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론
1. 고전소설이란
2. 고전소설의 유형과 특질
(1)고전소설의 유형
(2)고전소설의 특질
3. 고전소설의 사적전개
4. 신소설과의 관련성
Ⅲ. 마치며
Ⅱ. 본론
1. 고전소설이란
2. 고전소설의 유형과 특질
(1)고전소설의 유형
(2)고전소설의 특질
3. 고전소설의 사적전개
4. 신소설과의 관련성
Ⅲ. 마치며
본문내용
정치적으로는 왕조의 교체기이고 사상적으로는 불교에서 유교질서 체제로 바뀐 시기로서 설화와 소설의 공존에서 소설 우위의 체제로 변모되어간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김시습 『金鰲新話』
원호 『元生夢遊錄』
남효온 『睡鄕記』
심의 『大觀齋夢遊錄』
권필 『周生傳, 章敬天傳』
임제 『愁城誌』
임진왜란 (1592A.D.) ~ 영조(1725A.D.)
전기성 비현실성들 중세적 요소들이 내포되어있고 근대적인 요소가 소설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또한 모순된 사회제도에 대한 비판의식과 함께 민중의식이 성장하여 서민주도의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허균 『홍길동전』
조위한 『崔陟傳』
작자미상 『壽聖宮夢遊錄, 劉忠烈傳』
김만중 『謝氏南征記, 九雲夢』
영조(1725A.D.) ~ 순조(1801A.D.)
양반주도의 문학에서 벗어나 서민의식 등이 강하게 부각되어 근대적인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박지원 『許生傳, 兩班傳』
작자미상 『李春風傳, 玉丹春傳』
순조(1801A.D.) ~ 광무 10년(1906A.D.)
신소설이 출현하기 이전의 소설이 나온 시기로서 비현실적인 요소나 전기적인 요소가 배제돼있고, 사건전개에 있어서 우연성 남용이 사라졌고, 표현문자가 한문에서 국문으로 전환 되었다.
『배비방전』
김소행 『三韓拾遺』
4. 신소설과의 관련성
고전소설과 신소설의 관련성을 알아보려면 먼저 신소설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해야 한다. 먼저, 신소설이란 갑오경장 이전의 고소설에 대하여 새로운 내용, 형식, 문체로 이루어진 소설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또한 1900년대 중반부터 1917년 이광수의 무정 이 발표되기까지의 소설을 말하며, 고소설과 현대 소설 사이의 교량적 역할을 하였다. 표면적인 주제는 개화, 계몽사상의 고취, 즉 자주독립, 자유연애, 신교육 권장, 인습과 미신의 타파, 전대의 가치관인 유교적 질서 비판 등 개화, 계몽사상의 구체적인 실천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어 진보적인 면을 보였다.
그러나 이면적인 주제는 권선징악이라는 운명론적인 사고방식을 표출하여 보수적인 면을 보였습니다.
-신소설과 고전소설의 차이점
고전소설
신소설
표현내용
중세적인 봉건생활의 표현
근대적인 생활사 표현
구성과 표현
동양적인 형식
독창성×, 기존방식 모방
표현방식이 일률적임
독창적이고, 창의적
구성법
평면적인 방법
-사건의 진행을 시간적 경과에 따라 진행
주제는 권선징악
분석적인 방법
-결과에서 원인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구성
인물과 배경
인간의 보편성을 무시하고 과장법을 써서 초인간적인 인물, 비현실적인 인물을 생성, 선인과 악인의 극단적 구현
시대적 배경은 왕조나 연대만을 나타냈을 뿐 구체적으로 표현하지 않아 시대상을 찾아볼 수 없음
인간의 감정을 집중적으로 표현하여 입체적인 인물구성, 시대의 이념을 대변할만한 선구자적인 인물을 내세움
배경은 묘사가 집중되어 현실적임, 실제적 현실을 바탕으로 함
문장과 문체
고전소설의 문장을 율문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그것은 춘향전이나 심청전 같은 판소리계 소설에만 해당되고 고전소설의 문장은 산문에 가까움
문체는 중국의 고사나 한자어를 지나치게 인용한 문장이며 언문일치의 구어체가 아니라 문어체임
신소설의 문체는 평이한 일상용어인 구어체, 즉 언문일치체에 접근하였으나 불완전한 언문일치였음. 서술 형식의 전기체에서 벗어나 장면 묘사로 시작되는 모사체로 바뀌었음
Ⅲ. 마치며
우리나라에서 소설이라는 장르의 위치는 매우 낮았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고전소설이 발생했을 때의 위치와도 같다. 먼저 고전소설은 15세기 금오신화를 시작으로 소설이 발생했다고 할 수 있는데, 조선은 유교의 나라로서 인간의 감정이 주제가 되는 소설이라는 장르는 사대부에게 있어서 천한 문학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유학적으로 감정에 해당되는 7정(喜怒哀懼愛惡慾)은 천하고, 기피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서양과는 달리 우리나라에서의 소설이라는 장르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소설의 시작이 김시습의 금오신화라고 본다면, 우리나라 소설의 역사는 500여년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세계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셰익스피어의 작품 역시 500여년전에 만들어졌다. 우리나라의 최초의 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 금오신화와 로미오와 줄리엣을 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우리나라의 고전소설 역시 의미가 있고, 소설을 쓰고, 읽는 사람들의 생각과 삶이 많이 담겨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한국문학사. 김윤식, 김현. 1973
국문학개론. 김기동. 2002
국문학개론. 김광순외 16명. 2003
한국문학개론. 김학동. 1992
김시습 『金鰲新話』
원호 『元生夢遊錄』
남효온 『睡鄕記』
심의 『大觀齋夢遊錄』
권필 『周生傳, 章敬天傳』
임제 『愁城誌』
임진왜란 (1592A.D.) ~ 영조(1725A.D.)
전기성 비현실성들 중세적 요소들이 내포되어있고 근대적인 요소가 소설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또한 모순된 사회제도에 대한 비판의식과 함께 민중의식이 성장하여 서민주도의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허균 『홍길동전』
조위한 『崔陟傳』
작자미상 『壽聖宮夢遊錄, 劉忠烈傳』
김만중 『謝氏南征記, 九雲夢』
영조(1725A.D.) ~ 순조(1801A.D.)
양반주도의 문학에서 벗어나 서민의식 등이 강하게 부각되어 근대적인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박지원 『許生傳, 兩班傳』
작자미상 『李春風傳, 玉丹春傳』
순조(1801A.D.) ~ 광무 10년(1906A.D.)
신소설이 출현하기 이전의 소설이 나온 시기로서 비현실적인 요소나 전기적인 요소가 배제돼있고, 사건전개에 있어서 우연성 남용이 사라졌고, 표현문자가 한문에서 국문으로 전환 되었다.
『배비방전』
김소행 『三韓拾遺』
4. 신소설과의 관련성
고전소설과 신소설의 관련성을 알아보려면 먼저 신소설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해야 한다. 먼저, 신소설이란 갑오경장 이전의 고소설에 대하여 새로운 내용, 형식, 문체로 이루어진 소설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또한 1900년대 중반부터 1917년 이광수의 무정 이 발표되기까지의 소설을 말하며, 고소설과 현대 소설 사이의 교량적 역할을 하였다. 표면적인 주제는 개화, 계몽사상의 고취, 즉 자주독립, 자유연애, 신교육 권장, 인습과 미신의 타파, 전대의 가치관인 유교적 질서 비판 등 개화, 계몽사상의 구체적인 실천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어 진보적인 면을 보였다.
그러나 이면적인 주제는 권선징악이라는 운명론적인 사고방식을 표출하여 보수적인 면을 보였습니다.
-신소설과 고전소설의 차이점
고전소설
신소설
표현내용
중세적인 봉건생활의 표현
근대적인 생활사 표현
구성과 표현
동양적인 형식
독창성×, 기존방식 모방
표현방식이 일률적임
독창적이고, 창의적
구성법
평면적인 방법
-사건의 진행을 시간적 경과에 따라 진행
주제는 권선징악
분석적인 방법
-결과에서 원인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구성
인물과 배경
인간의 보편성을 무시하고 과장법을 써서 초인간적인 인물, 비현실적인 인물을 생성, 선인과 악인의 극단적 구현
시대적 배경은 왕조나 연대만을 나타냈을 뿐 구체적으로 표현하지 않아 시대상을 찾아볼 수 없음
인간의 감정을 집중적으로 표현하여 입체적인 인물구성, 시대의 이념을 대변할만한 선구자적인 인물을 내세움
배경은 묘사가 집중되어 현실적임, 실제적 현실을 바탕으로 함
문장과 문체
고전소설의 문장을 율문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나 그것은 춘향전이나 심청전 같은 판소리계 소설에만 해당되고 고전소설의 문장은 산문에 가까움
문체는 중국의 고사나 한자어를 지나치게 인용한 문장이며 언문일치의 구어체가 아니라 문어체임
신소설의 문체는 평이한 일상용어인 구어체, 즉 언문일치체에 접근하였으나 불완전한 언문일치였음. 서술 형식의 전기체에서 벗어나 장면 묘사로 시작되는 모사체로 바뀌었음
Ⅲ. 마치며
우리나라에서 소설이라는 장르의 위치는 매우 낮았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고전소설이 발생했을 때의 위치와도 같다. 먼저 고전소설은 15세기 금오신화를 시작으로 소설이 발생했다고 할 수 있는데, 조선은 유교의 나라로서 인간의 감정이 주제가 되는 소설이라는 장르는 사대부에게 있어서 천한 문학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유학적으로 감정에 해당되는 7정(喜怒哀懼愛惡慾)은 천하고, 기피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서양과는 달리 우리나라에서의 소설이라는 장르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소설의 시작이 김시습의 금오신화라고 본다면, 우리나라 소설의 역사는 500여년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세계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셰익스피어의 작품 역시 500여년전에 만들어졌다. 우리나라의 최초의 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 금오신화와 로미오와 줄리엣을 비교할 수는 없겠지만, 우리나라의 고전소설 역시 의미가 있고, 소설을 쓰고, 읽는 사람들의 생각과 삶이 많이 담겨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한국문학사. 김윤식, 김현. 1973
국문학개론. 김기동. 2002
국문학개론. 김광순외 16명. 2003
한국문학개론. 김학동. 1992
추천자료
2009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0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2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동계계절시험 고전소설강독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4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경판본 홍길동전과 박태원 홍길동전 비교)
2017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