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궤양(gastric ulcer) 케이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궤양(gastric ulcer)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위궤양(gastric ulcer)란?
*원인
*증상
*진단
*검사
*치료
*예방

#간호력
신체검진
#활력징후
#Lab검사
#약물
#간호진단
 #1.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2. 음식물 섭취와 관련된 통증

본문내용

개선 : 급성위염, 만성위염의 급성악화기
1일 150mg(3캡슐)을 3회 분할 식후에 경구투여
변비. 복부팽만감. 설사. 구갈. 구역. 복통. OT/PT상승.
두통. 발진. 전신가려움증.
발적. 열감
CEFTRIAXONE KJE VIAL
복막염, 담낭염, 담관염 등 위장관감염증
1일 1회 1~2g(역가)을 정맥 또는 근육주사
Shock. 천명. 어지러음. 이명. 발진. 두드러기. 발열. 부종. 발적. 홍반. 대장염. 설사. 복통. 구토.
구역. 기침
-이 약에 쇽의 병력이 있는 환자
-세팔로스포린계 항생물질에 과민반응 환자 -페니실린계 항생물질에 과민반응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리도카인 등의 아닐리드계 국소마취제에 과민반응 환자(근육주사에한함.)
DICKNOL A.IM
류마티양 관절염, 골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강직성 척추염, 외상후수술후 염증 및 동통, 급성통풍, 신 및 간산통
1일 90mg을 둔부의
상부 한쪽 편에
깊숙이 주사
Shock. 부종. 호흡곤란. 소화성 궤양. 위장출혈. 구역. 구토. 식욕부진. 복통, 설사. 황달. 간장애. 신부전. 핍뇨. 혈뇨
소화성 궤양환자
심한 혈액이상 환자
심한 간장애 환자
심한 신장애 환자
심한 고혈압 환자
심한 심기능부전 환자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NETILMICIN INJ. 150MG
비뇨생식기 감염증
피부 및 피부조직 감염증, 화상, 외상 및 수술 후 감염예방
기관지염, 폐렴 등 하기도 감염증. 패혈증
골 및 관절 감염증
복막염 등 복부 내 감염증
1일 체중 Kg당 3~4mg(역가)을 2회 분할 투여
Shock. 청색증. 호흡곤란. 혈압저하. 구역. 발진. 구토. 설사. 변비. 가려움. 발열. 어지러음. 이명. 근육통. 핍뇨. 동통, 빈혈.
비타민K결핍증상
-이 약 또는 다른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물질 및 바시트라신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임부 및 수유부
-근육장애 환자(예 : 중증 근무력증)(신경근 차단작용이 있어 호흡억제가 나타날 수 있다.)
PROBEN AMP
뇌혈관 및 말초순환장애, 외상(염좌, 골절, 타박, 좌상 등), 수술후 연부종창으로 인한 염증 완화
1회 1-2앰플(2-4ml) 1일 3회 근육 또는 천천히 정맥주사
구역, 구토, 설사 심계항진, 열감, 빈맥. 발진.
불안, 수면장애, 두통, 근진전
2세 이하
#약물
#간호진단간호 진단
#1.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날 짜
10.10.15
간호 사정
주관적자료
“몇 일동안 변에 혈액이 섞여있었어요”
객관적자료
소변량이 감소하였다.
간호 목표
단기/장기
목표
장기목표
- 혈액 검사 결과가 정상범위에 있다.
- 충분한 체액량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 맥박수와 소변량이 정상적으로 회복된다.
간호 계획 및 수행
15분마다 V/S을 사정한다.
정맥 수액요법을 유지와 비경구 영양을 시행한다.
active bleeding인지 old bleeding인지 확인하고 active bleeding일 경우 cold saline irrigation한다.
Hct, Hb 수치를 모니터한다.
(Hb정상범위 14-18gm/dl, Ht정상범위 42-52%)
금식상태를 유지한다.
앙와위 자세나 직립자세 같은 급격한 체위 변경을 방지한다.
소변량을 정확히 측정한다.
수분손실이 있는지 모니터한다. ( 출혈, 구토, 설사, 빈호흡, 발한 등)
피부의 탄력성을 사정한다.
내시경과 혈액검사를 의뢰한다.
평 가
맥박이 70회/min으로 회복됨.
간호 진단
#2. 음식물 섭취와 관련된 통증
날 짜
10.10.16
간호 사정
주관적자료
“아파서 못먹겠어요”
객관적자료
정해진 양을 다 먹지 못함.
피로감. 허약감.
간호 목표
단기/장기
목표
장기목표
- 음식물 섭취에 대한 불편감이 감소했다.
단기목표
- 정해진 양의 음식을 섭취한다.
간호 계획 및 수행
활력징후(V/S)를 측정한다.
식전이나 식후 1시간 이내 제산제를 투여한다.
식사는 소량을 여러 번(하루 6-8회)나누어 먹는다.
음식은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되는 것으로 먹는다.
피로가 쌓였거나 공복 후에 폭식을 금한다.
위를 자극하는 음식은 피하도록 한다.
취침 3시간 전부터는 음식 섭취를 금한다.
구토를 자주하거나 혈액손실이 있을 경우 적당한 영양을
유지하기 위해 TPN과 수혈을 해준다.
평 가
통증이 줄었다고 말한다.
위궤양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면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아무렇지 않게 하고 있는 행동들이 신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잘 모르고 있는 것 같다. 예를 들어, 조금 아프다고 약을 남용하거나. 위산분비를 자극할 수 있는 차고 더운 음식, 매운 음식, 커피. 담배, 술, 밀가루 음식. 인스턴트식품, 탄산음료 등을 자주 섭취한다거나 하는 등의 행동이다. 이런 행동들로 인해 가벼운 위염에서 시작해 위궤양, 위암 등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 보통 사람들은 증상이 악화되기 전까지 그냥 대수롭지 않게 넘겨버리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평소에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내 몸이 어떤 고통을 받고 있을지 생각해볼 기회가 별로 없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서 내가 하고 있는 대부분의 행동들과 주변의 스트레스가 위에 문제를 만들 수 있는 일임을 깨달을 수 있었던 것 같고 생활습관을 고치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중간고사를 통해 배웠던 부분이었는데 시험치고 잊어버릴 뻔했던 부분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다음 실습에서 위궤양이라는 진단명을 듣는다면 환자에게 어떤 간호가 필요한지 내가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생각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며 이번 연구를 마무리 한다.
*참고문헌
김강미자, 김희경, 전시자 저, 2009.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김강미자, 김희경, 전시자 저, 2009.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한국해부생리학 교수협의회. 2008. 인체해부학. 현문사
감수: 지제근. 편저자: 송애랑 외 . 2009. 알기 쉽게 풀이한 의학용어. 아카데미아
MARILYN W. EDMUNDS 저 . 강정희 역 2008. 임상약리학. 정문각
성미혜 저. 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5.27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0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