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t bagger), 에잇 타이머(Eight timer)
9 나인 베거(Nine bagger), 나인 타이머(Nine timer)
10 텐 베거(Ten bagger), 텐 타이머(Ten timer)
11 일레븐 베거(Eleven bagger), 일레븐 타이머(Eleven timer)
12 투웰브 베거(Twelve bagger), 투웰브 타이머(Twelve timer)
5. 레포트 작성한 소감
평소에 볼링을 자주 즐기는 편은 아니었지만, 2학년 1학기 때 우연히 오랜만에 만난 동기들과 볼링을 처음으로 쳐봤고, 그 후에 교회에서도 몇 번 치면서 재미를 느끼게 되어 이번 학기에 볼링 수업을 신청하게 되었다. 평소 스포츠를 즐길 때는 축구, 야구, 테니스, 농구 등 한 스포츠에 빠질 때 마다 방송되는 중계들은 챙겨 보며 해설자를 통해 룰을 배워가는 편이었는데, 이번 볼링은 그 전에 수업을 통해 룰을 다 익히게 되어 중계방송을 보게 되거나 볼링을 즐길 때 더욱 쉽게 즐기게 될 것 같아서 만족스럽다.
레포트에 언급된 것처럼 나도 볼링의 역사가 상당히 짧을 줄 알았는데 굉장히 오랜 역사를 가진 스포츠라는 에서 놀랐고, 볼링을 칠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던 점수계산법을 완벽하게 익히게 되어 굉장히 유익했다. 하지만 볼링의 룰을 조사할 때는, 아마도 선수들의 대회 룰이어서 그런지, 평소에 치듯이 한번씩 번갈아가며 치는게 아니라 한 프레임씩 번갈아 가면서 치는 점은 조금 의아하긴 했지만 선수들이라면 아마 스트라이크를 많이 칠 것이므로 어느정도 이해는 된다. 하지만 아마추어들은 볼링장 예절정도만 잘 지키면 될 거 같다. 아 룰을 조사하고 레포트를 작성하고 나서 생긴 궁금증인데, 오픈과 미스가 비슷한 의미인데 미묘한 차이가 있는 것인지, 같은 의미인지는 궁금하다.
이번 볼링 수업과 레포트를 통해 테니스나 수영 등 다른 스포츠 과목에도 학점의 여유만 된다면 도전해 볼 마음을 먹게 되었다. 학기 마칠 때 까지, 그리고 그 후에도 계속 재미있게 볼링을 즐기고 싶다.
6. 레포트에 사용되었지만 설명되지 않은 용어들
⑴레인 볼의 경로. 가장 뒤의 볼이 돌아오는 곳부터 핀이 있는 끝까지를 말한다.
⑵파울라인 어프로치의 끝 부분으로 밟으면 파울이 되어 점수가 무효화 된다.
⑶어프로치 볼이 돌아오는 가장 뒷부분부터 파울라인까지의 레인부분.
⑷볼 데크 공이 돌아와서 올려져 있는 곳.
⑸거터 레인의 좌우 끝으로 공이 빠지는 홈이다.
9 나인 베거(Nine bagger), 나인 타이머(Nine timer)
10 텐 베거(Ten bagger), 텐 타이머(Ten timer)
11 일레븐 베거(Eleven bagger), 일레븐 타이머(Eleven timer)
12 투웰브 베거(Twelve bagger), 투웰브 타이머(Twelve timer)
5. 레포트 작성한 소감
평소에 볼링을 자주 즐기는 편은 아니었지만, 2학년 1학기 때 우연히 오랜만에 만난 동기들과 볼링을 처음으로 쳐봤고, 그 후에 교회에서도 몇 번 치면서 재미를 느끼게 되어 이번 학기에 볼링 수업을 신청하게 되었다. 평소 스포츠를 즐길 때는 축구, 야구, 테니스, 농구 등 한 스포츠에 빠질 때 마다 방송되는 중계들은 챙겨 보며 해설자를 통해 룰을 배워가는 편이었는데, 이번 볼링은 그 전에 수업을 통해 룰을 다 익히게 되어 중계방송을 보게 되거나 볼링을 즐길 때 더욱 쉽게 즐기게 될 것 같아서 만족스럽다.
레포트에 언급된 것처럼 나도 볼링의 역사가 상당히 짧을 줄 알았는데 굉장히 오랜 역사를 가진 스포츠라는 에서 놀랐고, 볼링을 칠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던 점수계산법을 완벽하게 익히게 되어 굉장히 유익했다. 하지만 볼링의 룰을 조사할 때는, 아마도 선수들의 대회 룰이어서 그런지, 평소에 치듯이 한번씩 번갈아가며 치는게 아니라 한 프레임씩 번갈아 가면서 치는 점은 조금 의아하긴 했지만 선수들이라면 아마 스트라이크를 많이 칠 것이므로 어느정도 이해는 된다. 하지만 아마추어들은 볼링장 예절정도만 잘 지키면 될 거 같다. 아 룰을 조사하고 레포트를 작성하고 나서 생긴 궁금증인데, 오픈과 미스가 비슷한 의미인데 미묘한 차이가 있는 것인지, 같은 의미인지는 궁금하다.
이번 볼링 수업과 레포트를 통해 테니스나 수영 등 다른 스포츠 과목에도 학점의 여유만 된다면 도전해 볼 마음을 먹게 되었다. 학기 마칠 때 까지, 그리고 그 후에도 계속 재미있게 볼링을 즐기고 싶다.
6. 레포트에 사용되었지만 설명되지 않은 용어들
⑴레인 볼의 경로. 가장 뒤의 볼이 돌아오는 곳부터 핀이 있는 끝까지를 말한다.
⑵파울라인 어프로치의 끝 부분으로 밟으면 파울이 되어 점수가 무효화 된다.
⑶어프로치 볼이 돌아오는 가장 뒷부분부터 파울라인까지의 레인부분.
⑷볼 데크 공이 돌아와서 올려져 있는 곳.
⑸거터 레인의 좌우 끝으로 공이 빠지는 홈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