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 내과 실습 일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IM 내과 실습 일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찰 및 투약 관찰
-IV line 제거 수행
-bedmaking 수행
-중심정맥관 관리
-케모포트 드레싱 및 관리
-v/s 수행
-대상자 검사실로 안내
Orientation 및
지도내용
-10A병동의 특징과 물품들의 위치. 분리수거 지도 받음
-손 씻기의 중요성 지도 받음
-투약준비 지도 받음
-투약후의 대상자 관찰 내용과 기록 지도 받음
-BST측정 방법 지도 받음
-IV line 제거 방법 지도 받음
-v/s 측정 방법 지도 받음
-bedmaking 지도 받음
-중심정맥관 관리 방법 교육
특수검사 전 후
간호 관찰 내용
1. 검사 전 간호
삽입 시술 전 담당의사에게 자세한 설명 및 부작용에 대해 상담 후 동의서를 작성하게 됩니다.
삽입 시술 하루 전날 밤 12시부터 금식을 하고 병원으로 옵니다.
삽입 시술 전 혈액응고 검사를 하고, 출혈 위험이 없는지 확인하고 시 술을 하게 됩니다.
2. 검사 후 간호
실밥 제거 전까지는 간단한 소독이 필요하지만, 실밥을 제거하고 나 면 소독이 필요하지 않으며, 샤워나 목욕도 가능하며, 특별 한 주의 사항은 없습니다.
시술 직후에는 출혈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시술 직후 2~3시간동안은 시술 부위게 지혈이 되도록 모래 주머니를 올려 놓고 누워서 안정해야 하며, 시술 1~2일동안만 무리한 운동을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임상치료 관련 간호내용
지혈을 위한 Sand bag을 되어주고, 대상자의 통증을 사정한다.
1. Sand bag으로 지혈 : 중심정맥관 삽입 후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서
환자가 와위로 눕혀서 샌드백을 되고 지지하 도록 하였다.
2. 감염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하루 한번 드레싱을 한다는 것을 교육 하였고, 라인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서 헤파린을 투여하였다.
4. 2008년 5월 15~16일
(1) 간호수행내용
주요검사 계획
- PTBD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경피적담관배액)
1.PTBD의 정의 :
간·담도에 결석 또는 종양으로 인해 담즙 배액에 문제가 있거나 수 술이 불가능한 악성 담 도 폐색 환자에게 도관 (tube) 이나 스 텐트(stent)를 삽입하여 체외 또는 체외로 일시적인 담도 누공을 형성시켜 담즙을 배출시키는 시술
2. 적응증
① 수술이 불가능한 악성담도폐쇄
② 수술 전 감압, 수술 후 재발한 폐쇄성황달
③ 화농성담관염 또는 간농양
④ 담도계 시술을 위한 접근경로 확보
3. 금기 : 출혈성 성향, 다랑의 복수, 다발성간내전이, 상부담관폐쇄
4. 합병증 : sepsis 저혈합, shock, bleeding, 담즙누출, 재폐색, 튜브 의 폐쇄혹은이탈
5. 처치전 검사 : sono, rap ( PT(15초↑ -> X),PTT, bilirubin, PLT (5 0,000/㎤↓->X))
- ENBD
(Endoscopic Nasobiliary Drainage) 내시경적 비담관 배액법
정의 및 목적
ERCP후 내시경을 이용하여 담관에 잘 유지 되도록 고안된 도간을 담관폐쇄 상부르 지나 유지시키고 도관의 다른 한쪽은 코르 통해 체외로 빼내어 일시적 또는 단기간동안의 담즙배액을 목적으로 시 행하는 방법이다
양성 또는 악성질환에 의한 폐쇄성 황달에서 일시적인 전신상태호 전을 위하여 화농성 담관염에서 담관감압을 위하여 항생제 및 담석 용해제등의 관류를 목적으로 시행한다.
간호활동내용
(수행 및 관찰)
① v/s ck 3개의 병실 19명을 하고 수시로 special v/s ck
② v/s 차트 기록 관찰, MRI, CT에서 TUMOR에 관한 관찰법 교육
③ BST ck 수행 3회
④ EKG monitoring 1회 관찰.
⑤ 산소포화도 검사 관찰 5회
⑥ IV setting, side shooting, connect, 3way 사용 관찰
⑦ bed making 10회 수행, 경구투약 관리 1회
⑧ 냉찜질 3회 수행
⑨ I/O check 2회 수행
⑩ L-tube 관리 및 dressing 1회 관찰.
⑪ 피부간호 및 욕창관리 3회 수행
Orientation 및 지도내용
내과 병동 소개
수액세트 설치하는 방법
골전도 체온계 사용방법
약물에 대한 설명
드레싱 카트 설명
특수검사 전 후
간호 관찰 내용
- PTBD
NURSE가 시술 전과 후에 할일-
① 환자에게 시술의 목적 방법 설명 ( Dr.)
② 8~12hr NPO
③ IV route 확보
④ pre me야- 검사실 보냄
⑤ 환자 돌아오면 상처부위 관찰, 튜브가 꼬이거나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
⑥ V/S, po intake 가능
⑦ 튜브에 담즙주머니 연결하고 튜브가 꼬이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상처 아래쪽 복부에 반창고로 튜브 고정
⑧ 담즙주머니는 상처부위보다 항상 낮게 위치, semi fowler position 운동시에는 담즙주머니 대퇴부에 고정 (-> 배액의 역류를 막고 중 력에 의한 배출을 돕기 위함)
⑨ 매일 튜브 주위의 피부를 소독하고 건조하게 유지시키며 출혈이나 답즙이 스며나오는지 관찰(-> 답즙이 복부내에 새는 경우 환자 는 복통과 말열, 오한이 있게됨)
⑩ 담즙의 양과 색깔을 관찰하고 매일 배액량 측정
⑪ 튜브, 피부, 담즙주머니 관리방법, 배액량측정, 합병증 증상에 대 해 환자와 보호자 교육
- ENBD
시술 전후 간호
검사 전 8-10시간 동안 금식한다.
Buscopan - 검사 30분 전 근육주사하여 연동운동을 저하시킴으로써 위액과 타액의 분비를 억제한다.
Atropine sulfate - 불안의 해소, 심리적 안정을 유지한다. 인&후두의 국소마취, 고통감소, 구토를 방지한다.
검사 후 6-10시간 금식한다.
담관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항생제를 투여한다.
환자에게 가래를 심하게 뱉지 않도록 주의시킨다.
24시간 vital sign check한다.
임상치료 관련 간호내용
시술 부위에 배액양상과 튜브를 통해 나오는 담즙을 관찰한다.
환자의 I/O를 체크한다.
시술 부위의 통증을 사정하고, 환자에게 필요시에 진통제를 투여한다.
시술 부위에 감염을 막기 위해서, 하루에 한번 드레싱을 실시하고, 환자에게 감염의 위험성을 교육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5.24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8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