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질오염의 원인에 대한 간단한 평가
(2) 진보된 수질오염 방지
(2) 진보된 수질오염 방지
본문내용
계획
- 재이용수 계획의 주요 3가지 목적은 대체 수자원 개발, 물 공급의 불균형 완화와 오염부하량 경감이다. 그리고 재이용수를 계획할 때 중수는 상수도에 비해 부식, 스케일(Scale), 슬라임(Slime) 등이 각 시설물에 미치는 기능장애 등이다. 그러므로 재이용수 처리시설, 송배수시설 및 이용설비에 대해서 구조, 재질 등의 적절한 배려가 필요하다. 또한 재이용수의 전체시스템의 선택시 합리성, 위생적 안전성과 경제성에 대해 충분한 배려가 필요하다. 아울러 중수의 원활한 순환이용을 도모하기 위한 유지 관리와 마모 및 부식방지 등 안전관리의 적정화가 필요하다.
(9) 수질 모델링(Modeling) 및 모니터링(Monitering)
- 관할 지역의 오염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정수 수질 및 오염물질 유입농도를 어느 정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꾸준히 수질을 모델링하거나 모니터링 하는 것이 수질 개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오염물질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모델화하여 오염물질 농도를 예측함은 물론 앞으로의 오염물질 저감목표를 세우는 데도 현재 활용되고 있다. 또한 모니터링을 통해 공공수역에 유입되는 물에 어떠한 오염물질이 유입되는가 하는 것 또한 확인하여 미리 유입을 방지하는 방법도 매우 중요하다.
# 수질모델링 수립절차
* 모델의 설계 및 자료의 수집
대상 수계의 지역특성, 형상, 수문학적요소 등을 고려하여 모델을 설계하고, 현지조사 및 문헌조사 등을 통하여 입력 자료를 수집한다.
* 모델링의 선정(또는 개발) 및 예비적용
프로그램의 선택 및 검증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분석결과를 가지고 있는 모델을 운영하여 나타나는 결과들을 비교함으로써 수행한다. 선택된 모델링 프로그램에 준비된 입력 자료를 입력함으로써 대상 수계에 대한 모델링을 실시한다.
* 보정 (Calibration)
모델에 의한 예측치가 실측치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도록 각종 매개변수의 값을 조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해당 수체에 대한 반응계수, 수리학적 입력계수 등의 매개변수 값 자료가 없으면 문헌에서 제시하는 범위 내에서 그 값을 산정할 수밖에 없다. 수질관련 반응계수의 추정방법으로는 경험에 의한 시행착오법, 영향계수법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예측치와 실측치의 차가 실측치의 10∼20%를 넘지 않도록 한다.
* 검증 (Verification)
보정이 완료되면 보정 시에 사용되지 않았던 유입지천의 유량과 수질 또는 오염부하량 본류수질 등의 입력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검증하며, 이 과정에서 예측치와 실측치간의 차가 클 경우에는 모델의 보정과 검증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검증한다.
* 감응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감응도 분석이란 수질관련 반응계수, 수리학적 입력계수, 유입지천의 유량과 수질 또는 오염부하량 등의 입력 자료의 변화정도가 수질항목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어떤 수질항목의 변화율이 입력 자료의 변화율보다 클 경우에는 그 수질항목은 입력 자료에 대하여 민감하다고 볼 수 있다.
* 수질의 예측 및 평가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 모델에 대하여 미래에 발생이 예상되는 오염물질 관련 자료를 입력함으로써 예측을 실시한다. 예측을 위한 모델 운영시에는 최적의 경우와 최악의 경우에 대비하여 모델링을 실시한다.
6) Reference
http://blog.daum.net/ohradical-1/4517016
(촉매오존산화법을 이용한 humic acid와 oxalic acid 분해)
http://blog.daum.net/ohradical-1/4520610
(촉매오존산화법을 이용한 humic acid 처리)
http://blog.naver.com/forbid83?Redirect=Log&logNo=50009545382
(수질모델링 수립절차)
http://100.naver.com/100.nhn?docid=97417
(수질오염의 정의)
http://blog.daum.net/tk2009/406
(수질오염의 원인)
http://blog.naver.com/jugangyopo?Redirect=Log&logNo=140092352676
(수질오염의 원인물질)
http://www.konetic.or.kr/?p_name=env_morgue&sub_page=terminology_sense&gotopage=1&query=view&unique_num=7179
(수질오염물질의 정의)
최신수질관리 (동화기술; 박정규, 서유덕, 이태진, 이태호 공저, P110 ~ 118)
물처리공학 (형설; 이규성, 이수구, 이만호, 이범구 등 공저, P216~219, P701~704, P779, P781~787)
‘10년 수질관리 강의 자료 및 Hand Out 자료
7) 고찰 - 레포트를 작성하며..
수질관리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전에 강의시간에 배웠던 내용이기는 하나 다시 한 번 배운 내용을 되새겨보는 좋은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수질오염에 대해 간단한 내용은 알고 있었지만 자세한 부분을 알지 못해 아쉬웠는데 이번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기존에 알지 못했던 내용을 많이 알 수 있었고, 또한 이미 알고 있던 내용이라도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는 부분에 있어서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 수 있어서 참 좋았던 것 같다. 막상 수질관리에 대해 다 이해하는 듯 하면서도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보니 내가 아는 부분이 아주 작은 부분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게 되어 앞으로도 더욱 열심히 공부할 수 있는 계기도 된 것 같다. 점 오염원과 비 점 오염원의 차이, 각 오염원에서의 오염물질과 오염물질을 제거 또는 제어하는 진보된 방법에 대해서 조사하면서 이러한 방법 등이 존재하여 우리가 안심하고 물을 마시며, 각 수처리장에서 방류시에 각 공공수역에 방류수 배출시 환경오염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배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레포트를 통해서 많은 지식을 습득하게 되어 정말 기뻤고 다음에 또 이러한 레포트가 주어진다면 이번 경험을 토대로 더 완벽하고 고급적 지식을 이용해 레포트를 더 잘 작성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한 학기동안 최선을 다해 강의해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이번 레포트를 마친다.
- 재이용수 계획의 주요 3가지 목적은 대체 수자원 개발, 물 공급의 불균형 완화와 오염부하량 경감이다. 그리고 재이용수를 계획할 때 중수는 상수도에 비해 부식, 스케일(Scale), 슬라임(Slime) 등이 각 시설물에 미치는 기능장애 등이다. 그러므로 재이용수 처리시설, 송배수시설 및 이용설비에 대해서 구조, 재질 등의 적절한 배려가 필요하다. 또한 재이용수의 전체시스템의 선택시 합리성, 위생적 안전성과 경제성에 대해 충분한 배려가 필요하다. 아울러 중수의 원활한 순환이용을 도모하기 위한 유지 관리와 마모 및 부식방지 등 안전관리의 적정화가 필요하다.
(9) 수질 모델링(Modeling) 및 모니터링(Monitering)
- 관할 지역의 오염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정수 수질 및 오염물질 유입농도를 어느 정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꾸준히 수질을 모델링하거나 모니터링 하는 것이 수질 개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오염물질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모델화하여 오염물질 농도를 예측함은 물론 앞으로의 오염물질 저감목표를 세우는 데도 현재 활용되고 있다. 또한 모니터링을 통해 공공수역에 유입되는 물에 어떠한 오염물질이 유입되는가 하는 것 또한 확인하여 미리 유입을 방지하는 방법도 매우 중요하다.
# 수질모델링 수립절차
* 모델의 설계 및 자료의 수집
대상 수계의 지역특성, 형상, 수문학적요소 등을 고려하여 모델을 설계하고, 현지조사 및 문헌조사 등을 통하여 입력 자료를 수집한다.
* 모델링의 선정(또는 개발) 및 예비적용
프로그램의 선택 및 검증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분석결과를 가지고 있는 모델을 운영하여 나타나는 결과들을 비교함으로써 수행한다. 선택된 모델링 프로그램에 준비된 입력 자료를 입력함으로써 대상 수계에 대한 모델링을 실시한다.
* 보정 (Calibration)
모델에 의한 예측치가 실측치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도록 각종 매개변수의 값을 조정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해당 수체에 대한 반응계수, 수리학적 입력계수 등의 매개변수 값 자료가 없으면 문헌에서 제시하는 범위 내에서 그 값을 산정할 수밖에 없다. 수질관련 반응계수의 추정방법으로는 경험에 의한 시행착오법, 영향계수법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예측치와 실측치의 차가 실측치의 10∼20%를 넘지 않도록 한다.
* 검증 (Verification)
보정이 완료되면 보정 시에 사용되지 않았던 유입지천의 유량과 수질 또는 오염부하량 본류수질 등의 입력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을 검증하며, 이 과정에서 예측치와 실측치간의 차가 클 경우에는 모델의 보정과 검증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검증한다.
* 감응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감응도 분석이란 수질관련 반응계수, 수리학적 입력계수, 유입지천의 유량과 수질 또는 오염부하량 등의 입력 자료의 변화정도가 수질항목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어떤 수질항목의 변화율이 입력 자료의 변화율보다 클 경우에는 그 수질항목은 입력 자료에 대하여 민감하다고 볼 수 있다.
* 수질의 예측 및 평가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 모델에 대하여 미래에 발생이 예상되는 오염물질 관련 자료를 입력함으로써 예측을 실시한다. 예측을 위한 모델 운영시에는 최적의 경우와 최악의 경우에 대비하여 모델링을 실시한다.
6) Reference
http://blog.daum.net/ohradical-1/4517016
(촉매오존산화법을 이용한 humic acid와 oxalic acid 분해)
http://blog.daum.net/ohradical-1/4520610
(촉매오존산화법을 이용한 humic acid 처리)
http://blog.naver.com/forbid83?Redirect=Log&logNo=50009545382
(수질모델링 수립절차)
http://100.naver.com/100.nhn?docid=97417
(수질오염의 정의)
http://blog.daum.net/tk2009/406
(수질오염의 원인)
http://blog.naver.com/jugangyopo?Redirect=Log&logNo=140092352676
(수질오염의 원인물질)
http://www.konetic.or.kr/?p_name=env_morgue&sub_page=terminology_sense&gotopage=1&query=view&unique_num=7179
(수질오염물질의 정의)
최신수질관리 (동화기술; 박정규, 서유덕, 이태진, 이태호 공저, P110 ~ 118)
물처리공학 (형설; 이규성, 이수구, 이만호, 이범구 등 공저, P216~219, P701~704, P779, P781~787)
‘10년 수질관리 강의 자료 및 Hand Out 자료
7) 고찰 - 레포트를 작성하며..
수질관리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전에 강의시간에 배웠던 내용이기는 하나 다시 한 번 배운 내용을 되새겨보는 좋은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수질오염에 대해 간단한 내용은 알고 있었지만 자세한 부분을 알지 못해 아쉬웠는데 이번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기존에 알지 못했던 내용을 많이 알 수 있었고, 또한 이미 알고 있던 내용이라도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는 부분에 있어서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 수 있어서 참 좋았던 것 같다. 막상 수질관리에 대해 다 이해하는 듯 하면서도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보니 내가 아는 부분이 아주 작은 부분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게 되어 앞으로도 더욱 열심히 공부할 수 있는 계기도 된 것 같다. 점 오염원과 비 점 오염원의 차이, 각 오염원에서의 오염물질과 오염물질을 제거 또는 제어하는 진보된 방법에 대해서 조사하면서 이러한 방법 등이 존재하여 우리가 안심하고 물을 마시며, 각 수처리장에서 방류시에 각 공공수역에 방류수 배출시 환경오염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배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레포트를 통해서 많은 지식을 습득하게 되어 정말 기뻤고 다음에 또 이러한 레포트가 주어진다면 이번 경험을 토대로 더 완벽하고 고급적 지식을 이용해 레포트를 더 잘 작성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한 학기동안 최선을 다해 강의해주신 교수님께 감사드리며 이번 레포트를 마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