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피커 사이를 약간 떨어뜨린다. 그리고 피스톤을 제거하여 양쪽이 열린 관이 되게 하여 실험을 한다.
② 1kHz의 스위치를 누르고 진폭스위치를 돌려 함수발생기의 주파수 단위를 작게 하고 출력 주파수를 n=3인 공명진동수가 되게 맞추고 이 주파수가 열린 관에서 공명진동수인지 확인한다.
③ 프로브 가로대 끝에 마이크를 장치한 다음, 스피커/마이크 받침대에 있는 구멍을 통해 이 마이크를 관 안으로 집어넣는다. 기다란 관 아래로 마이크를 이동시키며 오실로스코프의 신호가 최대가 되는 지점과 최소가 되는 지점에 주목한다. 이들 지점을 표에 기록한다. 관의 열린 끝 가까이에 발생한 파동의 특성에 특히 유의 한다.
④ 위의 실험 결과를 가지고 X축을 거리고 하고, Y축을 소리의 압력으로 하는 정상파의 모양을 그려라.
⑤ X축을 거리로 하고 Y축을 소리의 압력(오실로스코프의 신호)으로 하는 정상파의 모양을 가지고 X축을 거리로 하고 Y축을 음파의 진폭으로 하는 정상파를 그려라.
⑥ 공명진동수와 그래프에서 구한 파장을 이용하여 음파의 속도를 구하고, 이론적인 음파 속도(340m/s)와의 퍼센트오차를 계산하라.
⑦ 다른 공명진동수의 경우에도 위의 실험과정을 반복해 보자.
② 1kHz의 스위치를 누르고 진폭스위치를 돌려 함수발생기의 주파수 단위를 작게 하고 출력 주파수를 n=3인 공명진동수가 되게 맞추고 이 주파수가 열린 관에서 공명진동수인지 확인한다.
③ 프로브 가로대 끝에 마이크를 장치한 다음, 스피커/마이크 받침대에 있는 구멍을 통해 이 마이크를 관 안으로 집어넣는다. 기다란 관 아래로 마이크를 이동시키며 오실로스코프의 신호가 최대가 되는 지점과 최소가 되는 지점에 주목한다. 이들 지점을 표에 기록한다. 관의 열린 끝 가까이에 발생한 파동의 특성에 특히 유의 한다.
④ 위의 실험 결과를 가지고 X축을 거리고 하고, Y축을 소리의 압력으로 하는 정상파의 모양을 그려라.
⑤ X축을 거리로 하고 Y축을 소리의 압력(오실로스코프의 신호)으로 하는 정상파의 모양을 가지고 X축을 거리로 하고 Y축을 음파의 진폭으로 하는 정상파를 그려라.
⑥ 공명진동수와 그래프에서 구한 파장을 이용하여 음파의 속도를 구하고, 이론적인 음파 속도(340m/s)와의 퍼센트오차를 계산하라.
⑦ 다른 공명진동수의 경우에도 위의 실험과정을 반복해 보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