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Impression - Esophageal cancer
advanced gastric cancer
▷ Chief Complaint - vomiting
▷ 상기 59세의 남환은 내원 6일 전부터 식사를 하시면 넘어가지 않고 vomiting 소견 보여 2010년 3월 5일 local에서 시행한 GFS에서 병변 보여 본원 권유받고 입원.
(2) Post History
▷ HTN(-), DM(-), Pul.Tbc(-), Hepatitis(-)
▷ 본 환자는 1998년 AGC로 경북대 병원에서 STG 시행 후 PO로 chemo 약 1달~2 달간 시행 받았던 분으로 완치 판정.
▷ 2001년 GB stone 진단받아 cholecystostomy
(3) previous op & adm Hx ( + / + )
▷ 98년도 AGC 진단 받고 STG 수술하기 위해 경북대 병원에 입원
▷ 2001년도 GB stone 진단받고 cholecystostomy
3) Physical Examination
▷ General : General weakness(+), Fatigue(+), Appetite loss(+)
▷ 소화기계 : dysphagia(+), dyspepsia(+), N/V(+/+)
▷ 호흡기계 : dyspnea(-), chest pine(-)
▷ 비뇨기계 : voiding difficalt 있어 nelatone 으로 1200cc 뺏으나 그 후에도 요의 느끼 지 못해 3월 17일 Foley catheter 삽입
4) 진단 검사
3월 5일
3월6일
3월16일
3월20일
정상치
WBC
5.4
3.3
4.6
5.6
4.0~10
RBC
3.58
3.52
3.99
3.05
4.2~6.3
Hgb
10.9
11.1
12.7
10
17~13
Hct
33
32.1
37.8
27.4
39~52
MCHC
36.1
34.4
33.6
36.7
32~36
Neutrophil
76
67
76
78
40~74
Lymphocyte
13
17
15
8
19~48
① CBC
3월5일
3월13일
3월20일
정상치
sodium(NA)
134
131
126
135~153
Potassium(K)
4
4
3.4
3.5~5.3
Chloride(치)
104
100
98
99~115
② 전해질 검사
③ 일반화학 검사
3월5일
3월6일
3월13일
3월20일
정상치
Albumin
3.8
3.2
3.3
3
3.1~5.2
Glucose
103
101
153
115
7.~110
AST
29
23
16
79
0~37
ALT
15
11
14
34
0~41
BUN
16
14.3
9
9
8~20
Creatinine
0.8
0.8
0.7
0.5
0.6~1.4
④ cheat CT
▷ combine passage disturbance.
▷ parasite infection related lesion such as paragonimiasis.
⑤ Gastofiberscopy : GFS
▷ 식도 하부 27~31cm에 ulcerosn lesion 이 eccentar 하게 관찰되어 내시경 통과 어려 움.
⑥ 조직검사
▷ the specimen consists of 3 pieces of biopsied gray soft tissue, clinically from esophagus, measuring 0.2*0.2*0.2cm in the largest one
5) 투약
약명
약리작용
투여방법
부작용
Nifedipine
관상 동맥성 심장 질환의 초기 치료제
PO - 3pc
안면홍조, 열감, 혈압저하, 기립성저혈압
Newlanta
제산제
PO - 4pa
변비, 설사
Domprtidone malete
제산제
PO - 3pc
가슴앓이, 오심, 구토
Eupayilin
급성위염, 만성 위염의 위점막 병변 개선
PO - 2pc
구역, 구토, 식욕부진, 설사, 속쓰림
Ranitidine
위 십이지장 궤양, 수술 후 궤양 , 식도염
PO - 2pc
과립구 감소증, 부정맥, 변비, 설사
Fentanyl citate
마약성 진통제
PRN
복통, 두통, 부정맥, 흉통, 소화부량, 구토
6) 치료 및 경과
① 식이 : LD
② esophageal cancer Stent insert (3월/16일)
▷ 상절치 하방에 27~31 ulcerosn lesion 이 eccentar 하게 관찰되어 10cm stent 삽입
7) 간호문제 LIST
① vomiting
② 기도 흡인위험
③ 변비
④ 불안
⑤ 감염 위험
간호과정 적용
stent 시술 후 딸꾹질과 관련된 기도 흡인위험성
S : "딸꾹질이 왜 이렇게 나는지 모르겠네."
O : stent 시술 후 딸꾹질 계속 하는 모습과 구토 하는 모습 보임
P : - 환자가 안정과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한다.
- 기도 흡인이나 구토 하지 않게 한다.
I : - 30분에 한번 씩 V/S을 재고 담당 선생님께 noti한다.
- 설탕물 30cc 정도를 타서 마실 수 있도록 한다.
- 흡인을 막기 위해 딸꾹질을 하다가 구토를 할 경우 고개를 좌측으로 돌리도록 교 육 한다.
- 처방한 약에 대해 보호자와 환자에게 설명하고 투여한다.
- 자주 v/s을 체크한다.
- 자주 마사지를 시행한다.
E : - 딸꾹질이 멈추어 환자가 안정하고 수면을 취하고 있다.
② Foley catheter 삽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S : “불편한데.. 이거 빼 버려!! ”
O : Foley catheter 삽입 후 불편해 하고 손과 시선이 가 있음
P : - 삽입 부위를 깨끗하게 유지한다.
- 환자가 감염의 위험성에 대해 알게 한다.
I : - 환자가 self remove 하지 않게 교육시킨다.
- urin bag은 항상 방광보다 아래쪽에 있도록 교육한다.
- 감염을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urin bag을 자주 비워 준다.
- 환자에게 urin bag을 삽입하고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
E : 환자가 감염의 위험성에 대해 인식하고 손으로 자주 만지지 않는다.
참고 문헌
심찬섭외, 2000, 계통별 강의를 중심으로 한 소화기학, 고려의학
전시자외, 2005, 성인간호 하, 현문사
전시자외, 2005, 성인간호 상, 현문사
김명자외, 2001, 기본간호학 하, 현문사
advanced gastric cancer
▷ Chief Complaint - vomiting
▷ 상기 59세의 남환은 내원 6일 전부터 식사를 하시면 넘어가지 않고 vomiting 소견 보여 2010년 3월 5일 local에서 시행한 GFS에서 병변 보여 본원 권유받고 입원.
(2) Post History
▷ HTN(-), DM(-), Pul.Tbc(-), Hepatitis(-)
▷ 본 환자는 1998년 AGC로 경북대 병원에서 STG 시행 후 PO로 chemo 약 1달~2 달간 시행 받았던 분으로 완치 판정.
▷ 2001년 GB stone 진단받아 cholecystostomy
(3) previous op & adm Hx ( + / + )
▷ 98년도 AGC 진단 받고 STG 수술하기 위해 경북대 병원에 입원
▷ 2001년도 GB stone 진단받고 cholecystostomy
3) Physical Examination
▷ General : General weakness(+), Fatigue(+), Appetite loss(+)
▷ 소화기계 : dysphagia(+), dyspepsia(+), N/V(+/+)
▷ 호흡기계 : dyspnea(-), chest pine(-)
▷ 비뇨기계 : voiding difficalt 있어 nelatone 으로 1200cc 뺏으나 그 후에도 요의 느끼 지 못해 3월 17일 Foley catheter 삽입
4) 진단 검사
3월 5일
3월6일
3월16일
3월20일
정상치
WBC
5.4
3.3
4.6
5.6
4.0~10
RBC
3.58
3.52
3.99
3.05
4.2~6.3
Hgb
10.9
11.1
12.7
10
17~13
Hct
33
32.1
37.8
27.4
39~52
MCHC
36.1
34.4
33.6
36.7
32~36
Neutrophil
76
67
76
78
40~74
Lymphocyte
13
17
15
8
19~48
① CBC
3월5일
3월13일
3월20일
정상치
sodium(NA)
134
131
126
135~153
Potassium(K)
4
4
3.4
3.5~5.3
Chloride(치)
104
100
98
99~115
② 전해질 검사
③ 일반화학 검사
3월5일
3월6일
3월13일
3월20일
정상치
Albumin
3.8
3.2
3.3
3
3.1~5.2
Glucose
103
101
153
115
7.~110
AST
29
23
16
79
0~37
ALT
15
11
14
34
0~41
BUN
16
14.3
9
9
8~20
Creatinine
0.8
0.8
0.7
0.5
0.6~1.4
④ cheat CT
▷ combine passage disturbance.
▷ parasite infection related lesion such as paragonimiasis.
⑤ Gastofiberscopy : GFS
▷ 식도 하부 27~31cm에 ulcerosn lesion 이 eccentar 하게 관찰되어 내시경 통과 어려 움.
⑥ 조직검사
▷ the specimen consists of 3 pieces of biopsied gray soft tissue, clinically from esophagus, measuring 0.2*0.2*0.2cm in the largest one
5) 투약
약명
약리작용
투여방법
부작용
Nifedipine
관상 동맥성 심장 질환의 초기 치료제
PO - 3pc
안면홍조, 열감, 혈압저하, 기립성저혈압
Newlanta
제산제
PO - 4pa
변비, 설사
Domprtidone malete
제산제
PO - 3pc
가슴앓이, 오심, 구토
Eupayilin
급성위염, 만성 위염의 위점막 병변 개선
PO - 2pc
구역, 구토, 식욕부진, 설사, 속쓰림
Ranitidine
위 십이지장 궤양, 수술 후 궤양 , 식도염
PO - 2pc
과립구 감소증, 부정맥, 변비, 설사
Fentanyl citate
마약성 진통제
PRN
복통, 두통, 부정맥, 흉통, 소화부량, 구토
6) 치료 및 경과
① 식이 : LD
② esophageal cancer Stent insert (3월/16일)
▷ 상절치 하방에 27~31 ulcerosn lesion 이 eccentar 하게 관찰되어 10cm stent 삽입
7) 간호문제 LIST
① vomiting
② 기도 흡인위험
③ 변비
④ 불안
⑤ 감염 위험
간호과정 적용
stent 시술 후 딸꾹질과 관련된 기도 흡인위험성
S : "딸꾹질이 왜 이렇게 나는지 모르겠네."
O : stent 시술 후 딸꾹질 계속 하는 모습과 구토 하는 모습 보임
P : - 환자가 안정과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한다.
- 기도 흡인이나 구토 하지 않게 한다.
I : - 30분에 한번 씩 V/S을 재고 담당 선생님께 noti한다.
- 설탕물 30cc 정도를 타서 마실 수 있도록 한다.
- 흡인을 막기 위해 딸꾹질을 하다가 구토를 할 경우 고개를 좌측으로 돌리도록 교 육 한다.
- 처방한 약에 대해 보호자와 환자에게 설명하고 투여한다.
- 자주 v/s을 체크한다.
- 자주 마사지를 시행한다.
E : - 딸꾹질이 멈추어 환자가 안정하고 수면을 취하고 있다.
② Foley catheter 삽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S : “불편한데.. 이거 빼 버려!! ”
O : Foley catheter 삽입 후 불편해 하고 손과 시선이 가 있음
P : - 삽입 부위를 깨끗하게 유지한다.
- 환자가 감염의 위험성에 대해 알게 한다.
I : - 환자가 self remove 하지 않게 교육시킨다.
- urin bag은 항상 방광보다 아래쪽에 있도록 교육한다.
- 감염을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urin bag을 자주 비워 준다.
- 환자에게 urin bag을 삽입하고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
E : 환자가 감염의 위험성에 대해 인식하고 손으로 자주 만지지 않는다.
참고 문헌
심찬섭외, 2000, 계통별 강의를 중심으로 한 소화기학, 고려의학
전시자외, 2005, 성인간호 하, 현문사
전시자외, 2005, 성인간호 상, 현문사
김명자외, 2001, 기본간호학 하, 현문사
추천자료
유방암(유방장애) 검사 치료 간호
췌장염[pancreatitis, 膵臟炎]문헌고찰과 간호
위암(gastric cancer)환자 간호사례연구
모성케이스(생식기 건강 문제를 가진 환자간호)-12쪽
일반외과 (general surgery) case 성인간호학임상실습 - 간종양 (liver cell carcinoma)
유방암에 대한 연구 필요성과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위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하고 위암 환자 간호를 소개한다
기관지천식(병태생리, 임상증상, 약물치료, 간호과정)
[여성] 정상분만[Normal delivery(NFSD)]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여성]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위암(원인, 임상증상, 진단검사, 치료, 간호, 수술 후 합병증)
분만실 케이스스터디, 급성통증, 불안, 간호진단, cpd, 제왕절개
위암의 원인, 임상증상, 진단검사, 치료, 간호, 수술 후 합병증
Halo traction care(할로 견인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