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한의학 음양오행과 우리의 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활한의학 음양오행과 우리의 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오행으로 본 인체의 순환원리

-오행과 인체생리의 관계-

1. 오행의 기운과 오장
1)木의 기운
(2)火의 기운
(3) 土의 기운
(4)金의 기운
(5) 水의 기운

2. 오장의 상생과 상극
1) 상생의 원리
2) 상극의 원리

본문내용

는 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2) 상극의 원리
(1) 비장은 신장의 활동을 견제한다.(土克水)
土에 해당되는 인체의 기관은 비장이며, 水의 기운은 신장이다. 상극의 원리에 따르면 土는 水를 통제하므로, 비장은 신장의 활동을 견제한다는 뜻이된다.
(2) 신장은 심장의 활동을 견제한다.(水剋火)
신장의 부신에서 생성되는 아드레날린과 알도스테론이라는 호르몬이 심장의 박동을 촉진시키며 혈액의 나트륨 함량을 파악하여 노폐물을 소변으로 배출시킴으로써 혈압을 유지시켜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호르몬의 작용이 원활하지 못하면, 심장의 작동도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水의 기운을 지닌 신장이 火의 기운인 심장을 통제한다는 상극의 원리가 적용되는 것이다.
(3) 심장은 폐의 기능을 견제한다.(火克金)
심장은 따르면 심장의 기능이 폐의 작용을 견제하게 된다. 혈류량을 담당하는 것이 심장이다. 때문에 심장활동의 허실이 폐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4) 폐는 간의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金克木)
인체에서 金의 기운은 폐이며 木의 기운은 간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극의 원리에 의하면 폐는 간의 활동을 견제한다는 뜻이 된다. 산소의 공급을 주도하는 기관이 폐이므로, 폐의 기능 여부가 간의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5) 간은 비장의 활동을 견제한다(木剋土)
비장은 글리카곤과 인슐린을 생산하는데, 이들의 기능이 간에서 생성된 포도당을 세포 속으로 밀어 넣는 일을 도와주는 것이다. 따라서 포도당의 생성은 인슐린의 역할을 조절한다고 할 수 있으니, 간의 기능이 비장의 활동을 견제한다는 뜻이된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5.27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2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