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09년 26.9%에 달하여 1990년대 중반 중남미 수준에 도달(가장 높은 수준)
- 창업기간 18일로 개도권 중 가장 짧은 수준(2010년)
- 전기 생산원으로 석유사용을 줄이고 원자력 에너지 증가
- 개도권 중 가장 높은 광대역 인터넷 보급률(7.66/100인, 고소득국: 25.78/100인)
다. 중남미
- 6개 개도권 중 1인당 GNI가 가장 높은 수준(2009년 $7,007)
- 2000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이 3.8%로 가장 낮은 수준
- 전통적인 무역적자에서 전환하여 지난 2000년대 중반 이후 지속적 무역흑자 기록(2009년 $144억)
- 총 debt service 비율은 1995년 27.3%에서, 2000년 38.5%, 2003년 31.5%, 2006년 22.5%, 2009년에는 17.9%로 낮아짐.
- 대부분의 아동들은 1차 교육을 받으며, 이는 MDG(UNMillenium Development Goal)의 보편적 초등교육 목표를 충족하는 것임.
라. 중동 및 북아프리카
- 2000~2009년 연평균 3.8%, 2009년 3.4%의 저조한 성장세 유지
- 1인당 GDP 2009년 $1,125로 남아시아 다음으로 낮은 수준
- 교육향상: 91%의 아동이 초등교육 이수
- 2006년 기준, GDP의 3.5%를 군사비로 지출: 개도권 중 가장 높은 수준
마. 남아시아
- 가장 낮은 1인당 GNI(2009년 $1,107)
- 가장 낮은 여성 문해율: 젊은 여성 63%, 어른 46%
- 2000~2009년 간 연평균 7.3%의 높은 성장(주로 인도의 성장에 기인)
- 농업 비중이 GDP의 18%(1995년 26%)로 개도권 중 가장 높은 수준
- 창업기간은 25일로 유럽 및 중앙아시아에 이어 2위(2010년)
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2006년 기대수명 50세로 1990년 수준이며, 모든 지역 중 가장 낮은 수준
* 높은 영아 사망률과 AIDS로 인한 높은 성인 사망률이 그 원인
- 경제성장률은 1990~2000년 연평균 2.5%에서 2000~2009년 5.1%로 두배로 높아짐.
- 외국인 직접투자도 급증(1995년 $44억(세계 전체의 1.3%)에서 2009년 $291억(세계 전체의 2.5%)으로 증가)
- 기업환경 개선
사. 한국은 선진국인가?
- 1인당 소득 기준: World Bank 분류 고소득국
-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기준(G.M. Meier and James Lauch, Leading Issues in Economic Development, 2000):
HDI < 0.8 : 후진국
HDI > 0.8 : 선진국
* 한국 HDI = 0.937(2007, 세계 26위, 미국 13위, 중국 92위)
- OECD 회원국
* OECD 회원국 중 1인당 소득 기준 고 소득국: 24
중 소득국: 6(체코, 헝가리, 멕시코, 폴란드, 슬로바키아, 터키)
- 선진 금융시장 지수 편입
* FTSE에는 가입, MSCI에는 관찰대상국
- 기업의 경쟁력: 세계기업 수, 컴퓨터 보유대수....
- 교토협약: 개도국 대우 유지
⇒ 한국은 선진국이다.
3. 세계화 진전(다양한 측면에서의 세계적 경제통합)
가 교역
- 세계 상품수출 중 개도국의 비중 증가: 1990년 16%, 1995년 18%에서 2009년 30%로 증가
* 2009년 총 수출(상품+서비스)에서 차지하는 개도국의 비중은 28.2%, 수입에서는 27.2%)
* 지역별로는 아시아 및 태평양과 유럽 및 중앙아시아가, 개별 국가별로는 중국, 브라질, 인도의 교역이 주도
- 개도국의 무역의존도도 증가
* 개도국 전체로서는 1990년 40%에서 1995년 47%, 2009년 53%로 증가
* 고 소득국은 1995년 41%에서 2009년 48% 수준 유지
- 개도국의 무역구조도 변화(1995년에서 2009년)
* 개도국 전체로 볼 때 상품 수출 중 식료품 및 농업 원자재의 비중은 낮으면서도 감소 중이고(1995년에서 2009년간 식료품 15%에서 11%로, 농업원자재 3%에서 2%),
* 연료의 비중은 11%에서 22%로 대폭 증가하였으며,
* 공산품의 비중은 63%에서 59%로 감소하였음.
* 공산품 비중의 감소는 연료의 급속한 비중 증가와 중소득국의 고소득국으로의 상승을 반영하는 것임.
* 저소득국의 공산품 수출 비중은 44%에서 50%로 증가 중.
* 인도에서는 예외적으로 서비스의 수출이 전체 수출의 36%에 달함.
나. 금융통합
- 국제 자본시장에의 접근과 외국인 직접투자 그리고 개도국 경제의 건전화로 인하여 개도국의 자본시장의 취약성은 완화되었음.
* 개도국의 GNI 대비 외채비율은 1995년 38.8%에서 2009년에는 22.1%로 줄어들었고, total debt service ratio도 18%에서 11.6%로 낮아졌으며, 외환보유고 대비 단기부채 비율도 73.3%에서 15.0%로 낮아짐.
- 1995~2009년 간 개도국으로의 민간자본 유입은 4.3배 증가하였으며, 개도국 전체로는 전체 외국인투자의 1/4를 차지
* 소득계층별로 보면 총 자본유입 1조 1,600억 달러 중 저소득국으로의 유입은 110억 달러로 전체의 0.9%에 불과하였음.
- 저소득국의 대외 금융 source는 ODA로 남아 있음.
* ODA는 채무 탕감, 기술 지원, 긴급지원 등을 포함하는 것들이며, 장기적 투자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어서 생산력 확충에는 도움이 되지 않음.
다. 인력이동
- 1980년대 이후 중/저 소득국에서 고 소득국으로의 이민이 급증하고 있음
* 고 소득국으로의 이민은 높은 기술, 숙련도 요구: 특히 중소득국으로부터의 brain drain
- 이들 이민자들의 본국 송금은 1995년 550억 달러에서 2009년 3,070억 달러로 급증하고 있음(중/저소득국이 받은 해외송금).
라. 정보·통신기술의 확산
- 정보 및 통신 네트워크는 지리적 장벽을 극복하여 시장의 접근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수행함.
- 규제완화와 경쟁으로 통신비 급감
- 인터넷 보급 확산
* 보급 기술은 불균형적: 저소득국은 Narrow Bandwidth 보급
참고: 같은 그림
일자리 관련 지표
- 창업기간 18일로 개도권 중 가장 짧은 수준(2010년)
- 전기 생산원으로 석유사용을 줄이고 원자력 에너지 증가
- 개도권 중 가장 높은 광대역 인터넷 보급률(7.66/100인, 고소득국: 25.78/100인)
다. 중남미
- 6개 개도권 중 1인당 GNI가 가장 높은 수준(2009년 $7,007)
- 2000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이 3.8%로 가장 낮은 수준
- 전통적인 무역적자에서 전환하여 지난 2000년대 중반 이후 지속적 무역흑자 기록(2009년 $144억)
- 총 debt service 비율은 1995년 27.3%에서, 2000년 38.5%, 2003년 31.5%, 2006년 22.5%, 2009년에는 17.9%로 낮아짐.
- 대부분의 아동들은 1차 교육을 받으며, 이는 MDG(UNMillenium Development Goal)의 보편적 초등교육 목표를 충족하는 것임.
라. 중동 및 북아프리카
- 2000~2009년 연평균 3.8%, 2009년 3.4%의 저조한 성장세 유지
- 1인당 GDP 2009년 $1,125로 남아시아 다음으로 낮은 수준
- 교육향상: 91%의 아동이 초등교육 이수
- 2006년 기준, GDP의 3.5%를 군사비로 지출: 개도권 중 가장 높은 수준
마. 남아시아
- 가장 낮은 1인당 GNI(2009년 $1,107)
- 가장 낮은 여성 문해율: 젊은 여성 63%, 어른 46%
- 2000~2009년 간 연평균 7.3%의 높은 성장(주로 인도의 성장에 기인)
- 농업 비중이 GDP의 18%(1995년 26%)로 개도권 중 가장 높은 수준
- 창업기간은 25일로 유럽 및 중앙아시아에 이어 2위(2010년)
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2006년 기대수명 50세로 1990년 수준이며, 모든 지역 중 가장 낮은 수준
* 높은 영아 사망률과 AIDS로 인한 높은 성인 사망률이 그 원인
- 경제성장률은 1990~2000년 연평균 2.5%에서 2000~2009년 5.1%로 두배로 높아짐.
- 외국인 직접투자도 급증(1995년 $44억(세계 전체의 1.3%)에서 2009년 $291억(세계 전체의 2.5%)으로 증가)
- 기업환경 개선
사. 한국은 선진국인가?
- 1인당 소득 기준: World Bank 분류 고소득국
-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기준(G.M. Meier and James Lauch, Leading Issues in Economic Development, 2000):
HDI < 0.8 : 후진국
HDI > 0.8 : 선진국
* 한국 HDI = 0.937(2007, 세계 26위, 미국 13위, 중국 92위)
- OECD 회원국
* OECD 회원국 중 1인당 소득 기준 고 소득국: 24
중 소득국: 6(체코, 헝가리, 멕시코, 폴란드, 슬로바키아, 터키)
- 선진 금융시장 지수 편입
* FTSE에는 가입, MSCI에는 관찰대상국
- 기업의 경쟁력: 세계기업 수, 컴퓨터 보유대수....
- 교토협약: 개도국 대우 유지
⇒ 한국은 선진국이다.
3. 세계화 진전(다양한 측면에서의 세계적 경제통합)
가 교역
- 세계 상품수출 중 개도국의 비중 증가: 1990년 16%, 1995년 18%에서 2009년 30%로 증가
* 2009년 총 수출(상품+서비스)에서 차지하는 개도국의 비중은 28.2%, 수입에서는 27.2%)
* 지역별로는 아시아 및 태평양과 유럽 및 중앙아시아가, 개별 국가별로는 중국, 브라질, 인도의 교역이 주도
- 개도국의 무역의존도도 증가
* 개도국 전체로서는 1990년 40%에서 1995년 47%, 2009년 53%로 증가
* 고 소득국은 1995년 41%에서 2009년 48% 수준 유지
- 개도국의 무역구조도 변화(1995년에서 2009년)
* 개도국 전체로 볼 때 상품 수출 중 식료품 및 농업 원자재의 비중은 낮으면서도 감소 중이고(1995년에서 2009년간 식료품 15%에서 11%로, 농업원자재 3%에서 2%),
* 연료의 비중은 11%에서 22%로 대폭 증가하였으며,
* 공산품의 비중은 63%에서 59%로 감소하였음.
* 공산품 비중의 감소는 연료의 급속한 비중 증가와 중소득국의 고소득국으로의 상승을 반영하는 것임.
* 저소득국의 공산품 수출 비중은 44%에서 50%로 증가 중.
* 인도에서는 예외적으로 서비스의 수출이 전체 수출의 36%에 달함.
나. 금융통합
- 국제 자본시장에의 접근과 외국인 직접투자 그리고 개도국 경제의 건전화로 인하여 개도국의 자본시장의 취약성은 완화되었음.
* 개도국의 GNI 대비 외채비율은 1995년 38.8%에서 2009년에는 22.1%로 줄어들었고, total debt service ratio도 18%에서 11.6%로 낮아졌으며, 외환보유고 대비 단기부채 비율도 73.3%에서 15.0%로 낮아짐.
- 1995~2009년 간 개도국으로의 민간자본 유입은 4.3배 증가하였으며, 개도국 전체로는 전체 외국인투자의 1/4를 차지
* 소득계층별로 보면 총 자본유입 1조 1,600억 달러 중 저소득국으로의 유입은 110억 달러로 전체의 0.9%에 불과하였음.
- 저소득국의 대외 금융 source는 ODA로 남아 있음.
* ODA는 채무 탕감, 기술 지원, 긴급지원 등을 포함하는 것들이며, 장기적 투자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어서 생산력 확충에는 도움이 되지 않음.
다. 인력이동
- 1980년대 이후 중/저 소득국에서 고 소득국으로의 이민이 급증하고 있음
* 고 소득국으로의 이민은 높은 기술, 숙련도 요구: 특히 중소득국으로부터의 brain drain
- 이들 이민자들의 본국 송금은 1995년 550억 달러에서 2009년 3,070억 달러로 급증하고 있음(중/저소득국이 받은 해외송금).
라. 정보·통신기술의 확산
- 정보 및 통신 네트워크는 지리적 장벽을 극복하여 시장의 접근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수행함.
- 규제완화와 경쟁으로 통신비 급감
- 인터넷 보급 확산
* 보급 기술은 불균형적: 저소득국은 Narrow Bandwidth 보급
참고: 같은 그림
일자리 관련 지표
키워드
추천자료
2009년 1학기 세계의정치와경제 중간시험 핵심체크
2009년 1학기 세계의정치와경제 기말시험 핵심체크
2009년 동계계절시험 세계의정치와경제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0년 1학기 세계의정치와경제 중간시험 핵심체크
2012년 1학기 세계의정치와경제 중간시험 핵심체크
2012년 동계계절시험 세계의정치와경제 시험범위 핵심체크
제2장 세계경제 환경의 변화
2014년 1학기 세계의정치와경제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세계의정치와경제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1학기 세계의정치와경제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세계의정치와경제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페미니즘 도전으로 인해 발생한 논란)
2018년 1학기 세계의정치와경제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