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ジョゼと虎と魚たち/Josee, The Tiger And The Fish)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ジョゼと虎と魚たち/Josee, The Tiger And The Fish)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은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은 현실이다
‘장애’와 ‘사랑’이라는 현실의 문제
그들의 모습과 현실의 철학
1.할머니
2.쿠미코(조제)
3.츠네오
4. 카나에

더하고 마치며- 감상
蛇足

참고자료

본문내용

한 것 같은 조제의 모습에서도-츠네오를 만나기 이전과는 분명히 달라진- 어슴프레 나타난다.
이 영화에 담긴 철학은 버트런트 러셀의 정의처럼 “기묘할 정도로 집요한” 것이지도 윌리엄 제임스의 그것처럼 “명료하게 사유하려는 특별히 완고한 노력”이지도 않다. 하지만 사유의 극한으로 인도하며 하나의 형상을 그린다. 그것은 냉철한 이성의 그것이 아니요 그저 가슴으로 부는 바람같이 담담하게 그리고 아주 여리게 시린 것이다.
지난 몇 해 동안 수행하였던 과제를 돌이켜 볼 때 금번같이 어려웠던 과제는 드물었던 것 같다. 영화를 보고 그 느낌을 오롯이 언어로 담는 것도 어려운 일인데 그것을 짧은 철학적 소견으로 덧대려하는 일은 사유의 중노동이었다. 가져다 붙이는 시점에 따라 달라지는 철학의 사조는 한 글자 한 글자 타자로 밀어 넣으면서도 무수한 회의를 낳고 지금 이 순간에도 뚜렷한 무엇을 보이게 하지 않는다. 철학이 갖는 태생적 특성에 더 고민해 보아야 할 문제이겠지만 지금 이 순간에는 새벽 방죽의 물안개 같은 나의 인상이 이 영화의 형태라 생각해 본다.
蛇足
인물의 성격들을 철학적으로 풀어나가는 것에서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었다. 예를 들어 조제가 보여주는 이별 이후의 놀라울 정도의 초연한 삶의 모습은 회의주의자 퓌론의 그것을 떠올리게 하나 퓌론과 조제의 삶에는 큰 격차가 있었다. 그리고 할머니의 삶과 스토아학파의 이론을 묶는 것에서도 한계가 있었는데 스토아 철학의 체계는 이기심 없이 다른 사람들의 행복에 헌신하기를 이르고 있다는 점에서 할머니의 삶과는 낮은 밀도로나마 연관되어 있으나 세상의 공허함과 내면 양심의 목소리를 이끌어내는 것을 강조하였던 학파의 사조와는 무관하였던 것이 일례이다.
하여 그저 연관되는 부분들만을 추려 인물을 설명하고자 하였는데 그러다보니 내용이 조악해졌다. 자기방어기제, 실존주의, 나치즘과 같은 비교적 접착부위가 매끄러운 것들로 내용을 덧대고 보강하였으나 부족함을 느끼기는 마찬가지였다. 결국 이러한 모든 것이 짧은 철학적 소견에 의함을 알기에 더욱 분발하겠다는 다짐을 하며 글을 마칠 뿐이다.
참고자료
1. 영원하진 않지만 강한 사랑,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
- 김봉석 영화평론가
2. 철학의 거장들 1· 2· 3· 4
- 오트프리트 회페 엮음, 김석수, 이현복, 정연재, 홍윤기, 윤석구 옮김, 한길사
3. 서양철학의 파노라마 1· 2
- 앤소니 고틀립 지음, 이정우 옮김, 산해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5.15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58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