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행위론,집단사고와 정치성,집단사고 모형이론,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직행위론,집단사고와 정치성,집단사고 모형이론,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람들 간의 의견차이로 인한 다툼이 많이 발생하기도 한다.
셋째, 인터넷 커뮤니티가 특정 성향을 띠기 시작한다. 그들은 정치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여전히 의견다툼을 벌이기도 하지만 한쪽 성향이 수적으로나 논리로나 우세하게 되면 반대쪽 성향은 그 사이트를 떠나거나, 해당 사이트의 정치적 이슈에 참여하지 않는다. 그들의 토론에는 전문가가 존재하지 않으며, 공정한 지도자 또한 없으며, 절차적 규범이 부족하기 때문에 어느 순간 한쪽 성향으로 치우게 되는 것이다.
넷째, 특정 커뮤니티는 정치적으로 특정 성향을 띠면서 그들의 집단사고를 심화시킨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집단적인 합리화를 시도하며, 외부집단에 대한 편견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그들의 성향과 다른 자가 있으면 압력을 행사하기도 하며 그들은 만장일치의 착각을 보이기도 한다. 그들은 특정 성향을 지지하는 신문사의 기사만 가져오거나 그에 관한 정보를 선호하는 ‘지지적 선택’의 현상을 보인다. 또한 그들의 성향과 반대되는 정보를 회피하는 ‘방어적 회피’의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선택적 노출이 진행되면 그들은 집단극화의 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개인에게 있어서도 기존의 태도가 원래의 방향으로 더 강화되는 ‘태도극화’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 단계에서 해당사이트는 더 이상 정치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들의 성향을 더욱 심화시킬 뿐이다. 그들의 성향이 심화될수록 그들은 사이트에 대한 동질감을 느끼게 되고 소속감을 느끼게 되다.
또한 이 단계의 사이트에서 기존에 정치에 관심이 없거나 정치적 성향을 띠지 않는 사람이 유입될 경우 그들에게 선택적 노출이 진행된다. 그로 인해 그들은 편향적인 시각을 갖고 그 사이트의 성향에 맞춰 정치적 성향을 띠게 된다.
5. 연구의 한계점
이 논문에서 주로 사용한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이다. 대부분의 설문조사를 인터넷에서 실시하였기 때문에 오차가 생길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인터넷의 특성인 익명성은 사람들이 인상관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반면 중복투표를 막을 수는 없게 한다. 또한 각 사이트마다 설문인구를 우리가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표본 집단의 규모를 동일하게 할 수 없다. 이외에도 ‘한 개인이 특정 사이트를 이용하여 그들의 정치적 성향에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경우 개개인의 변화과정을 모두 조사해야지 정확한 자료를 얻을 수 있지만, 인터넷의 설문조사의 한계로 인해 그 변화과정을 세세히 조사하지 못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인과관계는 비약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때문에 정치적 세련됨에 관한 연구를 같이 진행한다면 더욱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정치적 세련됨이란「부산·광주지역 대학생들의 정치성향 비교연구」에서 처음 제시된 개념으로 정치적 관심과 지식을 결합한 것을 의미한다. ‘정치적으로 세련되었다.’는 의미는 정치적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정치를 잘 알고 이해하고 있으며, 정치에 대해 지속적인 태도를 견지하며 정치적 이익을 달성할 능력이 있다는 의미이다.
선험적인 연구결과에 따르면 정치적 세련됨이 높을수록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정당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전용주,2009). 때문에 비 커뮤니티 집단과 커뮤니티 집단 간의 정치적 세련됨을 비교하면 인터넷 커뮤니티가 정당지지의 성향을 띠는 것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6.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에서의 연구문제는 독립변수인 인터넷 커뮤니티의 구성원인지 아닌지에 따라 종속변수인 정치성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 즉, 커뮤니티를 통하여 구성원들의 정치의식들이 응집하여 일원화된 정치성향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두 사이트의 구성원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인터넷 커뮤니티를 하면서 이전보다 공통적인 이슈, 즉 정치에 대한 관심도가 올라가고 그 관심을 서로 공유하여 정치적인 사안에 대한 집단사고가 형성되어 구성원끼리의 공통적인 정치적 성향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강한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가 폐쇄성(closure)을 띠게 되면 타인에 대한 효과적인 사회적 통제와 행위자간 신뢰가 높아져 유대감이 강하게 형성될 수 있다는 말을 하였다(전영아, 2010). 즉, 인터넷 네트워크 안에서 더 친밀감을 가지고 활발하게 개개인들이 상호작용을 하여 정보를 공유하게 되면 그 안에서 특정 정보들이 일반화 되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편협한 사고가 형성되기 쉽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는 편협한 집단사고의 형성이 앞으로의 전자민주주의에 끼칠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서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온라인에서 시작된 네티즌 정치모임이 오프라인 모임을 통해 연대감과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김용호, 2003). 즉, 편협한 정치적 집단사고를 가진 온라인커뮤니티가 오프라인에서 편협한 정치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인터넷이 고도로 발전된 환경에서 살고 있으며, 그 안에서 형성되고 증가해가는 인터넷 커뮤니티의 힘을 무시하지 못하는 현실에 직면해있다. 따라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형성된 집단사고에 의한 편향적인 정치성향이 앞으로의 전자민주주의에 끼칠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촉구하는 바이다.
7. 참고문헌
김흥희(2004). 정책실패와 집단사고
노정규(2011). 정치정보에 대한 선택적 노출이 태도극화에 미치는 효과: 비정치적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임현진(2004). 인터넷 커뮤니티가 정치와 경제시민사회에 미치는 영향
전용주(2009). 부산광주지역 대학생들의 정치성향 비교연구: 설문조사결과를 중심으로
Wojcieszak, M., & Mutz, D. (2009). Online groups and political deliberation: Does the Internetfacilitate exposure to political disagreement? Journal of Communication
전영아(2010). 사이버커뮤니티에서 유형별 사회자본이 정치적 의견표명과 호응에 미치는 효과
김용호(2002). 인터넷 커뮤니티와 정치: 「노사모」 사례 연구
8. 부록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3.05.13
  • 저작시기201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52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