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1 μF 일 때
3. R = 10 kΩ 이고 C = 10 μF 일 때
저항
capacitance
RC이론값
입력전압
입력전압*0.632
걸린 시간
오차
(%)
10KΩ
10 μF
0.1
5V
3.16V
0.15
0.5%
4. R = 100 kΩ 이고 C = 10 μF 일 때
저항
capacitance
RC이론값
입력전압
입력전압*0.632
걸린 시간
오차
(%)
100KΩ
10 μF
1.0
5V
3.16V
1.1
0.1%
5. R = 10 kΩ 이고 C = 100 μF 일 때
저항
capacitance
RC이론값
입력전압
입력전압*0.632
걸린 시간
오차
(%)
10KΩ
100 μF
1.0
5V
3.16V
0.45
0.55%
6. R = 100 kΩ 이고 C = 100 μF 일 때
저항
capacitance
RC이론값
입력전압
입력전압*0.632
걸린 시간
오차
(%)
100KΩ
100 μF
10
5V
3.16V
12.5
0.25%
7. R = 10 kΩ 이고 C = 330 μF 일 때
저항
capacitance
RC이론값
입력전압
입력전압*0.632
걸린 시간
오차
(%)
10KΩ
330 μF
3.3
5V
3.16V
3.3
0%
8. R = 100 kΩ 이고 C = 330 μF 일 때
저항
capacitance
RC이론값
입력전압
입력전압*0.632
걸린 시간
오차
(%)
100KΩ
330 μF
33
5V
3.16V
36.4
0.1%
5.분석 및 토의
이번실험은 데이터 스튜디오를 이용하여 RC시상수 측정값을 기록하고 RC시상수 이론값과 비교하는 실험이었습니다. 비교적 큰 오차 없이 정확하게 잘 행해졌습니다. 여기서 RC시상수는 원래 기전력의 배, 즉 약 63.2%가 되게 하는 시간을 말합니다. RC시상수는 콘덴서에 걸리는 전압 외에도 회로에 연결한 저항 값과 콘덴서 값에 따라 RC시상수 값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실험 결과를 분석해 보면 RC시상수는 저항 값과 콘덴서 값에 각각 비례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험결과에 나타나 있는 그래프는 축전기에 충전되는 전하량을 시간에 따라 그린 것으로 대체로 처음에는 축전기에 충전되는 전하량이 큰 폭으로 상승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 증가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실험 후 같은 콘덴서를 사용 할 때 그 콘덴서를 방전한 후 사용해야 하는데 방전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 오차의 원인으로 생각합니다.
3. R = 10 kΩ 이고 C = 10 μF 일 때
저항
capacitance
RC이론값
입력전압
입력전압*0.632
걸린 시간
오차
(%)
10KΩ
10 μF
0.1
5V
3.16V
0.15
0.5%
4. R = 100 kΩ 이고 C = 10 μF 일 때
저항
capacitance
RC이론값
입력전압
입력전압*0.632
걸린 시간
오차
(%)
100KΩ
10 μF
1.0
5V
3.16V
1.1
0.1%
5. R = 10 kΩ 이고 C = 100 μF 일 때
저항
capacitance
RC이론값
입력전압
입력전압*0.632
걸린 시간
오차
(%)
10KΩ
100 μF
1.0
5V
3.16V
0.45
0.55%
6. R = 100 kΩ 이고 C = 100 μF 일 때
저항
capacitance
RC이론값
입력전압
입력전압*0.632
걸린 시간
오차
(%)
100KΩ
100 μF
10
5V
3.16V
12.5
0.25%
7. R = 10 kΩ 이고 C = 330 μF 일 때
저항
capacitance
RC이론값
입력전압
입력전압*0.632
걸린 시간
오차
(%)
10KΩ
330 μF
3.3
5V
3.16V
3.3
0%
8. R = 100 kΩ 이고 C = 330 μF 일 때
저항
capacitance
RC이론값
입력전압
입력전압*0.632
걸린 시간
오차
(%)
100KΩ
330 μF
33
5V
3.16V
36.4
0.1%
5.분석 및 토의
이번실험은 데이터 스튜디오를 이용하여 RC시상수 측정값을 기록하고 RC시상수 이론값과 비교하는 실험이었습니다. 비교적 큰 오차 없이 정확하게 잘 행해졌습니다. 여기서 RC시상수는 원래 기전력의 배, 즉 약 63.2%가 되게 하는 시간을 말합니다. RC시상수는 콘덴서에 걸리는 전압 외에도 회로에 연결한 저항 값과 콘덴서 값에 따라 RC시상수 값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실험 결과를 분석해 보면 RC시상수는 저항 값과 콘덴서 값에 각각 비례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험결과에 나타나 있는 그래프는 축전기에 충전되는 전하량을 시간에 따라 그린 것으로 대체로 처음에는 축전기에 충전되는 전하량이 큰 폭으로 상승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 증가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실험 후 같은 콘덴서를 사용 할 때 그 콘덴서를 방전한 후 사용해야 하는데 방전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 오차의 원인으로 생각합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RC회로에서의 충, 방전 과정
RC 회로를 이용한 LPF 저역 통과 필터 제작
RLC회로의 임피던스<일반물리학실험//형설출판사//경희대학교>
일반물리학실험 - 교류회로(결과)
RC,RL회로의 과도응답
RC회로의 이해와 실습
기초회로실험 레포트
전자회로실험 레포트
[전자회로실험] (예비) 18장 BJT 차동 증폭기 - BJT 차동 증폭기의 대신호 동작과 소신호 동...
rc회로 충방전
rc 저역통과 및 고역통과 필터
[전자회로실험]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구형파 발생기) 결과
[물리학및실험] (예비레포트) 전기저항 측정 - 휘트스톤 브리지 (Wheatstone Bridge) : 휘트...
기초회로실험 예비+결과 레포트 2학년 모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