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계이론_사례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설계이론_사례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Mimesis and Literal Interpretation
1) Blur Building
2) TGV Station
3) Graz Kunsthaus
4) 바티리을

2 Paradoxes and Methaphors
1) Hotel II Palazzo
2) Wonder Works
3) Device to root out Evil

3 the role of nature in architecture creativity
1) RIVA SAN VITALE
2) GEOLOGY MUSEUM & VISITORS CENTER
3) 해동용궁사
4) 병산서원 만대루

본문내용

건물에 형태는 혐오스럽게, 혹은 통일감을 깨는 요소로 작용했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재는 관광객 유치와 문화 인프라 구축으로 인해 연간 100만명이상의 관광객이 들리는 그라츠시의 효자관광지가 되었다고 한다.
유선형의 검푸른 연체 동물과 같은 형태로 길쭉하게 둥그런 지붕 위는 촉수처럼 생긴 튀어나온 15개의 노즐 채광창이 있다. 이 때문에 ‘친근한 외계인(A friendly alien)’이란 애칭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자연의 사물의 형상을 따옮으로써 생기는 독특한 형상으로 그 지역의 이미지와 충돌을 일으켜 반감을 살 수도 있지만, 호기심을 불러일으켜 사람을 불러오는 이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4) 바티리을 (서울시 강남구)
위치 :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59-12
건축가 : 김동진
용도: 사무실(지하1층-4층), 단독주택(5-6층)
바티리을은 건축명에서도 알 수있듯이 한글자음 ‘ㄹ’을 모티브로 설계된 건물이다. 외관에서 보면 한글 자음 ㄱ과 ㄴ을 활용한 것을 단번에 확인할 수 있는데, 이 자음을 입면의 요소로서가 아닌 노출콘크리트로서 구조체의 역할을 하게 함으로서, 한글자음을 활용했다는 그 의도를 정확하게 전달하고자 했다.
2 Paradoxes and Methaphors
1) Hotel II Palazzo
위치 : 후쿠오카시 츄우오구 하루요시3-13-1
건축가 : Aldo Rossi(알도 로시)
용 도 : 호텔, 음식점
준 공 : 1989년
대지 면적 : 2,517.00㎡
건축 면적 : 1,425.00㎡
연면적 : 6,015.00㎡
구 조 : SRC조
층 수 : 지하 2층 지상 8층
건물의 흔한 모습을 뒤집고 이 건물의 전면 Facade에는 창이 없다. 건물로 들어가는 입구만 있을 뿐이고 의미 없는 기둥과 보만 벽에 붙은 장식을 하고 있다. 전면 Facade에 창이 있었다면 건너편의 공원과 Canal city가 한눈에 들어오는 좋은 전망을 갖게 되었을 것이다.
창이 없는 것은 전면 Facade 뿐 전면부와는 달리 측면에는 창이 있다.
일반적인 Hotel들이 1층에서 진입하는 반면, Rossi는 계단을 설치하고 계단 상부에 작은 광장을 만듦으로써 광장에서 강의 경치를 조망할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2) Wonder Works
WonderWorks는 미국에 네 곳에 위치하여 100여 가지가 넘는 재밌는 프로그램이 담긴 건물이다.
가족들의 다양한 체험을 위해 만들어진 건물인데, 건물 자체에도 재미를 부여하기 위해 건물의 형태를 뒤집어 놓은 것 같다. 프로그램상으론 역발상적이지 않지만 재미를 부여하기 위해 건물의 형태를 뒤집었다는 생각 자체가 역발상적이라고 생각한다.
내부에는 가족들이 방문하여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직접 체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되어있다.
3) Device to root out Evil
케나다 벤쿠버에 있는 거꾸로 서있는 이 특이한 교회는 세계적인 아티스트 데니스 오펜헴(Dennis Oppenheim)의 작품으로 벤쿠버의 한 아파트 단지 안에 세워져 있다.
건축물이 아닌 하나의 조형물이고 제목처럼 악마를 퇴치한다는 의미로 세웠다고 한다.
3 the role of nature in architecture creativity
1) RIVA SAN VITALE
위치: 스위스, 티치노
건축가: MARIO BOTTA
대지면적: 850㎡
규모: 지하1층, 지상 4층
연면적: 220㎡
용적: 1000㎡
주요구조: 콘크리트 블록
MARIO BOTTA의 대표 주택작으로 꼽히는 RIVA SAN VITALE는 스위스 산의 가파른 지형을 적극 활용하여 디자인 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기존의 주택과달리 주 출입구가 빨간브릿지를 통해 옥상부로 연결되어, 4층부터 지하1층까지 중앙계단을 통해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동선으로 되어있다. 앞으로는 호수가 뒤로는 산이 위치하고 있어, 산과 호수의 경계로서 존재하며 그 주변과 어우러져 녹아 내리면서도 그 존재를 확연히 드러내고있는 작품이다. 주변환경을 디자인에 적극 반영한 사례로 볼 수 있다.
2) GEOLOGY MUSEUM & VISITORS CENTER
위치 : MONS HLINT, DK
건축가 : BIG
면적 : 3000㎡
규모: 지하1층, 지상3층
BIG에서 설계한 GEOLOGY MUSEUM & VISITORS CENTER는 앞의 RIVA SAN VITALE와는 다른방법으로 지형을 활용한 작품이다. 멀리서 바라볼 때엔 이곳에 건물이 있는지조차 인식하기 힘들다. 앞의 사례가 자연과 건축사이에 순응하면서도 더욱 자신의 영역을 돋보이게 했다면, 보기의 작품은 자연안에 완벽히 순응하였다고 볼 수 있다. 기존에 있던 작은 언덕안에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의 레벨이 꼼꼼히 들어가 있으며 지형과 함께 겹겹이 쌓아올려 부족한 빛이 지하층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주변환경을 어떤 각도로 다양하게 이해할 수 있는지 보여줄 수 있는 사례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3) 해동용궁사
위치: 대한민국, 부산
완공: 1376년
용도: 사찰
해동용궁사는 양양 낙산사, 남해 보리암과 함께 해안이나 섬에 형성된 삼대 관음성지의 한 곳이다. 해동용궁사를 조사한 이유는, 우리나라의 전통건축이 가지는 배산임수의 뜻을 가장 잘 보여주는 사례이기 때문이다. 기존의 지형을 깍아내고 인위적인 건축물을 그 위에 올리는 대신,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그 사이에 지어져 산과 바다를 그대로 자신의 영역으로 끌어들였다고 볼 수 있다. 산과 물의 경계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RIVA SAN VITALE와 비슷한 경우로 보여지지만, 자재의 이용부터 처마의 모양, 단계적 분산배치를 통한 각 사찰의 배치까지 좀 더 세밀하게 자연에 순응하고자 노력한 사례이다.
4) 병산서원 만대루
위치: 대한민국, 안동
안동 병산서원 내에 위치한 만대루는 서원과
낙동강 사이에 안착하여 낙동강 일대의 풍경
을 관망하기에 좋은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위의 해동용궁사와 비슷한 사례로, 국내에서
도 전통건축의 대표적 작품으로 손꼽히고 있
다. 서원에서 바라볼 때에 어떠한 장애물없이
만대루를 정확히 관통하여 낙동강까지 시선이
이어지게 된다. 자연을 생각하는 전통건축의
분산배치를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 가격3,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6.10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16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