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시편」 우리 영혼의 해부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요약] 「시편」 우리 영혼의 해부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권으로 읽는 시편, 박영철, pp.11-58
시가문학의 고대 근동적 배경에 관한 연구, 김영진, pp.59-74.
민중의 노래 시편- 개인 탄원시를 중심으로, 임태수, pp.75-102.
시편 개인 탄원시에 나타난 시인의 하나님, 손세훈, pp.103-128.
시편의 은유이해, 이영미, pp.129-154.

본문내용

내는 대표성 은유(presentational metaphor)와 은유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개념을 도출하는 참고적 은유(representational metaphor)로 구분한다. 전자는 구체적인 객체에 근거를 두어 유추가 이루어진 지시은유(referntial metaphor)이며 후자는 추상적 개념에 근거를 둔 개념은유(conceptual metaphor)로 부른다.
중요한 점은 성서 은유를 도출하는데 문자적 의미와 유추적 의미의 상호작용을 좀 더 유연하게 살펴 정황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가능성을 배제해서는 안되며 은유를 해석하는데 맥락의 중요성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맥락은 은유의 의미를 분석하고 도출해내는데 있어서 독자가 유사성의 틀을 결정하고 두 개념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맥락인데 이것은 당대 히브리 시의 은유를 이해하는데 시간적 간극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맥락과 다른 본문들과의 상관성을 이해해야 한다.
은유의 문학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할 때 독자들은 성서기자들이 고대 근동의 다른 문헌들에 나타나는 이미지들이나 상징들을 공유했다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 그 예로 은신처로 하나님을 묘사할 때 “날개”의 은유/이미지를 들 수 있다. 궁켈은 시편 17편을 주석하면서 이집트 벽화에서 이시스(Isis)가 그 날개로 오시리스(Orisis)를 보호하는 그림을 주목하고 있다.
결국 성서의 은유는 네 가지 이론 중에서 치환이론, 상호작용이론, 맥락이론의 적절한 조화를 통해 저자의 의도를 추정할 수밖에 없고, 시대와 공간을 달리하는 고대 저자들의 은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학적, 문화적 맥락이 먼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그 실례로 논자가 시편128편에서 아내를 집안 깊숙한 곳의 포도나무에 비유한 것은 고대 이스라엘의 가부장 사회에서 아내의 가치가 자식을 낳아 대를 잇는 역할을 통해 평가되는 문화적 배경이 전제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고, 기존의 많은 주석가들이 이 은유가 어머니를 통한 은유의 유비를 끄집어내어 여성이 지은 유일한 시편으로 해석했던 시편 131편에서 논자가 말하는 은유의 초점은 이스라엘이 자신을 어머니가 아니라 어머니의 품에 안긴 아이와 유비시킴으로 하나님의 지난 은혜에 대한 감사와 이를 바탕으로 한 신뢰를 표현한 시로 해석함을 보여줌으로써 중요한 은유이론들의 적절한 조화를 통해 시편을 해석을 시도할 수 있는 방법론을 본 논문을 통해 소개받은 셈이다.
  • 가격2,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6.19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28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