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쥐팥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콩쥐팥쥐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① 계모가 콩쥐를 구박할 수밖에 없는 이유
㉠ 친어머니의 본성적 모성애와 자애로움
㉡ 콩쥐를 돕는 초인적인 힘과 계모의 피해의식
㉢ 부친의 우유부단과 무관심
➁ 콩쥐 행동에 대한 견해와 콩쥐의 변화
➂ 심리적 관점으로 살핀 <콩쥐팥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절될 때 보장받을 수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듯하다.
3. 결론
필자는 콩쥐의 친어머니는 계모와는 대조되는 인물로 지극히 선하고 자애로운 모성애를 지닌 사람이다. 그러나 친어머니에 대한 좋은 추억이 오히려 콩쥐의 장래를 망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계모가 선천적인 악독함보다는 후천적인 요인에 의해서 악해질 수밖에 없었던 요인으로 콩쥐를 돕는 초인적인 힘과 계모 자신의 열등감과 소외감, 남편의 우유부단하고 무관심한 태도가, 계모가 콩쥐를 학대하게 하는 촉진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계모는 전형적인 악의 화신으로만 다루어져 왔으나 필자는 계모야 말로 사회적이고 인식적인 피해자라고 생각한다. 또한 주변 인물들의 편견이 계모로 하여금 콩쥐를 학대하는 못된 악녀로 만들었고 계모 역시 그러한 인식적 한계를 뛰어 넘지 못하고 희생되고 마는 불쌍한 여자고 모성본능을 가진 평범한 어머니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도 우리에게 콩쥐는 악한 계모의 모함을 받아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고에서 살핀 바를 보면 계모도 평범한 어머니이자 한 여자이고 동시에 콩쥐 역시 착하고 선한 딸만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콩쥐를 개인으로 따로 살펴보았을 때 콩쥐는 자신이 당하고 있다는 피해자적인 상황을 극대화함으로써 계모를 박해자의 입장에 견고하게 뿌리내리게 하고, 능력 없음을 가녀린 모습으로 포장하여 능력 없음에 대한 질책을 피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죽음이라는 파국을 경험하면서, 이전의 삶을 완전히 무너뜨리고 새로운 삶을 시작하면서 의존과 무기력이라는 우울증적인 성향에서 벗어나 자립과 활동력을 지닌 인물로 탈바꿈한다. 이상으로 우리들은 콩쥐가 실은 의존과 무기력이라는 우울의 늪을 헤쳐 나오던 소녀였으며, 그 늪을 빠져나온 뒤에는 더욱 성숙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심리적인 관점에서 <콩쥐팥쥐>를 재해석 해보면, 콩쥐와 팥쥐는 별개의 두 인물이 아니라 한 인물의 서로 다른 인격으로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콩쥐와 팥쥐의 이름에 각 ‘콩’과 ‘팥’이라는 유사성이 있는 두 개의 단어가 쓰임을 근거로 들 수 있다. ‘집’과 ‘어머니’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계모에게 종속된 팥쥐는 고착된 미숙한 자아이며 동시에 콩쥐의 그림자라고 볼 수 있으며 감사도 단지 직업을 나타내는 명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콩쥐’와 ‘팥쥐’라는 두 개의 인격을 분별해내는 사람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강미정, 韓國古典硏究, 우울증 서사로 보는 <콩쥐팥쥐>·<상사뱀>·<고분지통>, 2007.12
김중술, 이한주, 한수정, 서울대학교 출판부, 『사례로 읽는 임상심리학』, 2003
노제운, 민족어문학회, 한국 전래동화의 원형(原形)과 변용에 관한 연구:「콩쥐팥쥐」 이야기를 중심으로, 2009.4
백수근, 전주대대학원, 계모형 고소설의 갈등구조와 인물 연구, 2004
유명희, 경희대 교육대학원, 「장화홍련전」과 「콩쥐팥쥐전」에 나타난 계모의 성격연구, 2004.
Aaron T. Beck, 원호택 외 공역, 학지사, 『우울증의 인지치료』, 2001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5.02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