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설계 프로젝트 목적 -P.3
2. 설계 프로젝트 목표 -P.3
3. 설계 프로젝트 구성요소 및 제한 요소, 구현 사양 (spec) -P.3
4. 설계 프로젝트 운영 계획 및 실적 -P.3
5. 설계프로젝트 진행 일정 계획 및 실적 -P.4
6. 관련 이론 및 상세 구현 과정 -P.4
7. 기능 블록 설계서 -P.4
8. 소자/부품 목록 -P.5
9. 설계 프로젝트 최종 구현 결과물 -P.5
10. 설계 프로젝트 결과물 성능 분석 및 평가 -P.6
11. 결과물의 개선 방안 -P.7
12. 결 론 -P.7
13. 참고문헌 -P.7
2. 설계 프로젝트 목표 -P.3
3. 설계 프로젝트 구성요소 및 제한 요소, 구현 사양 (spec) -P.3
4. 설계 프로젝트 운영 계획 및 실적 -P.3
5. 설계프로젝트 진행 일정 계획 및 실적 -P.4
6. 관련 이론 및 상세 구현 과정 -P.4
7. 기능 블록 설계서 -P.4
8. 소자/부품 목록 -P.5
9. 설계 프로젝트 최종 구현 결과물 -P.5
10. 설계 프로젝트 결과물 성능 분석 및 평가 -P.6
11. 결과물의 개선 방안 -P.7
12. 결 론 -P.7
13. 참고문헌 -P.7
본문내용
Ω
2.4KΩ
2.02mA
2.38KΩ
0.84
10.1
100Ω
5.6KΩ
0.89mA
5.52KΩ
1.14
4.45
100Ω
22KΩ
0.229mA
21.73KΩ
1.24
1.145
100Ω
30KΩ
0.168mA
29.66KΩ
1.14
0.84
100Ω
51kΩ
0.099mA
50.41KΩ
1.17
0.495
case2
기준저항
미지저항
전류 측정값
계산 저항값
오차율(%)
전력
1kΩ
100Ω
4.53mA
98.5Ω
2.04
22.65
1kΩ
1kΩ
2.533mA
0.974kΩ
2.66
12.655
1kΩ
2.2kΩ
1.489mA
2.358kΩ
6.70
7.445
1kΩ
2.4kΩ
1.492mA
2.351kΩ
2.08
7.46
1kΩ
5.6kΩ
0.869mA
5.754kΩ
2.07
4.345
1kΩ
22kΩ
0.22mA
22.727kΩ
8.20
1.1
1kΩ
30kΩ
0.168mA
29.675kΩ
1.095
0.84
1kΩ
51kΩ
0.097mA
50.545kΩ
0.89
0.485
<전압측정기>
미지전압
저항1
측정전류
계산 전압
오차율 (%)
1V
100Ω
1.01mA
1.12V
1.2
2V
100Ω
2.034mA
2.08V
1.7
3V
100Ω
3.057mA
3.1V
1.9
4V
100Ω
4.095mA
4.11V
2.4
5V
100Ω
5.076mA
5.1V
1.5
6V
100Ω
6.09mA
6.14V
1.5
7V
100Ω
7.09mA
7.13V
1.3
8V
100Ω
8.08mA
8.1V
0.9
9V
100Ω
9.04mA
9.18V
0.5
11. 결과물의 개선 방안
<저항측정기>
제한 요소를 만족시키기 위해 100Ω, 1kΩ을 쓰게 되었고, 저항을 적게 사용해보니 오차율이 일정치 않게 나왔다. 측정 저항값과 계산 저항값의 오차율을 최대한 적게 나오게 개선하기 위해서 멀티미터를 측정할 때 전류측정의 범위를 최대한 작은 단위까지 측정하였다.
<전압측정기>
1kΩ 이상의 저항을 사용하지 못하는 제한 요소를 만족하기 위해 더 큰 저항을 사용하지 못해 다양한 측정을 하지 못하였다. 일정한 전압을 주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Function generator에서 나오는 전압을 조절하는데 초점을 두어서 오차율을 최대한 줄였다.
12. 결 론
이번 프로젝트로 인해서 다시금 옴의 법칙을 제대로 알게 되었다. 그 중에서 가장 오차가 적고 소자를 적게 써야 된다는 전제 하에 디자인 구현 시 힘든 점이 있었다. 각각의 저항에 따른 오차율이 저하의 크기에 따라 일정하게 나오지 않았다. 저항측정기에서 이론상 기준 저항 값에서 미지 저항 값이 멀어질수록 오차율이 커져야 하는데 실험은 그렇지 않았다. FUNCTION GENERATOR 내부의 저항도 있고 멀티미터 내부의 저항도 있기 때문이다. 저항 값이 증가할수록 MULTIMETER의 측정 단위를 고려하여 측정하니 오차율이 미지 저항값이 증가할수록 오차율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다.
13. 참고문헌
-Web Site (Naver, Google, Alldata 등…)
-회로해석
-강의자료
2.4KΩ
2.02mA
2.38KΩ
0.84
10.1
100Ω
5.6KΩ
0.89mA
5.52KΩ
1.14
4.45
100Ω
22KΩ
0.229mA
21.73KΩ
1.24
1.145
100Ω
30KΩ
0.168mA
29.66KΩ
1.14
0.84
100Ω
51kΩ
0.099mA
50.41KΩ
1.17
0.495
case2
기준저항
미지저항
전류 측정값
계산 저항값
오차율(%)
전력
1kΩ
100Ω
4.53mA
98.5Ω
2.04
22.65
1kΩ
1kΩ
2.533mA
0.974kΩ
2.66
12.655
1kΩ
2.2kΩ
1.489mA
2.358kΩ
6.70
7.445
1kΩ
2.4kΩ
1.492mA
2.351kΩ
2.08
7.46
1kΩ
5.6kΩ
0.869mA
5.754kΩ
2.07
4.345
1kΩ
22kΩ
0.22mA
22.727kΩ
8.20
1.1
1kΩ
30kΩ
0.168mA
29.675kΩ
1.095
0.84
1kΩ
51kΩ
0.097mA
50.545kΩ
0.89
0.485
<전압측정기>
미지전압
저항1
측정전류
계산 전압
오차율 (%)
1V
100Ω
1.01mA
1.12V
1.2
2V
100Ω
2.034mA
2.08V
1.7
3V
100Ω
3.057mA
3.1V
1.9
4V
100Ω
4.095mA
4.11V
2.4
5V
100Ω
5.076mA
5.1V
1.5
6V
100Ω
6.09mA
6.14V
1.5
7V
100Ω
7.09mA
7.13V
1.3
8V
100Ω
8.08mA
8.1V
0.9
9V
100Ω
9.04mA
9.18V
0.5
11. 결과물의 개선 방안
<저항측정기>
제한 요소를 만족시키기 위해 100Ω, 1kΩ을 쓰게 되었고, 저항을 적게 사용해보니 오차율이 일정치 않게 나왔다. 측정 저항값과 계산 저항값의 오차율을 최대한 적게 나오게 개선하기 위해서 멀티미터를 측정할 때 전류측정의 범위를 최대한 작은 단위까지 측정하였다.
<전압측정기>
1kΩ 이상의 저항을 사용하지 못하는 제한 요소를 만족하기 위해 더 큰 저항을 사용하지 못해 다양한 측정을 하지 못하였다. 일정한 전압을 주는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Function generator에서 나오는 전압을 조절하는데 초점을 두어서 오차율을 최대한 줄였다.
12. 결 론
이번 프로젝트로 인해서 다시금 옴의 법칙을 제대로 알게 되었다. 그 중에서 가장 오차가 적고 소자를 적게 써야 된다는 전제 하에 디자인 구현 시 힘든 점이 있었다. 각각의 저항에 따른 오차율이 저하의 크기에 따라 일정하게 나오지 않았다. 저항측정기에서 이론상 기준 저항 값에서 미지 저항 값이 멀어질수록 오차율이 커져야 하는데 실험은 그렇지 않았다. FUNCTION GENERATOR 내부의 저항도 있고 멀티미터 내부의 저항도 있기 때문이다. 저항 값이 증가할수록 MULTIMETER의 측정 단위를 고려하여 측정하니 오차율이 미지 저항값이 증가할수록 오차율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다.
13. 참고문헌
-Web Site (Naver, Google, Alldata 등…)
-회로해석
-강의자료
추천자료
(예비) 중첩의 원리
멀티미터 사용법
강교량의 피로 설계 - 피로 이론(마이너 법칙), 피로 수명, 피로 설계 기준, 피로 곡선 및 구...
유도전동기에 따른 간선 및 분기회로 설계
저항회로 및 중첩의 원리
전자회로 설계 및 실습 - 예비11:CMOS Inverter, Tri-state 설계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 예비2:접촉식 초전형(Pyroelectric) 적외선 센서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 결과1,2 : Common-Source(CS) 증폭기와 Cascode 증폭기...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 결과4:스탭 모터 구동기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 - 결과5:신호발생기
ohm law(옴의 법칙) 실험 보고서
[아날로그 및 디지털회로 설계실습] (결과) 설계실습 01. Common-Source(CS)증폭기와 Cascode...
[기초실험] 마이크로미터와 버니어켈리퍼스의 사용 - 실험배경 이론, 실험 설계 및 평가
전자회로실험 - 전자회로 실험 기기의 사용법 및 저항, 콘덴서 읽는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