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아니거든. 그걸 자꾸 드러내고 밝혀지고 함으로써 아픔을 치유해야 지." 다큐 ‘오월애’에서 점점 잊혀져가는 이야기를 다시 드러낸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 아픔은 숨긴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상호간의 대화를 통해서 치유되어야한다. 가해자역할을 했던 과거의 계엄군은 "‘죄송합니다’라는 말하고, 꼭 하고 싶은 말이 ‘고맙습니다’ 라는 말을 하고 싶어요. 광주 항쟁은 나에게 새로운 삶을 살도록 도와주었으니까. 다 약속할 수 없지만 이분들에게 약속한 삶을 꼭 대신 살아야죠." 라고 말한다. 이처럼 과거의 일을 반성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5월의 항쟁은 언젠가 치유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 나레이션의 말처럼 나는 5월의 기억을 가슴에 안고 살아가는 이야기가 우리의 가슴에서 계속 살아남기를 소망해본다.
추천자료
광주학생운동의 성격과 역사적 의의
사회운동과 시민사회의 민주화
광주항쟁과 한국정치의 민주화
경제 , 민주화 운동 평가
제3세계 민주화 운동(스페인, 아르헨티나)
한국의 민주화 10년, 그리고 환경운동연합과 관련한 직접방문 분석 고찰 자료
[광주광역시][광주시]광주광역시의 지명유래와 특성, 광주광역시의 청년회활동과 청년운동가,...
제 3세계 민주화 운동
함석헌의 씨알사상이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미친 영향
박정희의 정치와 그 시대의 민주화 운동에 관하여
[정권교체(정부교체), IMF금융위기(IMF경제위기)]정권교체(정부교체)와 민주화, 정권교체(정...
한국시민사회의 특성, 형성, 한국시민사회의 성장, 한국시민사회의 민주화, 한국시민사회의 ...
6월 민주화 운동에 대해서
정치발전론- 보수적 민주주의의 기원,조숙한 민주주의,운동에 의한 민주주의,민주화 이행,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