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원론-_여기과제]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마케팅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케팅원론-_여기과제]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마케팅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기업의 사회적 책임
1.CPR(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2.사회적 책임문제와 대두배경


Ⅲ. 기업의 사회적 책임 유형
1. 기업과 주주의 이익 극대화를 지향하는 유형
2. 기업 내 관계자의 이해관계를 존중하는 유형
3. 소비자층의 이익을 보호하는 유형
4. 기업의 장기존속을 중시하는 유형
5. 민주사회에서의 책임을 강조하는 기업의 유형
6. 사회 ․ 문화적 가치 실현을 위한 책임을 강조하는 기업의 유형

Ⅳ.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마케팅 사례
1. 보람상조
2. KT ․ 삼성전자
3. 현대 ․ 기아 자동차 ․ 도요타
4. 삼성전자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002년부터 중국의 북경대, 칭화대, 복단대 등 중점대학 박사, 석사, 학부생등 에게 ‘삼성 장학금’을 지급해 주고 있다.
자료 출처1) 자료출처
* http://www.samsung.co.kr/index.jsp (삼성그룹 홈페이지)
* http://www.samsunglove.co.kr(삼성사회봉사단 홈페이지)
* http://culture.samsungfoundation.org/ (삼성문화재단 홈페이지)
* http://welfare.samsunglife.com/ (삼성생명 공익재단 홈페이지)
* http://welfare.samsungfoundation.org/ (삼성 복지 재단 홈페이지)
* 삼성 사회공헌 백과 (책자)
3. 현대 기아 자동차 도요타 - 2010.04.05 서울신문 p.10
일본 도요타의 리콜 사태를 계기로 자동차 업계의 ‘고객 접대’가 사뭇 달라지고 있다. 그동안 독점적 지위와 브랜드 파워 등에 힘입어 일방적 서비스를 베풀던 고객관리 태도에서 벗어나 고객의 입장에서 안전과 요구를 만족시키려고 한다. 현대기아차는 ‘안전성 강화 모델’을 새롭게 내놓고 에어백이 기본사양으로 확대되는 등 안전사양을 높이며 동시에 가격까지 할인하는 드문 서비스를 보였다. 도요타는 비교 시승행사를 열며 안전성의 의혹을 푸는데 앞장서며 동시에 저금리 할부혜택, 10만km 무상점검 서비스까지 실시한다.
도요타의 리콜 사태가 있은 후, 자동차 업계의 재빠른 후속 처치가 눈에 띄는 사례다. 고객의 입장에서 생명이 연관될 수 있는 자동차의 안전성과 부담이 되는 가격 등을 조정하면서, 고객의 만족을 높인 사례로 볼 수 있다. 이 사례도 또한 세 번째 유형인 소비자층의 이익을 보호하는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4. 삼성전자 - 2010. 03. 26 서울신문 p.9
삼성전자는 ‘신수종 사업’으로 그린 에너지와 헬스케어를 지목했다. 그린에너지는 차세대 전지와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을, 헬스케어는 바이오기술(BT)과 정보기술(IT)이 맞물린 첨단의료기기 등을 말한다. 이와 같은 방침은 ‘삶의 질 향상’을 꾀하는 사회 문화적 발전을 도모한다. 선진국이 장악하고 있는 바이오 신약 시장보다 더 효과적인 상품을 내놓을 수 있을 수 있는 전망으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한다.
삼성전자는 그린 에너지와 헬스케어 사업을 통해서 국가 경쟁력 제고는 물론 세계적인 문화 발전을 꾀한다. 물론 아직 본격적인 사업에 들어선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계획이 현재 구체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이러한 계획이 현실이 된다면 문화적 가치 실현을 하며 사회적 책임을 충분히 지는 훌륭한 기업으로 다시 한 번 인지 될 것이다. 사회 문화적 가치 실현을 하는 훌륭한 사례라고 손꼽을 수 있다.
Ⅴ. 결론
성공하려는 기업은 건강한 사회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교육 헬스케어 동등한 기회 환경과 자연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은 기업의 생산성을 더욱 제고시켜준다. 또한 좋은 정부 법 정당한 권리도 효율성과 혁신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건강한 사회가 만들어지려면 먼저 사회적 책임이라는 것이 기초가 되어야 한다. 즉, 성공적인 기업은 사회적 책임이 뒷받침되어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왜 이와 같이 필수적인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기업이 나오는 걸까? 필자는 이렇게 생각했다. 첫째, 사회가 가져다주는 이득을 모른 채 개인 혹은 기업의 이익 도모만이 발전을 이끈다는 어리석은 생각 때문이다. 정말 기본적인 기업과 사회의 관계에 무지하다고 밖에 설명이 안 된다. 둘째, ‘과시적 자선’만 행하기 때문이다. 사회를 생각한 것이 아닌 단지 기업의 이미지 제고차원에서 겉으로만 사회적 책임을 지다가 결국 본색이 드러나 사회적 책임을 져버린다. 결국 사회적 책임은 기업의 이미지로 밖에 안 본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그저 생산성과 능력으로 성공하는 기업의 시대는 끝났다. 사회라는 유기적이고 복잡하게 얽혀있는 커다란 그물 안에서 기업은 혼자 성공할 수 없다. 21세기에서는 기업이 모든 이해관계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 기초가 되어야 성공할 수 있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무지하게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한다면 시대에 뒤떨어지며 경쟁력이 없는 기업으로 도태될 뿐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건강한 사회 - 이것이 앞으로 지향해야 할 성공적인 기업의 키워드이다!
참고문헌
1.삼성 관련 자료
* http://www.samsung.co.kr/index.jsp (삼성그룹 홈페이지)
* http://www.samsunglove.co.kr(삼성사회봉사단 홈페이지)
* http://culture.samsungfoundation.org/ (삼성문화재단 홈페이지)
* http://welfare.samsunglife.com/ (삼성생명 공익재단 홈페이지)
* http://welfare.samsungfoundation.org/ (삼성 복지 재단 홈페이지)
* 삼성 사회공헌 백과 (책자)
* 아름다운 세상 만들기 2006년 가을호 (삼성 사회봉사단 홍보책자)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22&article_id=0000185899§ion_id=001&menu_id=001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18&article_id=0000295118§ion_id=101&menu_id=101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21&article_id=0000163911§ion_id=101&menu_id=101
(삼성과 첼시의 스폰서 계약 관련 뉴스)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31&article_id=0000077057§ion_id=101&menu_id=101
김주란황장선, 「국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CSR) 전략 및 메시지 전략, 크리에이티브 전략 분석『한국언론학보』, 3호, 2008, pp.76-97
  • 가격2,4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4.29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18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