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서사에 의미 있는 작품 분석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나의 서사에 의미 있는 작품 분석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장르에 대한 전반적 특성
3. 작품 줄거리 및 분석
1) 작품 줄거리를 통한 분석
2) 작품 속 상징적 의미
4. 작품에 대한 개인적 감상
5. 다시 쓰는 <해와 달이 된 오누이>
6.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는 이상한 낌새를 채고 문을 열어주지 않는다. 호랑이는 갖은 꾀를 써서 마침내 방 안으로 들어가 오누이를 잡아먹으려고 한다. 이에 두 오누이는 겨우 도망쳐 우물가 큰 나무 위로 피신한다. 이들을 쫓아온 호랑이는 처음에는 오라비 말대로 참기름을 바르고 나무에 오르려다 실패하고, 그 다음에는 누이가 일러 준 대로 도끼로 나무를 찍으며 올라갔다. 남매는 하늘에 금 동아줄을 내려 달라고 기원하여 드디어 하늘로 올라갔는데, 호랑이에게는 썩은 줄이 내려와 그것을 잡고 오르던 호랑이는 떨어져 죽고, 호랑이의 피가 수숫대에 묻어 붉게 되었다. 하늘에 오른 남매는 해와 달이 되었는데, 누이가 밤이 무섭다 하여 오라비와 바꾸어 해가 되었다. 사냥꾼과 산을 헤매다 뒤늦게 도착한 어머니는 오누이가 없어진 사실을 알고 통곡을 한다. 며칠을 아무것도 먹지 않고 울기만 하던 어머니가 가여워 하늘은 다시 오누이를 땅으로 돌려보내준다. 금 동아줄을 받은 오누이는 어머니와 사냥꾼 새아버지와 넉넉하고 행복하게 산다.
6. 결론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장르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 작품이 갖는 보편적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 작품이 주는 의미를 나의 서사를 통해 고찰해보았다. 그런 다음 이를 바탕으로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나의 시각에서 각색했다. 새로운 시각에서의 각색을 통해 내가 떨어져 지내고 있는 나의 남동생에 대한 애틋함이 상상한 것 이상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나의 시각에서 새롭게 각색된 <해와 달이 된 오누이>는 사랑하는 남동생과 함께 지내고 싶은 나의 염원과 어머니의 부재를 인정할 수 없는 나의 생각이 담겨있다.
우리 설화 <해외 달이 된 오누이>는 지금까지 우리가 알지 못했던 수많은 가능성이 있을 수 있고, 우리의 서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이야기도 적지 않을 것이다. 다만 그 많은 이야기들이 단순히 아이들의 교육수단 정도로만 취급되는 것은 매우 아쉬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과제를 통해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2차적 창작물로서의 시도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가 새로운 시도를 한다면 우리의 이야기들의 가치는 지금보다 훨씬 커질 수 있을 것임을 알게 되었다.
※ 참고문헌
김기창, 최운식, 『전래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1998
이부영, 『韓國民譚의 深層分析(한국민담의 심층분석)』,, 집문당, 1995.
두레학술, 『國語學 硏究資料論選(국어학 연구자료논선)』, 두레학술, 2007.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4.30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19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