업 발전...
(외식산업의이해 공통) 1.본인이 최근 1주일동안 <외식활동> 했던 내용을 1일차에서 7일차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