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대해 설명하 며, 동의서를 받는다.
- 검사물을 채취하는데 이용되는 방법 : 바늘 생검 (조직을 떼어낼 수 있는 바늘을 삽입)
- 마취제의 종류 : 국소마취
(기관지경 검사와 흉강 절개술은 전신마취를 하게 된다.)
② 신체준비
- 시술일로부터 2~3주 이내에 출혈체질에 대한 검사를 시행한다.
- 출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제는 최소한 시술 전 5일 이상 투 여를 중단한다.
- 검사 전에 진정제를 투여할 수 있다. (대상자는 투여하지 않음)
- 바늘 생검을 할 때는 가능한 한 움직이지 않아야 하고, 생검 바 늘이 삽입된 후에는 기침하는 것을 자제해야 한다.
(대상자는 Chronic cough 환자로 검사시 기침 억제를 위해 codein을 투여함)
(2)시술 후 간호
- 환자는 천자한 부위가 아래로 가도록 자세를 취하게 함으로써 기 흉 발생을 줄이고 출혈이 있을 경우 파급되는 것을 막는다.
- 검사 후에 활력징후와 호흡 상태를 자세히 관찰한다. 활력징후를 조사할 때마다 생검 부위의 출혈 여부를 관찰한다.
- 검사 후에 호흡부전이나 다른 불편감이 있을 경우 바로 보고한다.
- 검사에 관해서 걱정이 되는 것을 말로 표현하고 질문을 하도록 격 려한다.
임상치료 관련 간호내용
-효과적 기침법
1. 앉은 자세에서 머리를 약간 숙이고 어깨를 편안하게 하고 무릎은 구부리고 베개를 복부에 대고, 가능 한 발은 바닥에 닿게 한다.
2. 천천히 입술 오므리기 호흡으로 호기하면서 머리를 앞쪽으로 숙인 다.
3. 천천히 깊게 횡경막 호흡으로 몸을 일으킨다.
4. 2와 3을 4회 반복하여 객담을 이동시킨다.
5. 횡경막 호흡으로 깊게 흡기한 상태에서 몸을 앞으로 숙이고, 호기 하면서 3-4회 강하게 기침한다. 이 때 베개로 복부를 지지해준다
-흉부물리 요법의 단계
1. 식사 1시간 전 또는 식후 1-3시간 후에 수행한다.
2. 수행 15분 전에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를 흡입시킨다.
3. 휴지, 곡반, 종이백, 베게 등 필요 물품을 준비한다.
4. 흉부 X-선 촬영 결과, 청진, 타진, 촉진을 하여 적절한 체위를 취 해준다. 중력에 의한 분비물 배액을 위해서 5-15분 동안 한 체위 를 유지한다.
5. 호흡, 얼굴색의 변화를 통해 환자가 견디는지 평가한다.
6. 복식호흡을 수회 시행하도록 한다.
7. 체위 배액 부위를 1-2분 간 두드린다.
8. 4-5회의 깊은 호기를 하는 동안 동일 부위에 진동법이나 두드리기 를 시행한다.
9. 같은 자세로 기침을 하도록 돕는다. 효과적인 기침을 위해 타월로 지지해 준다. 필요시 좌위를 취한다. 객담 배출을 위해 30분 정도 의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10. 더 이상 배출되는 객담이 없을 때까지 진동, 두드리기, 기침법을 반복 시행한다.
11. 다른 체위가 필요한 경우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 시행한다.
12. 체위배액 완료시 편안한 자세를 취해주고 구강 간호를 하고 휴지 로 닦아준다.
13. 체위배액 중 호흡곤란이 있으면 저산소혈증을 평가한다.
14. 객담의 양, 청진 소견, 체위배액 결과, 환자의 견디는 정도를 평 가하고 기록한다.
지도교수의 조언
(2) 간호사례 연구
Case study
입원일시/환자명/연령/성별/진단명
11.02/이○○/78세/남성/bacterial pneumonia
간호문제(진단) 및 계획
#2. 질병과 관련된 체온 상승
<<간호계획>>
<진단적>
1.대상자의 V/S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2.고열로 인한 증상을 관찰한다.
<치료적>
3. 옷을 얇게 입힌다.
4. 37.5℃이상일 경우 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아준다.
5. 38℃이상일 경우 해열제를 투여한다.
6. 해열제로 인한 부작용을 관찰한다.
7. 땀으로 인해 대상자의 의복이 젖은 경우 바로 갈아입힌다.
8.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최대의 휴식을 도모한다.
<교육적>
9.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10. 미온수 맛사지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간호문제(진단),계획 및 간호중재
<<간호중재>>
1.V/S을 측정하였다.
2.V/S을 측정할 때마다 대상자의 고열로 인한 증상을 관찰하였다.
3.대상자에게 환의를 벗기고 내의만 입혔다.
4.열을 잴 때 37.5℃ 이상이면 미온수 맛사지를 시행하였다.
5.38.0℃일때 처방에 따라 Denogan 1g/5ml를 IV로 투약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해열제 투약 1시간 후 체온을 다시 측정하였다.
6.해열제의 부작용이 일어나는지 관찰하였다.
7.대상자의 환의가 땀으로 젖었을 때 바로 갈아입혀주었다. 침대시트 상태에 따라 시트도 교환해 주었다.
8.병실의 다른 환자분들게 양해를 구하고 TV소리를 낮추고,병실 문을 닫아드리고 대상자쪽의 조명을 꺼드려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모하였다.
10.열이 날 때 수분섭취가 충분하지 않으면 열이 심해져 경련, 발작 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교육하였다.
11.대상자와 대상자 보호자에게 미온수 마사지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마사지법에 대하여 시범을 보였다.
간호평가
<<간호평가>>
1.대상자의 V/S을 4시간 마다 측정하였다.<11/3>
BP
T
P
R
8AM
140/100
38.0
100
26
12PM
140/80
37.8
100
24
4PM
140/100
37.4
90
22
2.대상자는 구강점막이 말라 있었으며, 땀으로 인해 피부가 축축하였다.
3.대상자가 체온 상승이 있을 때 환의를 벗기고 내의만 입혔더니 열 이 좀 내려가는 것 같다고 말씀하셨다.
4.미온수로 적신 수건으로 말단부위부터 닦아주었다. 특히 겨드랑이, 땀이 차기 쉬운 부위를 중점적으로 닦고 환의를 갈아 입혀 드렸다.
5.11/3 8:00 체온이 38.0℃라서 간호사선생님이 해열제를 3-way 통 해서 투약하셨다. 투약 1시간 후 체온이 37.6℃로 내렸다.
6.대상자에게 해열제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7.보호자께서 수시로 오셔서 환의를 가져가서 대상자를 갈아 입히셨 다.
8.대상자는 “훨씬 안정되는 것 같아요.”라고 말씀하셨다.
10.대상자는 물을 수시로 마시겠다고 말씀하셨다.
11.대상자의 보호자는 대상자가 체온상승이 있을 때 마다 수건을 적 셔 대상자에게 미온수 마사지를 하였다.
- 검사물을 채취하는데 이용되는 방법 : 바늘 생검 (조직을 떼어낼 수 있는 바늘을 삽입)
- 마취제의 종류 : 국소마취
(기관지경 검사와 흉강 절개술은 전신마취를 하게 된다.)
② 신체준비
- 시술일로부터 2~3주 이내에 출혈체질에 대한 검사를 시행한다.
- 출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제는 최소한 시술 전 5일 이상 투 여를 중단한다.
- 검사 전에 진정제를 투여할 수 있다. (대상자는 투여하지 않음)
- 바늘 생검을 할 때는 가능한 한 움직이지 않아야 하고, 생검 바 늘이 삽입된 후에는 기침하는 것을 자제해야 한다.
(대상자는 Chronic cough 환자로 검사시 기침 억제를 위해 codein을 투여함)
(2)시술 후 간호
- 환자는 천자한 부위가 아래로 가도록 자세를 취하게 함으로써 기 흉 발생을 줄이고 출혈이 있을 경우 파급되는 것을 막는다.
- 검사 후에 활력징후와 호흡 상태를 자세히 관찰한다. 활력징후를 조사할 때마다 생검 부위의 출혈 여부를 관찰한다.
- 검사 후에 호흡부전이나 다른 불편감이 있을 경우 바로 보고한다.
- 검사에 관해서 걱정이 되는 것을 말로 표현하고 질문을 하도록 격 려한다.
임상치료 관련 간호내용
-효과적 기침법
1. 앉은 자세에서 머리를 약간 숙이고 어깨를 편안하게 하고 무릎은 구부리고 베개를 복부에 대고, 가능 한 발은 바닥에 닿게 한다.
2. 천천히 입술 오므리기 호흡으로 호기하면서 머리를 앞쪽으로 숙인 다.
3. 천천히 깊게 횡경막 호흡으로 몸을 일으킨다.
4. 2와 3을 4회 반복하여 객담을 이동시킨다.
5. 횡경막 호흡으로 깊게 흡기한 상태에서 몸을 앞으로 숙이고, 호기 하면서 3-4회 강하게 기침한다. 이 때 베개로 복부를 지지해준다
-흉부물리 요법의 단계
1. 식사 1시간 전 또는 식후 1-3시간 후에 수행한다.
2. 수행 15분 전에 처방된 기관지 확장제를 흡입시킨다.
3. 휴지, 곡반, 종이백, 베게 등 필요 물품을 준비한다.
4. 흉부 X-선 촬영 결과, 청진, 타진, 촉진을 하여 적절한 체위를 취 해준다. 중력에 의한 분비물 배액을 위해서 5-15분 동안 한 체위 를 유지한다.
5. 호흡, 얼굴색의 변화를 통해 환자가 견디는지 평가한다.
6. 복식호흡을 수회 시행하도록 한다.
7. 체위 배액 부위를 1-2분 간 두드린다.
8. 4-5회의 깊은 호기를 하는 동안 동일 부위에 진동법이나 두드리기 를 시행한다.
9. 같은 자세로 기침을 하도록 돕는다. 효과적인 기침을 위해 타월로 지지해 준다. 필요시 좌위를 취한다. 객담 배출을 위해 30분 정도 의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10. 더 이상 배출되는 객담이 없을 때까지 진동, 두드리기, 기침법을 반복 시행한다.
11. 다른 체위가 필요한 경우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 시행한다.
12. 체위배액 완료시 편안한 자세를 취해주고 구강 간호를 하고 휴지 로 닦아준다.
13. 체위배액 중 호흡곤란이 있으면 저산소혈증을 평가한다.
14. 객담의 양, 청진 소견, 체위배액 결과, 환자의 견디는 정도를 평 가하고 기록한다.
지도교수의 조언
(2) 간호사례 연구
Case study
입원일시/환자명/연령/성별/진단명
11.02/이○○/78세/남성/bacterial pneumonia
간호문제(진단) 및 계획
#2. 질병과 관련된 체온 상승
<<간호계획>>
<진단적>
1.대상자의 V/S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2.고열로 인한 증상을 관찰한다.
<치료적>
3. 옷을 얇게 입힌다.
4. 37.5℃이상일 경우 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아준다.
5. 38℃이상일 경우 해열제를 투여한다.
6. 해열제로 인한 부작용을 관찰한다.
7. 땀으로 인해 대상자의 의복이 젖은 경우 바로 갈아입힌다.
8.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여 최대의 휴식을 도모한다.
<교육적>
9.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10. 미온수 맛사지의 중요성과 방법에 대하여 교육한다.
간호문제(진단),계획 및 간호중재
<<간호중재>>
1.V/S을 측정하였다.
2.V/S을 측정할 때마다 대상자의 고열로 인한 증상을 관찰하였다.
3.대상자에게 환의를 벗기고 내의만 입혔다.
4.열을 잴 때 37.5℃ 이상이면 미온수 맛사지를 시행하였다.
5.38.0℃일때 처방에 따라 Denogan 1g/5ml를 IV로 투약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해열제 투약 1시간 후 체온을 다시 측정하였다.
6.해열제의 부작용이 일어나는지 관찰하였다.
7.대상자의 환의가 땀으로 젖었을 때 바로 갈아입혀주었다. 침대시트 상태에 따라 시트도 교환해 주었다.
8.병실의 다른 환자분들게 양해를 구하고 TV소리를 낮추고,병실 문을 닫아드리고 대상자쪽의 조명을 꺼드려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모하였다.
10.열이 날 때 수분섭취가 충분하지 않으면 열이 심해져 경련, 발작 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교육하였다.
11.대상자와 대상자 보호자에게 미온수 마사지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마사지법에 대하여 시범을 보였다.
간호평가
<<간호평가>>
1.대상자의 V/S을 4시간 마다 측정하였다.<11/3>
BP
T
P
R
8AM
140/100
38.0
100
26
12PM
140/80
37.8
100
24
4PM
140/100
37.4
90
22
2.대상자는 구강점막이 말라 있었으며, 땀으로 인해 피부가 축축하였다.
3.대상자가 체온 상승이 있을 때 환의를 벗기고 내의만 입혔더니 열 이 좀 내려가는 것 같다고 말씀하셨다.
4.미온수로 적신 수건으로 말단부위부터 닦아주었다. 특히 겨드랑이, 땀이 차기 쉬운 부위를 중점적으로 닦고 환의를 갈아 입혀 드렸다.
5.11/3 8:00 체온이 38.0℃라서 간호사선생님이 해열제를 3-way 통 해서 투약하셨다. 투약 1시간 후 체온이 37.6℃로 내렸다.
6.대상자에게 해열제의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7.보호자께서 수시로 오셔서 환의를 가져가서 대상자를 갈아 입히셨 다.
8.대상자는 “훨씬 안정되는 것 같아요.”라고 말씀하셨다.
10.대상자는 물을 수시로 마시겠다고 말씀하셨다.
11.대상자의 보호자는 대상자가 체온상승이 있을 때 마다 수건을 적 셔 대상자에게 미온수 마사지를 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