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봅시다.
◎백제는 4세기의 근초고왕이 정복활동에 있어서 가장 전성기입니다. 지도를 보면(c) 3갈래로 나누어져 진출하고 있죠? 근초고왕의 업적을 살펴봐도(c) 이러한 정복활동이 나타납니다. 이 후에는 고구려와 신라가 워낙 뚜렷하게 정복활동을 하는 바람에 제대로 된 정복이 어렵게 되지요.
다음에 보여주는 자료는 여러분에게 나누어준 참고자료에도 있는 내용이에요. 함께 살펴보면, 송서와 양서에 각각 '백제가 요서지방을 점령했다‘라는 기록이 들어있어요. 바로 근초고왕 시기에 요서지방에 진출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자료이지요. 물론 이것이 진짜인지는 정확하게 알아봐야 할 문제지만, 이러한 기록을 통해서 얼마나 백제의 진출이 활발했는지 알 수 있겠지요? 나중에 문화 부분에서 배우겠지만, 이 시기에 백제는 일본에게도 많은 문화를 전해주게 되요.
◎고구려는(c) 지도를 보면 국내성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정복활동을 나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세기의 광개토대왕의 정복활동은 광개토대왕릉비, 호우명 그릇을 통해 알 수 있어요. 자료가 있으니, 간단히 살펴볼게요. 먼저 여러분의 참고자료에도 나와 있는 광개토대왕릉비의 비문의 일부를 보세요. 요즘 TV에도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해서 많이 나오죠? 예를 들어 옛날에 한반도의 남쪽을 일본이 점령했다든지 등의. 그것에 관한 기록이 바로 이 비문의 내용이에요. 윗줄에 보면, 일본이 신묘년에 백제, 신라를 비롯해 신민으로 삼았다. 라는 기록이 있잖아요? 바로 이것을 두고 일본은 삼국의 일부를 주장하고 나선 것이에요. 이에 대한 내용은 시간이 되면, 여러분과 함께 토론을 해 봐도 괜찮을 것 같아요. 그리고 다음으로 호우명 그릇이에요.(c) 문화 부분에서도 다룰 것이지만, 호우명 그릇은 그릇 아래에 바로, 이러한 글귀가 있어요. 바로 이 그릇은 5세기 당시의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알려주고, 고구려가 신라에게 영향을 미칠 정도로 강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지요. 아무튼, 광개토대왕릉비는(c) 집안 지역에 세워져 있어서, 여기까지 고구려가 지배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다음으로 아들인 장수왕은 한강유역까지 차지하게 되는데요, 지금 충주에 있는 중원고구려비가 이러한 한강유역 차지를 기념하는 비석이라고 할 수 있지요. 여하튼 이러한 엄청남 정복활동은 백제와 신라에게 위험이 되고, 백제는 웅진으로 천도하고 신라와 동맹을 맺는 상황이 벌어지게 됩니다.
◎그러나 신라가 6세기에 들어서 중앙집권국가의 기틀이 어느정도 잡히자, 본격적으로 정복활동에 뛰어들게 됩니다.(c) 지도를 보면, 꽤 많은 영토를 차지하죠. 특히 진흥왕은 남쪽으로는 대가야를 정복하고,(c) 북쪽으로는 나제동맹을 깨뜨리면서까지 한강유역을 점령합니다. 진흥왕의 정복활동의 발자취는 바로(c) 진흥왕 순수비를 통해 알 수 있어요. 단양적성비도 한강 유역을 차지하고 기념하기 위해 만든 것이지요. 암튼 이렇게 정복활동에 나선 신라는 더욱 승승장구하여 7C에 이르면 삼국통일까지 노리게 될 정도로 성장하게 됩니다!
*불교의 수용!
◎자, 그럼 고대국가의 중앙집권화의 특징 마지막을 살펴보겠습니다.(c) 이 사진을 보고 무엇이 떠오르나요?
◎맞아요, 불교입니다. 불상이지요?(c). 삼국은 중앙집권화 된 국가를 만들기 위해 불교를 수용했어요. 배경을 살펴봅시다.
(c) 그림의 종교들은 어느 시대에 유행하던 것인가요?
◎맞아요, 바로 고대국가가 세워지기 전 한반도 국가들내에서 유행하던 종교들입니다. 이들 원시종교는 각 부족마다 다양했어요. 따라서 종교가 다른 만큼 서로를 이해하기에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고, 더군다나 통합은 힘들었겠지요. 중앙집권화 된 국가를 만들려던 삼국의 왕들도 이 문제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어요. 사람들이 종교가 다르면 잘 뭉치지 않으려고 했거든요.(c) 그래서, 이 들 종교를 모두 통합할 수 있는 종교를 국교로 삼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외래종교인 (c) 불교가 수용이 된 것이지요. 삼국에서 불교는 각각 고구려는 소수림왕이, 백제는 근초고왕이, 신라는 법흥왕이 불교를 받아들이게 되요. 불교는 이 시기에 들어온 이후 삼국에서 큰 영향을 끼치게 되요. 대중종교 뿐만 아니라, 호국종교로서의 역할도 하고, 심지어 왕권을 높여주는 역할도 하지요. 바로(c) 불교의 왕즉불 사상이 이러한 역할을 합니다. 왕은 곧 부처라는 말로, 왕을 대하는 것이 부처와 같아야 한다는 말이지요. 왕권을 굉장히 높여주겠죠? 이 때문에, 삼국의 왕들이 불교를 수용한 측면도 있었을 거에요.
◎연맹국가요.
◎불교요.
◎아마도, 선사시대에 유행했던 종교를 말하는 것 같아요.
20‘
* 전 시간에 배운 내용을 상기한다.
*고대 국가의 중앙집권화의 크게 4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유의점은, 각 부분이 시간 순서에 따라 이루어진 것은 아니라는 것을 상기시킬 필요가 있다.
*국가 체제 정비는 고구려가 먼저 였음을 반드시 상기시킨다.
*중앙집권화가 왕권강화의 측면도 있지만, 귀족의 권한도 여전히 강했음을 강조한다.
*지방조직과 군사조직의 일치만 강조해도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 지도를 통해 삼국의 정복활동에 대해 살펴보고, 학생의 이해를 돕는다.
*사료를 통해 백제의 대외활동에 대해 알아본다.
*사료를 통해 고구려의 정복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유발과, 문화 부분에 나올 사료까지 다룸으로써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을 총체적으로 다룬다.
*6세기의 신라 비석의 사진을 보여주면서, 먼저 사진에 익숙해지도록 도와주며, 나중에 문제와 연관지어 나올 것을 대비해 미리 보여준다.
*불상의 사진으로 주의를 끈다.
*전 시간에 배운 내용을 상기한다.
배운것 정리해보기
◎자, 그러면 배운 것을 여러분과 함께 정리해봅시다
(학생들에게 돌아가면서 질문을 하며 정리한다)
◎학생은 대답한다.
7‘
* 한 문제씩돌아가면서 묻는다. 수업내용을 한 번에 정리할 수 있다. 두 번째 문제의 경우 한 토막의 순서가 시간 순서와 같지 않고, 수업 내용에 따라 나열했음을 강조한다.
다음차시 예고
인사
◎다음 시간에 배울 것을 이야기 하겠습니다.
(다음 차시를 예고한다)
◎수고했어요.
◎학생은 잘 듣는다.
3‘
*다음 차시를 예고해서, 미리 교과서를 읽어오도록 부탁한다.
◎백제는 4세기의 근초고왕이 정복활동에 있어서 가장 전성기입니다. 지도를 보면(c) 3갈래로 나누어져 진출하고 있죠? 근초고왕의 업적을 살펴봐도(c) 이러한 정복활동이 나타납니다. 이 후에는 고구려와 신라가 워낙 뚜렷하게 정복활동을 하는 바람에 제대로 된 정복이 어렵게 되지요.
다음에 보여주는 자료는 여러분에게 나누어준 참고자료에도 있는 내용이에요. 함께 살펴보면, 송서와 양서에 각각 '백제가 요서지방을 점령했다‘라는 기록이 들어있어요. 바로 근초고왕 시기에 요서지방에 진출했다는 것을 증명하는 자료이지요. 물론 이것이 진짜인지는 정확하게 알아봐야 할 문제지만, 이러한 기록을 통해서 얼마나 백제의 진출이 활발했는지 알 수 있겠지요? 나중에 문화 부분에서 배우겠지만, 이 시기에 백제는 일본에게도 많은 문화를 전해주게 되요.
◎고구려는(c) 지도를 보면 국내성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정복활동을 나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5세기의 광개토대왕의 정복활동은 광개토대왕릉비, 호우명 그릇을 통해 알 수 있어요. 자료가 있으니, 간단히 살펴볼게요. 먼저 여러분의 참고자료에도 나와 있는 광개토대왕릉비의 비문의 일부를 보세요. 요즘 TV에도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해서 많이 나오죠? 예를 들어 옛날에 한반도의 남쪽을 일본이 점령했다든지 등의. 그것에 관한 기록이 바로 이 비문의 내용이에요. 윗줄에 보면, 일본이 신묘년에 백제, 신라를 비롯해 신민으로 삼았다. 라는 기록이 있잖아요? 바로 이것을 두고 일본은 삼국의 일부를 주장하고 나선 것이에요. 이에 대한 내용은 시간이 되면, 여러분과 함께 토론을 해 봐도 괜찮을 것 같아요. 그리고 다음으로 호우명 그릇이에요.(c) 문화 부분에서도 다룰 것이지만, 호우명 그릇은 그릇 아래에 바로, 이러한 글귀가 있어요. 바로 이 그릇은 5세기 당시의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알려주고, 고구려가 신라에게 영향을 미칠 정도로 강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지요. 아무튼, 광개토대왕릉비는(c) 집안 지역에 세워져 있어서, 여기까지 고구려가 지배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다음으로 아들인 장수왕은 한강유역까지 차지하게 되는데요, 지금 충주에 있는 중원고구려비가 이러한 한강유역 차지를 기념하는 비석이라고 할 수 있지요. 여하튼 이러한 엄청남 정복활동은 백제와 신라에게 위험이 되고, 백제는 웅진으로 천도하고 신라와 동맹을 맺는 상황이 벌어지게 됩니다.
◎그러나 신라가 6세기에 들어서 중앙집권국가의 기틀이 어느정도 잡히자, 본격적으로 정복활동에 뛰어들게 됩니다.(c) 지도를 보면, 꽤 많은 영토를 차지하죠. 특히 진흥왕은 남쪽으로는 대가야를 정복하고,(c) 북쪽으로는 나제동맹을 깨뜨리면서까지 한강유역을 점령합니다. 진흥왕의 정복활동의 발자취는 바로(c) 진흥왕 순수비를 통해 알 수 있어요. 단양적성비도 한강 유역을 차지하고 기념하기 위해 만든 것이지요. 암튼 이렇게 정복활동에 나선 신라는 더욱 승승장구하여 7C에 이르면 삼국통일까지 노리게 될 정도로 성장하게 됩니다!
*불교의 수용!
◎자, 그럼 고대국가의 중앙집권화의 특징 마지막을 살펴보겠습니다.(c) 이 사진을 보고 무엇이 떠오르나요?
◎맞아요, 불교입니다. 불상이지요?(c). 삼국은 중앙집권화 된 국가를 만들기 위해 불교를 수용했어요. 배경을 살펴봅시다.
(c) 그림의 종교들은 어느 시대에 유행하던 것인가요?
◎맞아요, 바로 고대국가가 세워지기 전 한반도 국가들내에서 유행하던 종교들입니다. 이들 원시종교는 각 부족마다 다양했어요. 따라서 종교가 다른 만큼 서로를 이해하기에 어려움을 겪었을 것이고, 더군다나 통합은 힘들었겠지요. 중앙집권화 된 국가를 만들려던 삼국의 왕들도 이 문제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어요. 사람들이 종교가 다르면 잘 뭉치지 않으려고 했거든요.(c) 그래서, 이 들 종교를 모두 통합할 수 있는 종교를 국교로 삼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외래종교인 (c) 불교가 수용이 된 것이지요. 삼국에서 불교는 각각 고구려는 소수림왕이, 백제는 근초고왕이, 신라는 법흥왕이 불교를 받아들이게 되요. 불교는 이 시기에 들어온 이후 삼국에서 큰 영향을 끼치게 되요. 대중종교 뿐만 아니라, 호국종교로서의 역할도 하고, 심지어 왕권을 높여주는 역할도 하지요. 바로(c) 불교의 왕즉불 사상이 이러한 역할을 합니다. 왕은 곧 부처라는 말로, 왕을 대하는 것이 부처와 같아야 한다는 말이지요. 왕권을 굉장히 높여주겠죠? 이 때문에, 삼국의 왕들이 불교를 수용한 측면도 있었을 거에요.
◎연맹국가요.
◎불교요.
◎아마도, 선사시대에 유행했던 종교를 말하는 것 같아요.
20‘
* 전 시간에 배운 내용을 상기한다.
*고대 국가의 중앙집권화의 크게 4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유의점은, 각 부분이 시간 순서에 따라 이루어진 것은 아니라는 것을 상기시킬 필요가 있다.
*국가 체제 정비는 고구려가 먼저 였음을 반드시 상기시킨다.
*중앙집권화가 왕권강화의 측면도 있지만, 귀족의 권한도 여전히 강했음을 강조한다.
*지방조직과 군사조직의 일치만 강조해도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 지도를 통해 삼국의 정복활동에 대해 살펴보고, 학생의 이해를 돕는다.
*사료를 통해 백제의 대외활동에 대해 알아본다.
*사료를 통해 고구려의 정복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유발과, 문화 부분에 나올 사료까지 다룸으로써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을 총체적으로 다룬다.
*6세기의 신라 비석의 사진을 보여주면서, 먼저 사진에 익숙해지도록 도와주며, 나중에 문제와 연관지어 나올 것을 대비해 미리 보여준다.
*불상의 사진으로 주의를 끈다.
*전 시간에 배운 내용을 상기한다.
배운것 정리해보기
◎자, 그러면 배운 것을 여러분과 함께 정리해봅시다
(학생들에게 돌아가면서 질문을 하며 정리한다)
◎학생은 대답한다.
7‘
* 한 문제씩돌아가면서 묻는다. 수업내용을 한 번에 정리할 수 있다. 두 번째 문제의 경우 한 토막의 순서가 시간 순서와 같지 않고, 수업 내용에 따라 나열했음을 강조한다.
다음차시 예고
인사
◎다음 시간에 배울 것을 이야기 하겠습니다.
(다음 차시를 예고한다)
◎수고했어요.
◎학생은 잘 듣는다.
3‘
*다음 차시를 예고해서, 미리 교과서를 읽어오도록 부탁한다.
추천자료
헌법과 통치구조
프랑스의 통치구조
상왕조의 건립과 통치구조
[일본 천황][일본 천황제][일본 상징천황제][천황대제]일본 천황(천황제) 관련 신화, 일본 천...
2010년 2학기 통치의기본구조 중간시험과제물 C형(양원제와 단원제비교)
2011년 2학기 통치의기본구조 중간시험과제물 D형(국회의원의특권)
2011년 2학기 통치의기본구조 중간시험과제물 B형(사법권의범위와한계)
북한의 통치구조와 조직구성도 및 당,군의 성격 조사분석
2012년 2학기 통치의기본구조 중간시험과제물 D형 (국회의원의 특권)
2012년 2학기 통치의기본구조 중간시험과제물 B형 (사법권의 범위와 한계)
2014년 2학기 통치의기본구조 중간시험과제물 E형(국회의원의 특권)
2014년 2학기 통치의기본구조 중간시험과제물 C형(사법권의 범위와 한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