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인의 일상생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인의 일상생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중세인의 주거생활
 1. 주거공간의 구성
 2. 편의시설과 가구
Ⅲ. 중세인의 음식문화
 1. 음식의 귀족적 모델과 농민적 모델
 2. 음식의 도시민적 모델과 농민적 모델
Ⅳ. 중세인의 옷 문화
 1. 서민들의 옷
 2. 옷의 사회적 분화
Ⅴ. 중세인의 일상에서의 놀이문화
 1. 중세 귀족, 농민, 도시민들의 놀이
 2. 중세의 대중적인 놀이, 주사위놀이
 3. 도박행위에 대한 도시정부의 규제
Ⅵ.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변에 광대와 악사가 동원된 써커스가 흥을 돋구었고, 통속에 인식표를 넣어두고 행운을 낚는 일종의 즉석복권이 15세기에 롤렛놀이는 16세기에 사료에서 확인된다. 몇몇 기록에 의하면 활쏘기를 비롯하여 방패놀이, 칼놀이 등 살상용 무기들이 놀이에 빈번히 등장한다. 이러한 놀이들은 전쟁이나 폭력이 일상화되었던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 도시에서는 귀족이나 기사들의 문화를 모방하는 경향도 있었다. 그로 인해 사내아이들이 기사의 모형이나 목마를 갖고 놀았다. 동물의 뼈나 대리석조각으로 만든 구술을 이용한 놀이도 있었다.
2. 중세의 대중적인 놀이, 주사위놀이
중세 유럽의 일반 민중들이 가장 즐겼던 대중적인 놀이는 다음 아닌 주사위놀이였다. 이 놀이는 주사위 자체만 갖고 하는 놀이와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숫자만큼 말판을 움직여 목적지에 도달하는 놀이로 나눌 수 있다. 주사위놀이는 장기나 카드놀이와 비교할 때 훨씬 단순하여 치밀한 사고력이나 식자능력을 필요로 하지 않았고 장소의 구애를 덜 받았으므로 몇 개의 주사위만 있으면 시장, 거리, 선술집, 여관 등에서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이러한 성격 때문에 귀족은 물론이고 농민들과 여자들도 즐기게 되었다. 또한, 교회의 성직자, 수도원의 수사들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사회계층에 퍼졌다.
3. 도박행위에 대한 도시정부의 규제
놀이에 대한 제한은 교회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었는데, 이는 중세시대에 교회가 모든 종류의 세속적인 유희를 죄악으로 간주하였기 때문이다. 그 후 12세기말 이래로 도시법에서도 놀이를 제한하는 규정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재산을 날리고 빈곤에 처하게 된 도시민들이 생겨났고, 불필요한 폭력행위가 발생하였으며, 사기행위가 증가하는 등의 사태는 도시공동체의 존립을 위협하는 심각한 현상이었기 때문이었다. 도시법에서는 종종 허용된 놀이와 금지된 놀이를 구분하였는데, 대체로 장기와 같이 말판을 이용한 놀이와 카드놀이는 적은 금약의 한도 내에서 허용한 반면에 주사위놀이만은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Ⅵ. 맺음말
지금까지 중세인들의 의·식·주 생활과 놀이문화를 중심으로 그들의 일상생활에 대해 알아보았다. 중세시대는 계층의 분화가 뚜렷한 사회로서, 일상생활에서도 계층간의 그러한 차이가 두드러졌다. 이에, 중세시대의 의식주 문화에서 크게 귀족층과 서민층의 일상생활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알아보았다. 귀족들은 생활 전반에 걸쳐 풍요로운 삶을 살았으며, 농민 등의 가난한 일반 백성들은 비교적 열악한 환경에서 초라한 음식과 옷이 주어졌다.
중세시대의 일상생활에서는 계층적인 차이뿐만 아니라 지역적으로도 농촌과 도시의 환경이 대조를 이루었다. 도시민은 성 주변에서 비교적 귀족의 삶에 가까운 환경을 접하였으며 음식에 있어서도 농민들과 차이를 보였다. 평상시 도시민들은 일을 도시로 반입하여, 밀가루가 더 많이 들어간 흰 빵을 먹고, 고기 또한 더 많이 먹었다. 그에 비해 농민들은 잡곡이나 밀기울이 더 많이 들어간 빵을 먹었다.
그러나 놀이문화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계층의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비슷한 패턴의 대중적인 놀이를 즐겼던 것을 알 수 있다. 중세시대 가장 대중적인 놀이로는 주사위놀이가 있는데, 이는 도시민과 가난한 농민은 물론이고 여자, 귀족층과 기사집단, 심지어 성직자까지도 이 놀이를 즐겼다. 이로 보아 중세인들 역시 계층을 초월하여 ‘노동과 예배’ 외에 여가활동과 삶의 즐거움과 욕구에 대한 표현으로 집단적인 놀이를 즐긴 것으로 보여진다.
참고문헌
홍성표외 『서양중세사 강의』, 느티나무, 2003
박홍식 「“주사위는 던져졌다”」, 서양중세사연구 제13호 vol 135~166, 2004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6.10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17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