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해당 사회복지시설의 역할과 기능
2. 사회복지시설 조직의 설립형태
3. 현 사회복지시설의 운영상의 문제점
4. 소감문
2. 사회복지시설 조직의 설립형태
3. 현 사회복지시설의 운영상의 문제점
4. 소감문
본문내용
눔회의 아동들의 정책제안이 접수되어 아동복지법이 재개정되고 법률안 마련 등의 법제화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또, 중앙지역아동정보센터가 정착한 후 전문적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나아가서 한국 최초의 사랑의 음식나눔은행과 푸드 마켓 운영, 지역사회복지 자원을 지역사회 안에서 구축하여 지역복지력을 강화하고 있다. 빈곤아동 가족의 지원체계인 지역아동센터체계를 강화하기위해 일자리 파견 사업을 위한 기업참여(3년간 39억: SK)를 추동하고, 농어촌과 청소년을 위한 특별사업을 위해(3년간 100억: SKT) 기금을 조성하게 되었다. 특별히 이 기금은 복지부와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와의 공동 협약 혹은 위탁과 주후예산 배정 등을 이루는 계기가 되어 거시체계로써의 국가의 참여와 중간체계인 기업과 민간단체와 미시체계인 빈곤아동과 청소년과 가족을 위한 기업과 정부 민간단체의 공동참여와 살아있는 지역복지력을 구축하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강명순, 이경림, 김성경 지음, 지역아동센터의 이해와 실제, 학지사, 2010
이태수, 김성경, 이경림 지음, 지역아동센터의 현주소, 공동체, 2009
부스러기사랑나눔회(http://www.busrugy.or.kr/)
또, 중앙지역아동정보센터가 정착한 후 전문적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나아가서 한국 최초의 사랑의 음식나눔은행과 푸드 마켓 운영, 지역사회복지 자원을 지역사회 안에서 구축하여 지역복지력을 강화하고 있다. 빈곤아동 가족의 지원체계인 지역아동센터체계를 강화하기위해 일자리 파견 사업을 위한 기업참여(3년간 39억: SK)를 추동하고, 농어촌과 청소년을 위한 특별사업을 위해(3년간 100억: SKT) 기금을 조성하게 되었다. 특별히 이 기금은 복지부와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와의 공동 협약 혹은 위탁과 주후예산 배정 등을 이루는 계기가 되어 거시체계로써의 국가의 참여와 중간체계인 기업과 민간단체와 미시체계인 빈곤아동과 청소년과 가족을 위한 기업과 정부 민간단체의 공동참여와 살아있는 지역복지력을 구축하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강명순, 이경림, 김성경 지음, 지역아동센터의 이해와 실제, 학지사, 2010
이태수, 김성경, 이경림 지음, 지역아동센터의 현주소, 공동체, 2009
부스러기사랑나눔회(http://www.busrugy.or.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