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살인도 마다않는 호르헤의 집착은 모든 것을 중심과 주변으로 이분화 하여 주변을 억압함으로 전자의 정당성을 강화시킨 서구의 형이상학과 문화가 보여주는 정신주의를 상징한다. 윌리엄은 이에 위와 같은 자들이 진짜 이단자요 적그리스도라고 비판한다. 호르헤가 눈이 먼 사람인 것은 말과 진리에 눈이 멀어버렸고, 닫힌 세계 속에서 아무것도 제대로 보지 못하는 인물인 것을 인물의 형상화로 볼 수 있다. 반면 문화연구적 영화읽기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총체적 분석보다 놓치기 쉬운 디테일에 주목하면서 이를 다양한 관점과 이론으로 연결시켜 작품 해석의 폭을 넓힌다. 본론에서 영화를 동성애 이론 및 맑시즘, 프로이드와 라깡의 정신분석학 이론 및 타자 이론, 기호체계이론과 제도이론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런 여러 가지 접근 방식은 어떤 것을 버리고 어떤 것을 취하기보다는 이들을 적재적소에 필요한 접근을 시도하는 유연함이 필요하다. 다시 말하면 문학적 읽기, 문화적 읽기를 같이 취하여 최상의 비평에 도달할 훈련이 필요한 것이다. 영화는 소설에 비해 담론이 줄고 시각적 효과가 이를 보충한다는 이스트호프의 말을 염두에 두고 본 영화에 대한 독창적이고 자유로운 읽기를 제안해 본다.
키워드
추천자료
남북한 식생활문화의 차이
한국과 미국 언론의 문화 보도 비교
광고 언어문화에 관하여
신문화사 -『고양이 대학살』을 중심으로
기독교와 사이버 문화
정여립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일고찰
김동인문학의 비교문학적 고찰
국사 지워진 이름 정여립, 정여립 (논문)
문학교육의 목표설정 및 사회문화적 미디어적 능력
개화기 시조의 전통성과 근대성 연구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 문학적 글쓰기, 학문적 글쓰기, 글쓰기의 가치, 의미, 과정, 진술방식...
[서평] 문화로 보면 다른 역사가 보인다 -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인가?, ‘문화로 보...
전래동화(전승동화) 필요성, 전래동화(전승동화) 세계관, 전래동화(전승동화) 기능, 전래동화...
원왕생가 문학적해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