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체계로서 가족
1. 인간체계의 특징
2. 가족의 체계적 특성
Ⅱ. 가족기능의 주요 개념
1. 개방체계로서의 가족
2. 가족향상성 및 변화
3. 가족과 사회조직
4. 가족의 의사소통 장애
5. 개인화와 가족갈등
6. 기능을 잘하는 부모동맹
7. 비기능적 부부갈등
8. 삼각관계의 자녀
참고문헌
1. 인간체계의 특징
2. 가족의 체계적 특성
Ⅱ. 가족기능의 주요 개념
1. 개방체계로서의 가족
2. 가족향상성 및 변화
3. 가족과 사회조직
4. 가족의 의사소통 장애
5. 개인화와 가족갈등
6. 기능을 잘하는 부모동맹
7. 비기능적 부부갈등
8. 삼각관계의 자녀
참고문헌
본문내용
와해된다.
1) 과잉보호(overprotection)
자녀에게 비기능(신체적 또는 심리적 무능력)을 야기하는 데 부모와 자녀가 같이 관여하는 수가 있으며, 이때 자녀는 부모의 과잉보호 및 과잉 관심의 양육을 받게된다. 또는 붐가 핸디캡이 있는 자녀를 과잉보호하든지 과잉 간섭을 하게 되는데 부모가 협심하여 무능력하고 비기능적인 자녀를 ‘도움’에 따라 자녀의 ‘나약함’또는 ‘병’이 부부사이의 갈등으로부터 부모의 관심을 자녀에게로 끌어들이게 도니다. 즉 부부 사이에 갈등이 있더라도 자녀가 아프게 되면 부부는 갈등을 제쳐 두고 자녀를 치료하기 위해 온 힘을 기울이게 된다.
2) 희생양(scapegoat)
자녀로 하여금 과격한 행동(보통 공격, 성적 문란 행위, 규율에 불복종, 무책임감)을 하게끔 부모와 자녀가 같이 결합할 수 있다. 그러면 자녀는 “어찌할 수 없는 자녀 (uncontrollable child)'를 훈육시키고, 벌하고 조절하려고 공격적으로 시도하는 부모의 표적이 된다. 부모가 서로 합심하여 ‘무례하게 과격한 자녀(bad, acting-out child)'를 조절하고 개조하려함에 따라 부부 사이의 갈등은 묻혀 버리고 자녀의 나타난 ’비행(badness)'이 부모의 관심을 끌게 된다.
3) 부모 사이의 싸움(inter-parent competition)
이 경우에 자녀가 부모의 어느 한쪽이 갈등을 일으키는 데 있어서 옳다, 나쁘다고 결정을 내려 줌으로써 압력을 가하여 공격적이거나 유혹적으로 부부갈등에 한쪽 부모의 편을 들며 관여한다. 부모는 자녀가 이야기하거나 행동을 하는 것은 무엇이나 자기에게 충성 또는 불충성을 바치는 표시로 보게 된다. 자녀는 한쪽 부모와 가까워지는 것은 다른 쪽 부모와 멀어지는 것이라고 믿을 수도 있다. 부모는 또한 자녀에 대한 부모의 권위를 손상하게 된다. 전형적으로 한쪽 부모는 자녀를 ‘나쁘거나 벌을 주어야 하는 아이’ 또는 ‘아프니까 영양을 줘야 하는 아이’로 보고 다른 쪽 부모는 이와 반대로 본다. 이러한 경우, 세대간 힘의 제휴(cross-generational power coalition)가 모자간에서 부자간 또는, 그 반대로 끊임없이 이동한다. 자녀의 문제에 맞서는 부모 힘의 동맹(parental power alliance)도 계속 존재하지 않는다.
4) 견고한 세대 간 제휴(rigid cross-generational coalition)
이 패턴에서는 한쪽 부모와 자녀가 특별히 가깝게 제휴가 되어 다른 쪽 부모와 갈등이 있을 때에는 항상 제휴된 부모와 자녀가 서로 편을 들어 준다. 다른 쪽 부모의 권위는 손상되고 항상 무시되고 제휴한 부모와 자녀가 가족생활을 지배한다. 다른 쪽 부모는 가족에게 위축되거나 배우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자녀와 싸우기도 하지만 배우자로서의 가족의 위치를 획득하는 데 결코 성공하지 못한다. 과도하게 밀착된 부모와 자녀는 서로 상호의존과 정서적 반응이 높고 자율성이 낮은 가식적 관계를 형성한다. 자녀가 부모 노릇을 하는 부모-자녀 역할 전환(parent-child role reversal)이 있기도 하다. 흔히 이런 부모와 자녀는 서로서로를 ‘병들다’, ‘약하다’고 생각하게 된다.
참고문헌
김용태(2002).『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이영분·김유숙 역(1994). 『가족치료를 위한 가족분석가계도』(원저명: Genograms in Family assessment by Monica McGoldrick and Randy Gerson). 서울 : 홍익재.
이재연·최영희 공역(1990). 『의사소통과 가족관계』. 서울 :형성출판사.
이형득·김선남·설기문 공역(1998).『가족치료』. 서울: 형설출판다.
유 옥(2012). 가족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이근후김영화(1992). 증상해결 중심치료. 하나의학사.
이영실(2011). 가족치료. 양서원
이화여대사회사업학과 편(1995). 가족치료총론. 동인.
임은희(2012). 가족치료론. 공동체
Bateson. Gregory. Jackson Don D.. Haley, Jay.& Weaklane. J.H,(1981) Toward theory of Schizophrenia in Family Therapy:Major Contributions, Ed. by Robert Jay & James L. Framo Madison and Connecticut.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Inc.
Beavers. W.R(1977). Psychotherapy and Grwth : A Family Systems Perpective. New Yok : Brunner/Mazel. Publishers.
Foley, V.D.(1984). Family Therapy in Curent Psychotherapies(3rd ed). Ed. by Raymond J. Corsini. Itasca : F. C. Peacock Publishers. Inc
Glasersfeld. E. V(1981). An Overview of Major Contributions to Family Therapy in Family Therapy : Major Contributions Ed. by Robert J. Green & James L. Framo. Madison and Connecticut.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Griffin. W. A (1993) Family Therapy : Fundamentals or theroy and Practice. New York : Brunner/Mazel. Publishers.
Hoffman. L(1981). Foundations of Family Therapy : A Conceptual Framework for Systems Change. New York : Basic Books.
Jackson. D.D. & Weakland. J. H (1959). Schizophrenic symptoms and Family interaction. Archives of General Pwychiatry. 1:618-621.
1) 과잉보호(overprotection)
자녀에게 비기능(신체적 또는 심리적 무능력)을 야기하는 데 부모와 자녀가 같이 관여하는 수가 있으며, 이때 자녀는 부모의 과잉보호 및 과잉 관심의 양육을 받게된다. 또는 붐가 핸디캡이 있는 자녀를 과잉보호하든지 과잉 간섭을 하게 되는데 부모가 협심하여 무능력하고 비기능적인 자녀를 ‘도움’에 따라 자녀의 ‘나약함’또는 ‘병’이 부부사이의 갈등으로부터 부모의 관심을 자녀에게로 끌어들이게 도니다. 즉 부부 사이에 갈등이 있더라도 자녀가 아프게 되면 부부는 갈등을 제쳐 두고 자녀를 치료하기 위해 온 힘을 기울이게 된다.
2) 희생양(scapegoat)
자녀로 하여금 과격한 행동(보통 공격, 성적 문란 행위, 규율에 불복종, 무책임감)을 하게끔 부모와 자녀가 같이 결합할 수 있다. 그러면 자녀는 “어찌할 수 없는 자녀 (uncontrollable child)'를 훈육시키고, 벌하고 조절하려고 공격적으로 시도하는 부모의 표적이 된다. 부모가 서로 합심하여 ‘무례하게 과격한 자녀(bad, acting-out child)'를 조절하고 개조하려함에 따라 부부 사이의 갈등은 묻혀 버리고 자녀의 나타난 ’비행(badness)'이 부모의 관심을 끌게 된다.
3) 부모 사이의 싸움(inter-parent competition)
이 경우에 자녀가 부모의 어느 한쪽이 갈등을 일으키는 데 있어서 옳다, 나쁘다고 결정을 내려 줌으로써 압력을 가하여 공격적이거나 유혹적으로 부부갈등에 한쪽 부모의 편을 들며 관여한다. 부모는 자녀가 이야기하거나 행동을 하는 것은 무엇이나 자기에게 충성 또는 불충성을 바치는 표시로 보게 된다. 자녀는 한쪽 부모와 가까워지는 것은 다른 쪽 부모와 멀어지는 것이라고 믿을 수도 있다. 부모는 또한 자녀에 대한 부모의 권위를 손상하게 된다. 전형적으로 한쪽 부모는 자녀를 ‘나쁘거나 벌을 주어야 하는 아이’ 또는 ‘아프니까 영양을 줘야 하는 아이’로 보고 다른 쪽 부모는 이와 반대로 본다. 이러한 경우, 세대간 힘의 제휴(cross-generational power coalition)가 모자간에서 부자간 또는, 그 반대로 끊임없이 이동한다. 자녀의 문제에 맞서는 부모 힘의 동맹(parental power alliance)도 계속 존재하지 않는다.
4) 견고한 세대 간 제휴(rigid cross-generational coalition)
이 패턴에서는 한쪽 부모와 자녀가 특별히 가깝게 제휴가 되어 다른 쪽 부모와 갈등이 있을 때에는 항상 제휴된 부모와 자녀가 서로 편을 들어 준다. 다른 쪽 부모의 권위는 손상되고 항상 무시되고 제휴한 부모와 자녀가 가족생활을 지배한다. 다른 쪽 부모는 가족에게 위축되거나 배우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자녀와 싸우기도 하지만 배우자로서의 가족의 위치를 획득하는 데 결코 성공하지 못한다. 과도하게 밀착된 부모와 자녀는 서로 상호의존과 정서적 반응이 높고 자율성이 낮은 가식적 관계를 형성한다. 자녀가 부모 노릇을 하는 부모-자녀 역할 전환(parent-child role reversal)이 있기도 하다. 흔히 이런 부모와 자녀는 서로서로를 ‘병들다’, ‘약하다’고 생각하게 된다.
참고문헌
김용태(2002).『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이영분·김유숙 역(1994). 『가족치료를 위한 가족분석가계도』(원저명: Genograms in Family assessment by Monica McGoldrick and Randy Gerson). 서울 : 홍익재.
이재연·최영희 공역(1990). 『의사소통과 가족관계』. 서울 :형성출판사.
이형득·김선남·설기문 공역(1998).『가족치료』. 서울: 형설출판다.
유 옥(2012). 가족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이근후김영화(1992). 증상해결 중심치료. 하나의학사.
이영실(2011). 가족치료. 양서원
이화여대사회사업학과 편(1995). 가족치료총론. 동인.
임은희(2012). 가족치료론. 공동체
Bateson. Gregory. Jackson Don D.. Haley, Jay.& Weaklane. J.H,(1981) Toward theory of Schizophrenia in Family Therapy:Major Contributions, Ed. by Robert Jay & James L. Framo Madison and Connecticut.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Inc.
Beavers. W.R(1977). Psychotherapy and Grwth : A Family Systems Perpective. New Yok : Brunner/Mazel. Publishers.
Foley, V.D.(1984). Family Therapy in Curent Psychotherapies(3rd ed). Ed. by Raymond J. Corsini. Itasca : F. C. Peacock Publishers. Inc
Glasersfeld. E. V(1981). An Overview of Major Contributions to Family Therapy in Family Therapy : Major Contributions Ed. by Robert J. Green & James L. Framo. Madison and Connecticut.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Griffin. W. A (1993) Family Therapy : Fundamentals or theroy and Practice. New York : Brunner/Mazel. Publishers.
Hoffman. L(1981). Foundations of Family Therapy : A Conceptual Framework for Systems Change. New York : Basic Books.
Jackson. D.D. & Weakland. J. H (1959). Schizophrenic symptoms and Family interaction. Archives of General Pwychiatry. 1:618-621.
추천자료
가족 정의와기능, 가족가치관의 변화양상 및 가족해체의 문제점과 대응책(결혼과 자녀, 이혼,...
[장애아동][가족대처][가족지원]장애아동의 개념, 장애아동의 특성, 장애아동과 가족의 기능,...
학생 자신의 가족 유형이 어떤 유형인지 설명하고 자신의 가족 기능 중에서 어떤 기능이 강점...
가족의 기능을 토대로 자신의 가족에게 부족한 기능을 서술해보고 개선방향을 제시.
가족의사소통 기능에 가장 큰 문제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찾아보고 대안을 제시해보시오 (...
[가족복지론] 건강한 가족의 기능을 위해서 사회복지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가족복지의...
보웬(Bowen)의 가족치료 (보웬 가족치료의 발달과정, 이론과 주요 개념, 정상 가족과 역기능 ...
[사회복지실천론] 가족개념의 변화에 대해서 논하시오. (가족의 정의, 가족의 기능, 전통가족...
[건강가정론] 가족해체의 실태와 이로 인해 가족의 기능이 약화되면서 발생 할 수 있는 문제...
[결혼과가족] 현대사회에서 수행되는 가족의 기능을 서술하고, 현 사회의 긍정적인 사회적 ...
[가족복지론] 현대사회는 가족의 기능 중 양육과 돌봄기능이 약화되고 있다. 이에 따른 사회...
가족복지론_가족의 기능이 변화되고 있는 추이를 설명하고, 본인이 생각할 때, 현대사회에서 ...
최근 언론을 통해 가정 내 폭력 및 아동학대에 대한 문제가 이슈화되고 있다. 이에 가족의 가...
자신이 생각하는 순기능적(건강한 가족) 역기능적 가족(건강하지 못한 가족)의 특징을 적으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