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어 교과서 수록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
염상섭의 「삼대」
1. 교과서 내 학습목표
2. 문학 영역의 목표 및 내용
3. 「삼대」 작품 설명
3-1. 「삼대」 줄거리 및 내용 설명
3-2. 「삼대」를 이끄는 5가지 틀
4. 지도상의 유의점 및 지도 방법
염상섭의 「삼대」
1. 교과서 내 학습목표
2. 문학 영역의 목표 및 내용
3. 「삼대」 작품 설명
3-1. 「삼대」 줄거리 및 내용 설명
3-2. 「삼대」를 이끄는 5가지 틀
4. 지도상의 유의점 및 지도 방법
본문내용
고려해서 글을 해석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고, 글이 쓰여진 당시의 배경을 통해서도 작품을 파악할 수 있다. 그렇다면 8단원의 학습 목표는 글이 쓰인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작품을 파악하려는 입장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생각해 볼 문제는 글을 읽고 이를 수용하기 위해서 작가에 대한 이해나 작품의 배경이 되는 당시의 상황을 활용하는 것이 배제되어서는 안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를 작품 해석의 기준으로 전적인 의지를 해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윤동주의 시를 해석할 때면 그 당시 배경이 되는 1940년대 식민지 시대라는 점을 떠올리면서 자연스럽게 작품을 시대와 관련지어 저항시라는 이미지로만 해석의 폭을 제한해 버리는 것이다. 그로 인해 시가 갖는 표현이 모두 저항과 일제에 대한 저항으로만 해석이 되버리는 것이다. 이처럼 문학을 해석하고 수용하는 것은 읽는 사람에 따라 다양하게 수용되어야 하고 이를 통해서 문학의 주는 즐거움을 알도록 하는 데 있다. 즉, 「삼대」라는 텍스트가 주는 배경적 특징이나 작가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작품을 수용하는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각과 해석을 통해 문학이 주는 진정한 즐거움을 알 수 있도록 지도를 해야 한다.
추천자료
근대산문에 대해
최인훈의 「총독의 소리」의 작품분석과 수업 지도 방안에 대해
국어과교육의 특징과 교과서 1차시 선택해 학습목표 해석하고 학습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교...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및 읽기영역 분석 & 교과서 비판 및 재구성
국어과 교육론 말하기 영역 교육과정, 교과서 정리 자료
[독일][독일음악][르네상스][슈타이너음악론][음악교육]독일의 역사, 독일의 교육제도, 독일...
<표본실의 청개구리>와 염상섭 초기 3부작의 문학사적 의의
죤 로크의 근대 훈련적 교육관 개요
[수업지도안] Ⅱ. 근대의 역사교육
[문학교육]소설에서 허구개념의 성립 - 소설 텍스트의 허구성 및 소설의 독서과정과 허구성의...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한국교육의 역사] 우리나라 교육의 역사(발전과정) -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대, ...
[문학교육] 구체적 작품의 실재적 교수와 평가 방안(김건원의 현대 단편 소설 '대목'을 중심...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그의 생애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