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스타인 백 《분노의 포도》와 찰리 체플린의 《모던 타임즈》를 통해본 산업화의 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존 스타인 백 《분노의 포도》와 찰리 체플린의 《모던 타임즈》를 통해본 산업화의 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전 중고자동차 판매소에서 일했는데, 그곳에서는 좋지 않은 품질에 터무니 없는 가격을 붙여 속여 팔지만 장사가 잘된다. 이렇듯 모든 이들이 자동차를 소유하는 것에 혈안이 되어 있었다.
최초의 발성영화 “The Jass Singer(1927)"가 나온 이후 헐리우드의 영화산업은 활기를 띠게 되면서 영화업계는 성장한다. 젊은이들도 영화구경을 하나의 이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이 당시 라디오 또한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각광받는 산업으로 대유행하게 되었다.
이렇듯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자본이 지배하는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도입되면서 사유재산제를 바탕으로 노동력이 상품화 되었으며, 높은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상품들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자본주의의 집중은 빈부격차를 확대하고 부를 세습하였으며 실업자를 증대시키는 문제점을 낳았으며, 돈을 가장 소중한 것으로 여기는 물질주가 팽배하게 되었다.
-희망-
《분노의 포도》에서 캘리포니아로 꿈을 찾아 왔던 조드 일가는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잃는다. 로져산은 코니를 잃고 미처 세상을 보지 못한 자신의 아이를 잃는다. 그리고 조드 일가는 캘리포니아의 꿈을 잃는다. 그러나 소설의 끝에서 비를 긋기 위해 들어간 오두막에서 어린아이와 그의 죽어가는 아버지를 만난다. 먹을 것이 없어 죽어 가는 그 아이의 아버지를 위해 로져산은 자신의 젖을 먹인다. 꿈도 희망도 다 잃었다고 생각했지만 로져산은 한 생명을 살리게 되는 것이다. 즉 새 생명을 잉태하는 셈인것이다. 스타인 벡은 그 당시 미국의 절망적인 상황 속에 하나의 희망을 제시하고 싶었던 것 같다.
옆의 장면은《모던 타임즈》의 마지막 엔딩장면으로, 아무리 노력해도 어쩔 수 없다는 여자의 말을 듣고 남자는 할 수 있다며 다시 힘을 내자고 하면서 쭉 뻗은 길을 걷는 것으로 영화는 막을 내린다. 채플린은 사회가 아무리 산업화, 기계화되고 인간의 가치 마져 없어졌다고는 하지만 아직 우리에겐 사랑이 있고 희망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싶었던 것 같다.
Ⅲ. 나가면서
포도는 알갱이 하나하나가 뭉쳐져서 하나의 과일을 만든다. 당시 과일 따는 직업을 얻기 위해 캘리포니아로 몰려들었던 농민 하나하나의 힘이 모이기에는 방해요소들이 너무 많았지만 ‘국영캠프’라는 공동체를 만들 수 있었고 희망을 낫고자하는 하는 의지를 꺾을 수 없었을 것이다.
또한 시대적 배경을 영화의 주제로 삼아 찰리 체플린의 천재적 재능으로 산업사회의 문제점을 풍자한 코미디 영화 《모던 타임즈》를 보면서 통쾌한 웃음 보다는 쓴웃음을 지을 수 밖에 없었다. 채플린은 이 영화에서 산업사회의 문제점을 부각시켜 특유의 재치있는 표정과 몸짓으로 풍자하며, 80년 전에 이미 우리에게 경고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이 아직도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고 우리가 지금 급격한 발전을 거듭해서 편하고 살기 좋은 사회에서 사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 기계화, 산업화가 불러일으킨 물질만능주의, 인간소외 현상,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어떻게 극복할 것이며 인간의 존엄성 또한 어떻게 지켜나갈 것인지 고민해 봐야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5.29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00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