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크기는 코일을 지나는 자속의 시간적 변화율과, 코일의 감은 수에 비례한다." - 코일을 많이 감을수록, 자석을 빨리 넣었다 뺄수록 유도전류는 증가한다.◆ 패러데이의 전자기유도법칙에서는 유도전류의 크기에 대해서만 언급 하였고 유도전류의 방향에 관한 언급한 것은 렌쯔의 법칙임
(2) 렌츠의 법칙(1834) :유도전류의 방향에 관한 법칙, (청개구리 법칙)① 코일을 지나는 자기력선속이 변할 때 유도되는 전류는, 그 자기력선속(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 향으로 흐르게 된다. 변화 방해⇒ 현상태 유지(관성)② N극을 코일에 접근시키면 coil을 지나는 자기력선 증가.
(참고 : 인터넷 검색, 대학물리학2 - 북스힐 )
3. 실험장치
1차코일(유도코일의 지름 = 7cm, 감은 수 = 1000회, 길이=50cm), 2차코일 세트(유도코일의 지름 = 2cm, 감은 수 = 600회, 길이 = 30cm : 유도코일의 지름 = 3cm, 감은 수 = 600회, 길이 = 30cm : 유도코일의 지름 = 4cm, 감은 수 = 600회, 길이 = 30cm : 유도코일의 지름 = 4cm, 감은 수 = 1000회, 길이 = 30cm : 유도코일의 지름 = 4cm, 감은 수 = 1500회, 길이 = 30cm), 함수발생기(또는 교류전원공급장치), 멀티미터, 연결선
4. 실험방법
① 멀티미터, 함수발생기와 1차코일과 2차코일(유도코일의 지름 = 4cm, 감은 수 = 600회, 길이 = 30cm)을 그림 2와 같이 연결한다.
② 1차코일에 함수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교류전압(주파수 = , ( = 20mA)을 인가한다. 측정되는 전류의 값은 rms값이다.
③ 1차코일에 의해 2차코일에 상호유도되는 기전력을 측정하고 이론적으로 계산한 유도기전력과 비교하라. 측정되는 기전력은 이다.
④ 주파수가 인 1차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 ()를 변화시키면서 ③의 실험을 반복한다.
⑤ 1차코일에 일정한 주파수와 일정한 전류를 가진 교류신호(주파수 = , = 60mA)를 인가한다.
⑥ 원의 지름이 4cm인 코일의 감은 수를 변화시켜 가면서 2차코일에 유도되는 기전력 ()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코일에 감긴 횟수와 유도전압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려 보고 분석해 보자.
⑦ 감은 횟수가 600회인 유도코일의 반지름을 변화시켜 가면서 2차코일에 유도되는 기전력()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도코일의 반지름과 유도전압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려 보고 분석해 보자.
(2) 렌츠의 법칙(1834) :유도전류의 방향에 관한 법칙, (청개구리 법칙)① 코일을 지나는 자기력선속이 변할 때 유도되는 전류는, 그 자기력선속(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 향으로 흐르게 된다. 변화 방해⇒ 현상태 유지(관성)② N극을 코일에 접근시키면 coil을 지나는 자기력선 증가.
(참고 : 인터넷 검색, 대학물리학2 - 북스힐 )
3. 실험장치
1차코일(유도코일의 지름 = 7cm, 감은 수 = 1000회, 길이=50cm), 2차코일 세트(유도코일의 지름 = 2cm, 감은 수 = 600회, 길이 = 30cm : 유도코일의 지름 = 3cm, 감은 수 = 600회, 길이 = 30cm : 유도코일의 지름 = 4cm, 감은 수 = 600회, 길이 = 30cm : 유도코일의 지름 = 4cm, 감은 수 = 1000회, 길이 = 30cm : 유도코일의 지름 = 4cm, 감은 수 = 1500회, 길이 = 30cm), 함수발생기(또는 교류전원공급장치), 멀티미터, 연결선
4. 실험방법
① 멀티미터, 함수발생기와 1차코일과 2차코일(유도코일의 지름 = 4cm, 감은 수 = 600회, 길이 = 30cm)을 그림 2와 같이 연결한다.
② 1차코일에 함수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교류전압(주파수 = , ( = 20mA)을 인가한다. 측정되는 전류의 값은 rms값이다.
③ 1차코일에 의해 2차코일에 상호유도되는 기전력을 측정하고 이론적으로 계산한 유도기전력과 비교하라. 측정되는 기전력은 이다.
④ 주파수가 인 1차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 ()를 변화시키면서 ③의 실험을 반복한다.
⑤ 1차코일에 일정한 주파수와 일정한 전류를 가진 교류신호(주파수 = , = 60mA)를 인가한다.
⑥ 원의 지름이 4cm인 코일의 감은 수를 변화시켜 가면서 2차코일에 유도되는 기전력 ()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코일에 감긴 횟수와 유도전압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려 보고 분석해 보자.
⑦ 감은 횟수가 600회인 유도코일의 반지름을 변화시켜 가면서 2차코일에 유도되는 기전력()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도코일의 반지름과 유도전압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려 보고 분석해 보자.
추천자료
(결과) 교류회로 소자의 특성
[관광정책]남북관광 교류협력을 위한 관광정책의 활성화 방안
RLC 회로를 이용한 교류 임피던스 측정 실험
전기 전자 공학 개론 3장 - 교류회로
[일반물리 실험] 2-7. RLC 교류회로 결과보고서
[물리보고서] 2-7. RLC 교류회로
[일반물리학실험] (예비) 교류회로
한일기술정책, 한일경제발전, 한일지방정부, 한일방위교류, 한일기본조약, 한일정상회담, 한...
R-L, R-C (RLC) 교류회로 측정
[물리실험] 기전력측정 : 기전력을 알고 있는 표준전자와 습동전위차계 (slide wire potentio...
[실험보고서] 기전력측정에 의한 용해도적 결정 (EMF measurement of Ksp) : 표준 전극전위와...
일반물리실험 -RLC로 이루어진 교류회로에서의 임피던스
[기초회로실험] (예비 + 결과) - 교류회로 소자
기초전기전자 - 함수 발생기(Function Generator)와 오실로스코프(CSC)를 이용한 교류파형 측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