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공학 실험] 인장시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초 공학 실험] 인장시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기초 공학 실험

인장시험



1. 목적
2. 실험방법
3. 실험 기구
4. 실험 이론
5. 실험 결과
6. 고찰

본문내용

응력의 상한. 통상 잔류변형이 0.03%~0.005%가 되는 때의 응력을 나타낸다.
- 비례한도 : Hook의 법칙이 성립되는 응력의 상한치로 측정정도에 의존하나 일반적으로 탄성한도와 같다고 본다.
- 항복강조 : 그림 1의 C점을 항복점이라 하고 이때 응력을 항복강도라 한다. 영구 신장을 일으키는 하중을 원단면적으로 나눈 값. 특별한 규정이 없을 때에는 그림 2와 같이 영구신장률 0.2%일 때의 하중을 기준으로 한다.
- 인장공도 : 최대 인장하중을 원 단면적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즉 공칭응력의 최대점, 그림 1의 F점의 응력이 인장강도이다.
- 연신율 : 시험편 파단후의 영구 연신율을 말한다.
- 단면수축률 : 파단 후 최소 단면적과 시편의 원래 단면적의 백분율
- 탄성계수 : 탄성영역에서의 응력과 변형률사이의 비례상수로서 그림 1의 선형구간의 기울기로 계산 할 수 있다.
5. 실험 결과
인장시험 결과 보고서
(Tensile test report)
시편번호
Specimen No.
폭*두께
(또는 직경)
w*t
(mm)
표점거리
Gauge length
(mm)
항복점
Yield stress
(MPa)
인장강도
Tensile stress
(MPa)
연신율
Elongation
(%)
단면수축률
Reduction of area
(%)
탄성계수
Young’s modulus
(MPa)
1
전 12.7
후 9.8
전 50
후 58
698.6876
922.1572
16
40.455
105845
사용규격
Applied spec.
0.2% offset yield
사용장비
Used equip
SHIMATZU 50A
비고
- 항복점 : 698.6876MPa
- 인장강도 :
- 연신율 :
- 단면 수축률 :
- 탄성계수 :
6. 고찰
- 실험에 있어 측정 오류도 무시 할 수 없을 것이다 버니어 켈리퍼스를 사용함에 있어서 끝을 이용하여 측정하지 않았고 미숙한 사용으로 인하여 오차가 발생 하였다고 생각한다. 또한 계산을 할 때 유효숫자 즉 소수점 아래의 숫자를 반올림 하였던 것도 오차의 이유가 된다. 하중 측정에 사용된 장비 자체의 오차 또한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하며, 결과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려보면 책에서 본 그래프와 같이 매끄러운 곡선의 형태를 하고 있지 않다. 5000개 이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략적인 결과를 분석한 것이므로 각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한 값에서의 오차는 매우 클 수 있다고 생각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6.23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31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