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륜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륜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작품의 소개
 2. 이 작품의 보편적 의미
  1) 작자
  2) 작품분석
  3) 작품의 배경 및 서사
 3. 이 작품이 내게 갖는 의미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친도 있지만, 장유유서 같다. 위에서 잠깐 언급했듯이 지하철에서 한 남성이 노인에게 욕을 하며 폭력을 휘두르고, 청소부 아줌마라고 사람을 깔보고 함부로 막 대하면서, 심지어 거리낌 없이 심한 욕설을 퍼부을 정도로 인성이 파괴된 사람은 명문대에 들어간 학생이라고 인간 자체도 명문이 되는 건 아니라는 걸 분명히 말해 준 사건이었다. 세상에는 꼭 주먹으로 맞아야만 이뤄지는 폭력이 있는 게 아니다. 언어폭력 역시 직접적인 폭력 이상으로 피해자에게 매우 심한 수치심과 모멸감을 줄 수 있다. 자신의 딸 정도 되는 여자에게서 미친년 소리를 대놓고 들으셔야 했던 그 아주머니가 얼마나 황당하고 분하셨을지... 내가 당사자라도 된 듯 더 화가 났다. 내가 초등학교,중학교까지만 해도 공공장소에서 시끄럽게 떠든다든가, 잘못을 하게 되면 주위에 있던 어른들이 야단까지는 아니더라도 잘못된 행동이라고 말씀해주셨다. 하지만, 요즘에는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일절 그런 행동을 하지 않는다.
오륜의 5가지 덕목인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형제우애, 장유유서는 중, 고등학교 국어, 윤리 시간에 많이 들어보았던 단어들이다. 이 다섯 가지를 달달 외던 기억이 나는데 그 때는 마냥 좋고 옳은 내용이었다. 하지만 동양의 유교적 산물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이 삼강오륜은 예전 그대로이기보다 지금 현대 사회의 시각에 비추어 살펴보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가족의 사랑에 대한 부자유친, 형제우애와 윗사람 아랫사람에 관계에 대한 장유유서는 인간의 올바른 이치이며 당연한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이 시의 제 3장과 4장에 나오는 부부유별이나 군신유의이란 내용은 다시 한 번 생각해 봐야 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무조건 남편을 떠받치는 일은 조선시대도 아니고 요즘 시대와는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
3. 결론
이 작품은 요즘 시대에 굉장히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는 작품이라 생각한다. 누구나 다 알고는 있지만 행하지는 못하는 오륜을 깊이 새겨두어야 할 것이다. 하루하루 지날 때 마다 끔찍한 사건·사고들이 발생하지만, 이 작품을 다시 한 번 읽어보고 현재의 잘못된 삶을 반성하며 뉘우치면 올바른 삶을 살아가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최재강(1997). <사림의 향촌생활과 시가문학>. 『국학자료원』.
전재강(2006). <사대부시조 작품론>. 『새문사』.
배규범, 주옥파(2010). <한국고전문학사>.『하우』.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5.01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4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