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원) 심부전case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대학원) 심부전cas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환자정보
◎ Identifying date
◎ P.I(Present Illness)2012.12.03
◎ Past history
◎ C.C(Chief Complaint)
◎ ROS
◎ F.H(Family History)
◎ Social History
smoking(-)
◎ Physical Exam
◎ Impression/Differetial diagnoses
◎ Assessment
◎Differetial diagnoses
1. Diagnostic study
1)Chest X-ray : Enlarged Heart Chamber
2)Routine lab.
3)ECG
3) Echocardiography
4) BNP ; 1804
◎ Management plan/Management
심부전 평가를 위한 병기설정/병기에 따라 권장되는 치료


2.Therapeutic plan
1)HR control : DGX 0.25mg iv(target HR 100회)
2) anticoagulation start ; heparin+wafarin
3) lasix 1A, aldacton 0.5t qd
4)sBP 100이상 되면 ARB 0.5T QD&dobutamin tapering 시도

3.Educational plan
1)CHF 환자의 자가관리법 및 퇴원교육
2) 약물 복용교육
3) 식이 관리
4) 체중 측정

4.Community-referrals

◎Follow up

본문내용

t
into LA(Hammock sing)
4)AS(Aortic Stenosis)
(1)ECG: 좌심실 비대 소견
2)Chest X-ray
3)echocardiography : 좌심실비대와 판막의 석회화 경우 aortic rootso 밝고 두꺼운 음영.
4)심도자술
5)AR(Aortic Regurgitation)
(1)ECG: 좌심실 비대 소견
2)Chest X-ray
3)echocardiography : rapid, high frequency fluttering of ant. mitral leaflet.
4)심도자술
6)TR(Tricuspid Regurgitation)
(1) 청진: murmur
(2) )ECG: RVH
3)echocardiography : RV
dilatation
DIAGNOSIS
CHF
◎ Management plan/Management
1. Management Plan
1). CHF management : diurectics
2). NSTEMI management : Heparin and NTG infusion
3). Negative I/O target
4). CXR F/U
5). cardiac marker and ECG F/U
심부전 평가를 위한 병기설정/병기에 따라 권장되는 치료
Stage A
심부전 고위험군이지만 구조적인 심질환이나 심부전의 증상이 없는 경우
고혈압, 관상동맥질환,당뇨, 심장독성물질을 사용하거나 심근병증의 가속력이 있는 환자
고혈압 조절
금연 권장
이상지질혈증 고정
규칙적 운동 권장
알코올,잘못된 약물섭취는 제한
ACE 억제제
Stage B
구조적인 심질환이 있지만 심부전의 증상이 없는 경우
이전에 심근경색의 과거력, 좌심실기능부전, 무증상성판막질환을 가진 환자
Stage A에서 했던 모든 조치들에 더해
적절한 환자에서
ACE 억제제
베타차단제
Stage C
구조적인 심질환이 있으면서 심부전 증상이 있거나 있었던 환자
구조적 심질환이 있음. 숨이 가빠지거나 피로, 운동능력 감소를 보이는 환자
Stage A에서 했던 모든 조치들에 더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
ACE 억제제
베타차단제
디지털리스
나트룸 섭취제한
Stage D
난치성 심부전 환자, 최대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심하고 특별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
심부전 때문에 반복적으로 입원하는 경우, 특별한 조치 없이는 안전하게 퇴원하지 못하는 경우
Stage A, B, C에서 했던 모든 조치들에 더해
기계적 보조장치
심장이식
증상환화를 위해 지속(간헐적 아님)으로 수축촉진제 정맥주입
입원치료
2.Therapeutic plan
1)HR control : DGX 0.25mg iv(target HR 100회)
2) anticoagulation start ; heparin+wafarin
3) lasix 1A, aldacton 0.5t qd
4)sBP 100이상 되면 ARB 0.5T QD&dobutamin tapering 시도
3.Educational plan
1)CHF 환자의 자가관리법 및 퇴원교육
(1)심부전 환자의 자가관리는 체중측정, 약물관리, 식이관리, 흡연여부, 음주여부, 운동여부, 교육 열의 등과 관련이 있다
(2)퇴원교육은 환자 및 보호자에게 종합적인 서면 교육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식이, 퇴원약(특히 복약 충실도 및 지속성에 대해 교육해야 하며 처방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및 안지오텐신 수용제 차단제, 베타차단제 약물의 용량 및 복용 주의 사항에 대해 교육해야 한다.), 일상 활동의 강도 수준, 외래 예약, 매일 체중측정 할 것, 그리고 심부전 증상이 악화 될 때에는 무엇을 해야 할 지에 대해 특히 주의점을 강조해야 한다.
2) 약물 복용교육
: 담당의가 처방한 약은 모두 정확히 복용한다. 복용하는 약물 부작용이나 중독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고 내원한다.
- Digoxin : Digoxin은 심부전 환자에게 흔히 사용되는 약물로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심박수를 느리게 한다. Digoxin을 복용할 때는 매일 맥박을 체크하고 평소와 비교하여 서맥(보통 분당 60회 미만)이 나타나는 경우 의사에게 보고하도록 한다.
- 이뇨제를 복용하면 보통 2~3시간 후에 화장실에 가게 되는데, 늦게 복용하면 야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취침 전 복용시간을 늦은 오후나 환자및 가족교육-질환상태 및 추후 진료계획에 대해 교육함
3) 식이 관리
(1). 염분 섭취 제한
: 저염식이는 소변량을 증가 시키고, 체내 수분 축적을 막아 심장의 부담을 감소시킨다.
- 모든 식품의 식품 함유량 라벨을 확인하고 염분이 다량 함유된 식품은 피한다.
- 가공된 음식 또는 냉동식품이나 통조림, 케첩, 토마토 소스, 땅콩 크림 등을 피한다.
- 구체적 염분 제한 정도는 처방에 따르나 하루 23g 이상 섭취하지 않는다.
- 소금을 사용하는 대신에 식초, 레몬즙 등을 사용하여 맛을 조절한다.
(2). 지방 섭취 제한
: 지방 및 콜레스테롤은 관상동맥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심부전의 일차적인 원인이므로 지방 섭취를 제한 해야 한다.
4) 체중 측정
: 과체중은 심부담을 증가 시키므로 한 달에 1-3회 적은 운동으로도 심부전의 위험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체중인 경우 체중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
- 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매일 같은 시간에, 같은 체중계를 이용한다. 아침에 일어나 식사전, 첫 소변을 본 후 측정하는 것이 좋다.)
- 과체중이거나 당뇨가 있을 경우 체중을 조절한다.
- 일주일에 1.5kg 이상의 체중 증가가 있을 경우 의사에게 보고한다.
V. 치료 및 처방과 관련된 자가관리
4.Community-referrals
1) 7개월전 MCA inf.으로 편마비상태로 재활한 후 호전보여 요양시설 갔으나 심부전으로 응급실로 재입원 후 순환기내과 의뢰되어 재활병동으로 옴.
경제적 어려움으로 2개월 재활 후 인근요양병원으로 전원계획
◎Follow up
1) X-Ray&Echocardiography, EkG F/U
2) 호흡곤란등 증상 악화시 F/U
참고문헌
1.안지원편저 외, 2010년, INTERNAL MEDICINE 2판, 퍼시픽북스
2. 심혈관내과 입원 챠트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5.03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31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