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F(최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OF(최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종경선) : 좌골극간의 중앙 ~ 천골부위 [4.5cm]
3)Pelvic outlet
①Anterior-Posterior diameter(전후경선) : coccyx ~ 치골결합 [11.5cm]
②Transverse diamter(횡경선) : 양측 ischial tuberosity간의 거리 [10.5cm]
③Posterior-sagittal diameter(후종경선) : ischial tuberosity ~ coccyx tip [7.5cm]
5.골반 측정
1)외부골반측정
①골반 측정기로 골반의 외부 치수를 측정하여 골반의 경선을 추정함
②대상자의 자세 : 복부를 노출시키고 옆으로 혹은 바로 눕게 함
2)내부골반측정
①임신 34-35주에 주로 이루어지며 골반의 크기를 정확하게 평가하는게 중요
②검진대에 산모를 눕게 한 후 내진을 통해 실시
3)X-ray 골반계측
①과거에 자주 사용
②요즘은 난산, 골반협착, 둔위의 질 분만시 사용
③과거력에서 골반의 질환을 앓았거나 손상을 입은 임부의 경우에도 유용함
4)CT촬영 : 골반과 태향, 태위를 비롯한 아두의 크기 등을 정확히 측정 할 수 있으며 X-ray 계측 때보다 3/1 정도만 방사선에 노출되고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듬
5)MRI : 정확하게 골반 계측을 할 수 있고 태아의 완전한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방사선의 외부 노출이 없음
6)초음파 검사 : 태아의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데도 용이하고 골반계측이 가능함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Ⅰ,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2010,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Ⅱ, 정문숙 외, 2002, 정담미디어
모성간호학 프로토콜, 성미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5.24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8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