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염상섭의 <두파산>
1. 구성
2. 인물 분석
3. 인물의 유형분류 작품에 적용해보기
1) 페린의 인물 유형 분류- 정적인물, 동적인물
2) 전형적 인물과 개성적 인물
3) 주동 인물과 반동 인물
4. 인물묘사
1) 직접적 제시
2) 간접적 제시
송병수의 <쑈리킴>
1. 스토리 분석
2. 인물 명명법
3. 인물의 유형분류 작품에 적용해보기
2) 전형적 인물과 개성적 인물
4. 인물묘사
1) 직접적 제시
2) 간접적 제시
1. 구성
2. 인물 분석
3. 인물의 유형분류 작품에 적용해보기
1) 페린의 인물 유형 분류- 정적인물, 동적인물
2) 전형적 인물과 개성적 인물
3) 주동 인물과 반동 인물
4. 인물묘사
1) 직접적 제시
2) 간접적 제시
송병수의 <쑈리킴>
1. 스토리 분석
2. 인물 명명법
3. 인물의 유형분류 작품에 적용해보기
2) 전형적 인물과 개성적 인물
4. 인물묘사
1) 직접적 제시
2) 간접적 제시
본문내용
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것이 아니라 위와 같이 인물의 외양의 묘사를 통해서 인물의 특성을 드러낸다. 이 부분에서는 외모, 체형과 같은 신체적 특성 즉 어쩔 수 없는 선천적인 외적 자질을 통해서 인물의 특성을 드러낸다. 살이 찌고 눈두덩이가 튀어나온 '불독'으로 인물을 비유함으로써 표독스러운 성격을 암시한다.
-행동을 통한 인물의 특성파악
시간은 지금 막 다섯 시다. 시간이 제대로 맞는지 우선 떠버리의 라디오를 틀어 봐야겠다. 다섯 시라면 어린이 시간이다. 아마 어제 하다 만 방송 어린이극을 오늘도 할는지 모른다.
이 부분은 쑈리가 어린이 라디오를 듣는 행동을 통해서 전쟁 통에 인간미가 사라진 상황에서 아직도 순순한 어린이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주인공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대화를 통한 인물의 특성파악
발화의 내용, 즉 쑈리의 돈을 훔쳐가면서도 '이게 왜 네 것이냐'라는 발화를 통해 찔뚝이의 뻔뻔하고 탐욕스러운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발화의 내용뿐만 아니라 미군을 양키라고 하는 말씨를 통해 자신의 이익을 챙기기 위해서는 앞에서는 아부도 서슴지 않지만 뒤에서는 양키라고 비하하는 말을 하는 찔뚝이의 이중성을 볼 수도 있다.
따링 누나가 꼭 가지고 오라던 그 팔백 달러 뭉치를 움켜쥐고 있다. “남의 것 왜 훔쳐 가느냐.”고 쑈리는 앞을 막아섰다. “이게 양키 물건이지 네 것이냐.”고 비쭉이면서 놈은 달아나려 한다. 쑈리는 “이 도둑놈의 자식, 일 내라.”고 욕을 하며 놈의 팔을 잡고 늘어졌다. 그랬더니 놈도 눈을 부릅뜨며 “이 새끼가 왜 귀찮게 구느냐.”고 주먹으로 내지르고는 찔뚝거리며 달아난다.
-행동을 통한 인물의 특성파악
시간은 지금 막 다섯 시다. 시간이 제대로 맞는지 우선 떠버리의 라디오를 틀어 봐야겠다. 다섯 시라면 어린이 시간이다. 아마 어제 하다 만 방송 어린이극을 오늘도 할는지 모른다.
이 부분은 쑈리가 어린이 라디오를 듣는 행동을 통해서 전쟁 통에 인간미가 사라진 상황에서 아직도 순순한 어린이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주인공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대화를 통한 인물의 특성파악
발화의 내용, 즉 쑈리의 돈을 훔쳐가면서도 '이게 왜 네 것이냐'라는 발화를 통해 찔뚝이의 뻔뻔하고 탐욕스러운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발화의 내용뿐만 아니라 미군을 양키라고 하는 말씨를 통해 자신의 이익을 챙기기 위해서는 앞에서는 아부도 서슴지 않지만 뒤에서는 양키라고 비하하는 말을 하는 찔뚝이의 이중성을 볼 수도 있다.
따링 누나가 꼭 가지고 오라던 그 팔백 달러 뭉치를 움켜쥐고 있다. “남의 것 왜 훔쳐 가느냐.”고 쑈리는 앞을 막아섰다. “이게 양키 물건이지 네 것이냐.”고 비쭉이면서 놈은 달아나려 한다. 쑈리는 “이 도둑놈의 자식, 일 내라.”고 욕을 하며 놈의 팔을 잡고 늘어졌다. 그랬더니 놈도 눈을 부릅뜨며 “이 새끼가 왜 귀찮게 구느냐.”고 주먹으로 내지르고는 찔뚝거리며 달아난다.
추천자료
근대 민족 문학사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근대문학의 지형변화 1
원시부터 근대까지의 한국문학사
[한국문학][해학][근대문학][리얼리즘문학][해외출판 사례]한국문학의 역사, 한국문학의 성격...
근대의식의 시발점 - <홍길동전>을 중심으로
[우리말의 역사 4공통]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
근대 극복의 기획과 페미니즘 [권명아 소개]
근대 문학과 문학의 변화
한일 근대문학에서의‘고백’
근대 국가 건설을 위한 이념과 민족 -이태준의「해방 전후」·「먼지」를 중심으로-
박태원의 새로운 시도와 기법-한국근대문학사 속 모더니즘,몽타주기법,리얼리즘의 관점,이기...
[우리말의 역사 공통] 국어사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설명하시오.
근대가 그려진 문학작품-계급과 자본주의 (최서해,김기진,박영희,이기영,한설야,염상섭,강경...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우리말의 역사 공통] 국어사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