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중문화와 문화 산업
-이미지와 영상, 상품미학, 문화 제국주의와 문화상대주의-
1. 문화란?
2. 대중문화란?
3. 대중문화의 절정 - 상품미와 광고
4. 대중문화의 평가
5. 문화산업이란?
◎토론해봅시다.
-이미지와 영상, 상품미학, 문화 제국주의와 문화상대주의-
1. 문화란?
2. 대중문화란?
3. 대중문화의 절정 - 상품미와 광고
4. 대중문화의 평가
5. 문화산업이란?
◎토론해봅시다.
본문내용
치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모든 문화는 자체 내적 기준에 따라 판단해야 하므로 전세계 문화들을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절대적 기준은 존재할 수 없다. 각 문화의 유일성을 고려하지 않고 여러 사회들을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어떤 문화가 다른 문화보다 발전되었다거나 우월하다고 말할 수 없다. 모든 사회적 가치들은 상대적이다. 사람들은 자신들이 성장한 삶의 방식과 사회적 가치들을 좋아하며, 이것을 지속시키고 싶어한다. 이것이 문화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이다.
인류학에서 현지조사의 기법이 발달하고, 구조기능주의 학파가 등장하게 되자 다른 문화, 다른 사회들도 그 자체 체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자각하게 되었고, 다른 사회체계와 다른 세계관들의 내적 논리에 대한 탐구를 강조하게 되었다. 그래서 19세기 인류학의 백인 중심주의와 자민족 중심주의적 가설들에 대항해 원주민들을 옹호하게 되었다. 그 결과 각 문화와 각 사회들은 자체적인 합리성과 응집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 문화의 관습과 신념은 이러한 자체적인 합리성과 응집성의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문화 상대주의를 강조하게 되었다
보아스 학파에 의하면 미적, 윤리적 판단은 보편적 가치의 측면이 아니라 특수한 문화적 가치의 측면에서 내려져야 한다. 그러므로 합리성, 즉 사회적, 심리적으로 적절한 사고와 행동은 문화적 가치에 의거해 판단되어야 한다. 문화와 인성 학파에 의하면 문화는 일관성이 있는 사고와 행위의 유형이다. 무엇이 올바른 행위로 여겨지고, 무엇이 정상적인 심리상태로 간주되는가를 결정하는 것은 문화이다. 그러므로 한 사회에서 정상적인 것이 다른 사회에서는 비정상적일 수 있고, 그 역도 성립한다. 사회적, 심리적으로 적절한 사고와 행동은 문화적 가치에 의거해 판단되어야 한다는 보아스 학파의 주장은 문화 상대주의의 가장 극단적인 형태이다.
옳고 그름을 따지는 세상의 모든 진술들은 문화에 의존하고 있으며, 문화에 의존하지 않는 진술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면 간음의 정의와 그에 따른 처벌은 문화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워프 학파(Whorfian school)에 의하면 문화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명제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명제에 관해서 상대적 판단만 존재한다고 한다. "언어 범주는 인간이 세상을 보는 방식을 결정한다."는 것이 워프 학파의 언어 상대주의 이론(theory of linguistic relativism)의 요체이다. 워프 학파의 언어 상대주의는 문화 상대주의의 확산에 영향을 주었다.
◎토론해봅시다.
1. 캔터키 프라이드 치킨은 손에 기름을 묻히면서도 잘 먹고, 또 설익은 스테이크도 맛있게 먹으면서 개고기 먹는 이야기만 하면 질색하는 사람들이 많다. 과연 그 이유를 동물 애호라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2. 요즘 젊은이들 중에는 이른바 안정된 좋은 직업을 버리고 개그맨이나 광고 회사직원이 되려는 사람들이 꽤 있다. 이런 현상에 대해 평가해보자.
3. 속칭 된장남, 된장녀에 대해 나쁘게만 볼 것인지 토론해보자.
모든 문화는 자체 내적 기준에 따라 판단해야 하므로 전세계 문화들을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절대적 기준은 존재할 수 없다. 각 문화의 유일성을 고려하지 않고 여러 사회들을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어떤 문화가 다른 문화보다 발전되었다거나 우월하다고 말할 수 없다. 모든 사회적 가치들은 상대적이다. 사람들은 자신들이 성장한 삶의 방식과 사회적 가치들을 좋아하며, 이것을 지속시키고 싶어한다. 이것이 문화상대주의(cultural relativism)이다.
인류학에서 현지조사의 기법이 발달하고, 구조기능주의 학파가 등장하게 되자 다른 문화, 다른 사회들도 그 자체 체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자각하게 되었고, 다른 사회체계와 다른 세계관들의 내적 논리에 대한 탐구를 강조하게 되었다. 그래서 19세기 인류학의 백인 중심주의와 자민족 중심주의적 가설들에 대항해 원주민들을 옹호하게 되었다. 그 결과 각 문화와 각 사회들은 자체적인 합리성과 응집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 문화의 관습과 신념은 이러한 자체적인 합리성과 응집성의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문화 상대주의를 강조하게 되었다
보아스 학파에 의하면 미적, 윤리적 판단은 보편적 가치의 측면이 아니라 특수한 문화적 가치의 측면에서 내려져야 한다. 그러므로 합리성, 즉 사회적, 심리적으로 적절한 사고와 행동은 문화적 가치에 의거해 판단되어야 한다. 문화와 인성 학파에 의하면 문화는 일관성이 있는 사고와 행위의 유형이다. 무엇이 올바른 행위로 여겨지고, 무엇이 정상적인 심리상태로 간주되는가를 결정하는 것은 문화이다. 그러므로 한 사회에서 정상적인 것이 다른 사회에서는 비정상적일 수 있고, 그 역도 성립한다. 사회적, 심리적으로 적절한 사고와 행동은 문화적 가치에 의거해 판단되어야 한다는 보아스 학파의 주장은 문화 상대주의의 가장 극단적인 형태이다.
옳고 그름을 따지는 세상의 모든 진술들은 문화에 의존하고 있으며, 문화에 의존하지 않는 진술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면 간음의 정의와 그에 따른 처벌은 문화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워프 학파(Whorfian school)에 의하면 문화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명제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명제에 관해서 상대적 판단만 존재한다고 한다. "언어 범주는 인간이 세상을 보는 방식을 결정한다."는 것이 워프 학파의 언어 상대주의 이론(theory of linguistic relativism)의 요체이다. 워프 학파의 언어 상대주의는 문화 상대주의의 확산에 영향을 주었다.
◎토론해봅시다.
1. 캔터키 프라이드 치킨은 손에 기름을 묻히면서도 잘 먹고, 또 설익은 스테이크도 맛있게 먹으면서 개고기 먹는 이야기만 하면 질색하는 사람들이 많다. 과연 그 이유를 동물 애호라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2. 요즘 젊은이들 중에는 이른바 안정된 좋은 직업을 버리고 개그맨이나 광고 회사직원이 되려는 사람들이 꽤 있다. 이런 현상에 대해 평가해보자.
3. 속칭 된장남, 된장녀에 대해 나쁘게만 볼 것인지 토론해보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