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나사를 돌렸을 때 나사가 진행하는 방향이며 원형을 그리며 토로이드를 돌게 된다.
토로이드는 회로에서 인덕터로 사용하게 되어 유도리액턴스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토로이드는 솔레노이드보다 높은 인덕턴스(단위 헨리H)를 갖는다. 보통 인덕턴스를 높이기 위해 높은 자기투자율을 가진 물질을 중심에 넣는다. 또한 토로이드를 변형하여 토카막을 만들며 핵융합장치로 이용한다.
( 참고 : 대학물리학2 - 북스힐, 인터넷 검색 )
3. 실험장치
2개의 연결단자, 자기센서와 자기장 측정기, 전류공급장치, 광학지지대, 직선도선, 원형도선, 솔레노이드, 토로이드
4. 실험방법
2) 솔레노이드에서의 자기장
① 그림 4(a)와 같이 전류공급장치, 자기센서, 솔레노이드 등의 실험장치를 설치한다.
② 자기센서를 영점 조절한다.
③ 자기센서의 높이가 솔레노이드의 원 중심에 위치하게 한다. 그리고 자기센서를 이동시켜서 솔레노이드 길이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게 한다.
④ 전류공급장치에서 전류를 0A에서 3.2A까지 0.4A 간격으로 증가시키면서 측정한 자기장의 세기를 표에 기록한다.
⑤ 축을 전류, 축을 자기장의 세기로 하는 그래프를 그려라. 이 그래프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구하고 이론적으로 계산한 기울기에 대한 오차를 구한다.
⑥ 전류가 2A일 경우에 자기센서를 솔레노이드의 중심(0cm)에 위치시켜 놓는다. 그리고 자기센서를 2cm
간격으로 바깥쪽으로 증가시키면서 자기장을 측정하며 솔레노이드 내부에만 자기장이 존재함을 알아보고 그림을 그려 보자.
⑦ 그림 4(b)와 같이 솔레노이드를 토로이드로 교체하여 ④에서 ⑤까지의 실험을 반복해보자.
토로이드는 회로에서 인덕터로 사용하게 되어 유도리액턴스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토로이드는 솔레노이드보다 높은 인덕턴스(단위 헨리H)를 갖는다. 보통 인덕턴스를 높이기 위해 높은 자기투자율을 가진 물질을 중심에 넣는다. 또한 토로이드를 변형하여 토카막을 만들며 핵융합장치로 이용한다.
( 참고 : 대학물리학2 - 북스힐, 인터넷 검색 )
3. 실험장치
2개의 연결단자, 자기센서와 자기장 측정기, 전류공급장치, 광학지지대, 직선도선, 원형도선, 솔레노이드, 토로이드
4. 실험방법
2) 솔레노이드에서의 자기장
① 그림 4(a)와 같이 전류공급장치, 자기센서, 솔레노이드 등의 실험장치를 설치한다.
② 자기센서를 영점 조절한다.
③ 자기센서의 높이가 솔레노이드의 원 중심에 위치하게 한다. 그리고 자기센서를 이동시켜서 솔레노이드 길이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게 한다.
④ 전류공급장치에서 전류를 0A에서 3.2A까지 0.4A 간격으로 증가시키면서 측정한 자기장의 세기를 표에 기록한다.
⑤ 축을 전류, 축을 자기장의 세기로 하는 그래프를 그려라. 이 그래프를 이용하여 기울기를 구하고 이론적으로 계산한 기울기에 대한 오차를 구한다.
⑥ 전류가 2A일 경우에 자기센서를 솔레노이드의 중심(0cm)에 위치시켜 놓는다. 그리고 자기센서를 2cm
간격으로 바깥쪽으로 증가시키면서 자기장을 측정하며 솔레노이드 내부에만 자기장이 존재함을 알아보고 그림을 그려 보자.
⑦ 그림 4(b)와 같이 솔레노이드를 토로이드로 교체하여 ④에서 ⑤까지의 실험을 반복해보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