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2
Ⅱ 본론………………………………………3
1. 빈폴 브랜드 소개……………………3
1.1. 브랜드 개요
1.2. 브랜드컨셉
1.3. 연혁
1.4. 매출 및 성과
2. 빈폴의 기업 환경 분석………………6
2.1. 5 FORCES 분석
2.2. SWOT 분석
3. 빈폴의 경영 전략………………………13
3.1. 시장 세분화 전략
3.2. 가격차별화 전략
Ⅲ 결론………………………………………21
Ⅳ 참고………………………………………22
Ⅱ 본론………………………………………3
1. 빈폴 브랜드 소개……………………3
1.1. 브랜드 개요
1.2. 브랜드컨셉
1.3. 연혁
1.4. 매출 및 성과
2. 빈폴의 기업 환경 분석………………6
2.1. 5 FORCES 분석
2.2. SWOT 분석
3. 빈폴의 경영 전략………………………13
3.1. 시장 세분화 전략
3.2. 가격차별화 전략
Ⅲ 결론………………………………………21
Ⅳ 참고………………………………………22
본문내용
고려 대상 목록에 올라가며 지속적인 고가격에 대해서도 관대한 소비자 태도를 이끌었다. 이것은 소비자의 가격 수용 폭이 커졌음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한번 우수한 브랜드로 인식이 되면, 한번 구매한 고객은 계속해서 그 제품만을 구매하게 되는 고객 충성도가 형성되면서 경쟁력을 지닐 수 있게 되었다.
<기대효과>
브랜드의 확장이나 라인 확장을 할 때에 처음부터 제품력에 대한 기대의 효과를 발휘했다. 소비자들로부터 어느 정도의 만족감만을 제시하더라도 "역시 빈폴이야" 반응을 얻게 된 것이다. 새로이 확장된 빈폴 레이디스나 키즈 등 새로운 브랜드 라인이 시작부터 큰 성과를 얻은 데는 이렇게 사전에 구축된 브랜드 이미지의 덕이 크다고 할 수 있었다. 특히, 제일모직에 속해있다는 장점과 함께 이러한 긍정적인 기대효과를 형성할 수 있었다.
<관성 효과>
이는 브랜드 가지가 높은 제품의 경우, 고객의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가 높기 때문에, 어떤 클레임이나 하자가 발견될 때도 어쩌다 한번 발생하는 단순한 실수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는 반면, 브랜드 가치가 낮은 제품의 경우엔 "싼 게 비지떡이다." 라는 비난을 면치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이 빈폴이 No Sale 전략을 펴는데 큰 작용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고가 전략과 No Sale 전략을 통해, 긍정적으로 형성된 브랜드 전체에 대한 이미지는 개개의 제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소비자의 관용적 태도를 유도해 낸다.
Ⅲ 결론
빈폴은 처음부터 선발업체였고, 선발업체의 이점을 가지고 있던 ‘토끼’라는 폴로를 이기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야 했던 거북이였다고 볼 수 있다. 부교재, ‘거북이는 잠자지 않는 토끼를 이길 수 있는가’에서 보았듯이, 혁신적 경영전략이 없이 잠자지 않고 열심히 걷는 토끼를 이기는 거북이란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처음에 폴로를 벤치마킹했지만, 시장세분화 및 가격차별화 전략을 통해 1위의 자리를 차지하게 된 빈폴은 타 기업과는 다른 혁신적 경영전략을 통해 성공한 대표적인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빈폴과 같은 패션업계의 성공기업의 경우 타 기업에서 그 모방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타 기업이 모방하기 어려운, 하지만 지속 가능한 R&C를 통해 경쟁우위를 차지하는 데 있어서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요즘 들어 폴로와 헤지스라는, 선발업체와 후발업체가 동시에 압박을 가하는 샌드위치형의 모습은 마치 미국, 일본의 선발 기업들과 중국의 후발 기업들 사이에서 옴짝달싹 못하고 있는 한국기업들의 모습을 보는 듯하다. 이 과정에서 만약 빈폴이 차별화된 성공적인 전략을 끌어내지 못한다면, 더 이상, 패션계에서 전설로 남을 빈폴 성공 신화는 그 의미를 잃게 될 것이다.
물론, 앞의 SWOT분석에서도 보았듯이 빈폴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 먼저, 한국 기업이 런칭한 업체이니만큼 한국인의 구미에 맞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한국에서의 입지를 조금 더 굳건히 할 수 있을 것이고, 제일모직과 삼성이라는 대기업이라는 환경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더 큰 다각화 및 서브브랜드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구축해 온 고급브랜드라는 이미지를 통해, 점점 더 차별화된 고급화를 추구하는 고객에게 어필하여 더 큰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더 이상 폴로 모방이 아닌 특별한, 장기간 고객의 뇌리에 남을 수 있는 빈폴만의 안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해야 한다는 점이며, 지방 매장의 확대 및 효과적인 상업망 관리를 통해, 더 넓은 고객층과 더 높은 고객 충성도를 확보해야한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앞의 기사에서도 보았듯이, 중국 등의 해외로 진출하는 과정 속에서 한류현상과 결부되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빈폴의 잠재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는 빈폴이 초기에 한국인의 감각에 맞추어 안정적인 체크무늬를 내놓았듯이, 진출하는 해외 각지에 맞는 제품 차별화를 시도해야 한다는 점이다. 물론, 핸드폰 제조업체인 노키아가 그랬듯이, Mass market을 대상으로 하여, 통일된 디자인을 내놓는 방법도 있을 수 있으나, 패션 업계의 경우 다양화되지 않은, 지나치게 단순한 디자인 경향을 ‘단조로움’이라는, 고객의 충성도를 약화시키는 악영향을 낳을 수 있다. 여기에서 빈폴은 삼성이 그랬던 것처럼, 또 한국에서 그랬던 것처럼 최대한으로 시장을 분석하고, 각 시장의 고객 니즈에 맞는 제품 생산을 통해, ‘아 역시 빈폴이야’라는 인식을 유지시켜야 할 것이다.
끝으로, 국내에서든 해외에서든 빈폴 매장 내에 놀이터를 설치한다든지, 카페와 함께 매장을 운영한다는 등의 방식은 기존 고객의 선호도 상승 및 새로운 고객 유치에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나아가, 현재 몇몇 전자제조업체들이 실제 취하고 있는, 브랜드 체험관과 같은 시스템을 운영하여, 고가의 제품이지만 고객층에게 부담스럽게 작용하기 보다는, 가까이 있는 편안한 제품의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Ⅳ 참고
< 참고자료 >
김상헌. 『귀족마케팅』. 청년정신. 2003.
박용성. 『21C를 달리는 좋은 상품 마케팅 광고 사례선집』. 한국마케팅연구원. 1998.
원대연. 『가치를 디자인하라』. 노블마인. 2006.
조성환 外. 『대한민국 일등상품 마케팅 전략』. 위즈덤하우스. 2005.
한국능률협회, [2005 마케팅 성공사례], 한국능률협회
산업자원부. 섬유·패션 발전전략Ⅱ. 2004-04.
한국경영협회. 브랜드 경영 진단 모델 연구. 2002-04.
2005. 11. 27. KBS “신화창조” 방송분
2007. 10. 18. 한국 경제 신문
2007. 10. 18. 헤럴드 경제 신문
2007. 12. 15. 매일 경제 신문
< 참고사이트 >
제일모직, www.cii.samsung.co.kr
제일모직 IR자료, www.cii.samsung.co.kr
빈폴, www.beanpole.co.kr
삼성디자인넷 www.samsungdesign.net
한국의류학회, www.ksct.or.kr
한국의류시장 의류소비실태조사 발표, www.fashionbiz.co.kr
<기대효과>
브랜드의 확장이나 라인 확장을 할 때에 처음부터 제품력에 대한 기대의 효과를 발휘했다. 소비자들로부터 어느 정도의 만족감만을 제시하더라도 "역시 빈폴이야" 반응을 얻게 된 것이다. 새로이 확장된 빈폴 레이디스나 키즈 등 새로운 브랜드 라인이 시작부터 큰 성과를 얻은 데는 이렇게 사전에 구축된 브랜드 이미지의 덕이 크다고 할 수 있었다. 특히, 제일모직에 속해있다는 장점과 함께 이러한 긍정적인 기대효과를 형성할 수 있었다.
<관성 효과>
이는 브랜드 가지가 높은 제품의 경우, 고객의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가 높기 때문에, 어떤 클레임이나 하자가 발견될 때도 어쩌다 한번 발생하는 단순한 실수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는 반면, 브랜드 가치가 낮은 제품의 경우엔 "싼 게 비지떡이다." 라는 비난을 면치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이 빈폴이 No Sale 전략을 펴는데 큰 작용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고가 전략과 No Sale 전략을 통해, 긍정적으로 형성된 브랜드 전체에 대한 이미지는 개개의 제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소비자의 관용적 태도를 유도해 낸다.
Ⅲ 결론
빈폴은 처음부터 선발업체였고, 선발업체의 이점을 가지고 있던 ‘토끼’라는 폴로를 이기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야 했던 거북이였다고 볼 수 있다. 부교재, ‘거북이는 잠자지 않는 토끼를 이길 수 있는가’에서 보았듯이, 혁신적 경영전략이 없이 잠자지 않고 열심히 걷는 토끼를 이기는 거북이란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처음에 폴로를 벤치마킹했지만, 시장세분화 및 가격차별화 전략을 통해 1위의 자리를 차지하게 된 빈폴은 타 기업과는 다른 혁신적 경영전략을 통해 성공한 대표적인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빈폴과 같은 패션업계의 성공기업의 경우 타 기업에서 그 모방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타 기업이 모방하기 어려운, 하지만 지속 가능한 R&C를 통해 경쟁우위를 차지하는 데 있어서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요즘 들어 폴로와 헤지스라는, 선발업체와 후발업체가 동시에 압박을 가하는 샌드위치형의 모습은 마치 미국, 일본의 선발 기업들과 중국의 후발 기업들 사이에서 옴짝달싹 못하고 있는 한국기업들의 모습을 보는 듯하다. 이 과정에서 만약 빈폴이 차별화된 성공적인 전략을 끌어내지 못한다면, 더 이상, 패션계에서 전설로 남을 빈폴 성공 신화는 그 의미를 잃게 될 것이다.
물론, 앞의 SWOT분석에서도 보았듯이 빈폴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 먼저, 한국 기업이 런칭한 업체이니만큼 한국인의 구미에 맞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한국에서의 입지를 조금 더 굳건히 할 수 있을 것이고, 제일모직과 삼성이라는 대기업이라는 환경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더 큰 다각화 및 서브브랜드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구축해 온 고급브랜드라는 이미지를 통해, 점점 더 차별화된 고급화를 추구하는 고객에게 어필하여 더 큰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유의해야 할 점은, 더 이상 폴로 모방이 아닌 특별한, 장기간 고객의 뇌리에 남을 수 있는 빈폴만의 안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해야 한다는 점이며, 지방 매장의 확대 및 효과적인 상업망 관리를 통해, 더 넓은 고객층과 더 높은 고객 충성도를 확보해야한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앞의 기사에서도 보았듯이, 중국 등의 해외로 진출하는 과정 속에서 한류현상과 결부되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빈폴의 잠재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는 빈폴이 초기에 한국인의 감각에 맞추어 안정적인 체크무늬를 내놓았듯이, 진출하는 해외 각지에 맞는 제품 차별화를 시도해야 한다는 점이다. 물론, 핸드폰 제조업체인 노키아가 그랬듯이, Mass market을 대상으로 하여, 통일된 디자인을 내놓는 방법도 있을 수 있으나, 패션 업계의 경우 다양화되지 않은, 지나치게 단순한 디자인 경향을 ‘단조로움’이라는, 고객의 충성도를 약화시키는 악영향을 낳을 수 있다. 여기에서 빈폴은 삼성이 그랬던 것처럼, 또 한국에서 그랬던 것처럼 최대한으로 시장을 분석하고, 각 시장의 고객 니즈에 맞는 제품 생산을 통해, ‘아 역시 빈폴이야’라는 인식을 유지시켜야 할 것이다.
끝으로, 국내에서든 해외에서든 빈폴 매장 내에 놀이터를 설치한다든지, 카페와 함께 매장을 운영한다는 등의 방식은 기존 고객의 선호도 상승 및 새로운 고객 유치에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나아가, 현재 몇몇 전자제조업체들이 실제 취하고 있는, 브랜드 체험관과 같은 시스템을 운영하여, 고가의 제품이지만 고객층에게 부담스럽게 작용하기 보다는, 가까이 있는 편안한 제품의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Ⅳ 참고
< 참고자료 >
김상헌. 『귀족마케팅』. 청년정신. 2003.
박용성. 『21C를 달리는 좋은 상품 마케팅 광고 사례선집』. 한국마케팅연구원. 1998.
원대연. 『가치를 디자인하라』. 노블마인. 2006.
조성환 外. 『대한민국 일등상품 마케팅 전략』. 위즈덤하우스. 2005.
한국능률협회, [2005 마케팅 성공사례], 한국능률협회
산업자원부. 섬유·패션 발전전략Ⅱ. 2004-04.
한국경영협회. 브랜드 경영 진단 모델 연구. 2002-04.
2005. 11. 27. KBS “신화창조” 방송분
2007. 10. 18. 한국 경제 신문
2007. 10. 18. 헤럴드 경제 신문
2007. 12. 15. 매일 경제 신문
< 참고사이트 >
제일모직, www.cii.samsung.co.kr
제일모직 IR자료, www.cii.samsung.co.kr
빈폴, www.beanpole.co.kr
삼성디자인넷 www.samsungdesign.net
한국의류학회, www.ksct.or.kr
한국의류시장 의류소비실태조사 발표, www.fashionbiz.co.kr
추천자료
더페이스샵(화장품)의 성공 경영전략 분석과 마케팅 전략(A+레포트)
삼성전자의 해외시장진출 마케팅 및 경영전략 성공사례
나이키(NIKE)의 마케팅 및 경영전략과 성공요인
[국제경영학]글로벌기업 혼다의 경영전략 및 해외마케팅 분석
[마케팅] BBQ의 경영전략 및 마케팅분석 PPT
이문화 환경에서의 마케팅 믹스별 경영전략
[A+] 임페리얼팰리스 호텔 조사보고서 (경영전략분석,마케팅,SWOT,STP,인적자원관리,마케팅,...
소셜커머스 쿠팡(coupang) 기업분석 및 현 문제점분석과 쿠팡 마케팅전략 제안과 경영전략분석
[서비스 마케팅 팀 프로젝트 기업분석] 아모레퍼시픽(Amore Pacific), 중국시장에서 어떻게 ...
사우스웨스트항공 (Southwest Airlines) - 사우스웨스트항공 기업분석과 차별화된 마케팅, ...
IKEA 이케아 기업분석과 이케아 경영전략연구및 이케아 마케팅전략과 글로벌 진출사례분석
농심 기업분석과 SWOT분석/ 농심 마케팅,경영전략과 SWOT,4P분석/ 농심 향후전략제안
사우스웨스트항공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사우스웨스트 경영전략,마케팅전략 사례연구및 사우...
맥도날드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맥도날드 경영전략,마케팅사례분석과 맥도날드 문제점과 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