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25.4237
- 기본상태 - 스프링 2개 추가한 상태
변위(mm)
속도(rpm)
5
122
12
136.6
22
145.3
35
150.2
56
163.5
20
178.5
10
200.3
8
234.6
변위(mm)
속도(rpm)
5
122
20
129
6
140
3
149.9
1
163
8
178.3
11
184.7
26
203.8
6
254.6
5. 토의
- 동적 실험은 진동하는 물체에 흡진기를 설치하고 공진진동수를 찾은 후 추가로 무게추와 스프링을 매달아 공진진동수에서 공진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실험으로 무게추와 스프링의 개수를 잘 선택하여야 한다. 우리 조는 기본 상태에서 공진진동수를 측정한 결과 17.09rad/s라는 값을 얻어 무게추는 추가로 달지 않고 스프링만 2개 추가하였다. 추가한 상태에서 실험을 하고 얻은 데이터를 보니 공진진동수 근처에서는 변위가 큰 폭으로 감소하지만 변위가 약간의 상승하는 구간이 두 개가 나왔다. 물론 정확히 같은 회전수에서는 아니었지만 이론 그래프에서 봤던 구간과 비슷한 구간에서 변위가 상승 및 하강 하였다. 흡진기가 진동을 하면서 실험장치와 부딪혀서 생기는 마찰과 진동이 오차의 한 원인이고, 스프링을 추가로 달면서 고정하는 부분과 생기는 마찰과 진동이 또한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변위를 측정할 때 달려있는 자로 사람의 눈으로 눈금을 읽어야 하므로 정확한 값의 측정이 어려웠던 것도 하나의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6. 결론
- 마지막 실험이라는 생각에 최선을 다하여 변수를 통제하려고 했지만 역시나 오차가 발생하고 말았지만 맨 처음 실험을 할 때와는 다르게 점점 실험을 거듭해갈수록 실험 장치에 조금씩 익숙해져갔다. 기본 상태에서 얻은 공진이 일어나는 회전수 163rpm을 환산한 값인 = 17.09rad/s, = 292.07를 토대로 무게추를 달지 않고 스프링 2개를 달았을 때의 값인 288.44rad/s로 선택하여 강성(k)값은 128N/M로 선택하여 실험을 했다. 그 결과 기존의 공진이 일어났던 회전수 163rpm에서는 변위가 큰 폭으로 줄고 그 외의 두 회전수 129rpm, 203.8rpm에서 변위가 약간 상승했다. 이것으로 흡진기를 추가함으로써 공진이 일어날 때의 변위를 큰 폭으로 줄일 수 있지만 다른 두 회전수에서 변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 흡진기를 사용할 때는 이것저것 상황을 잘 판단하여 사용해야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기본상태 - 스프링 2개 추가한 상태
변위(mm)
속도(rpm)
5
122
12
136.6
22
145.3
35
150.2
56
163.5
20
178.5
10
200.3
8
234.6
변위(mm)
속도(rpm)
5
122
20
129
6
140
3
149.9
1
163
8
178.3
11
184.7
26
203.8
6
254.6
5. 토의
- 동적 실험은 진동하는 물체에 흡진기를 설치하고 공진진동수를 찾은 후 추가로 무게추와 스프링을 매달아 공진진동수에서 공진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실험으로 무게추와 스프링의 개수를 잘 선택하여야 한다. 우리 조는 기본 상태에서 공진진동수를 측정한 결과 17.09rad/s라는 값을 얻어 무게추는 추가로 달지 않고 스프링만 2개 추가하였다. 추가한 상태에서 실험을 하고 얻은 데이터를 보니 공진진동수 근처에서는 변위가 큰 폭으로 감소하지만 변위가 약간의 상승하는 구간이 두 개가 나왔다. 물론 정확히 같은 회전수에서는 아니었지만 이론 그래프에서 봤던 구간과 비슷한 구간에서 변위가 상승 및 하강 하였다. 흡진기가 진동을 하면서 실험장치와 부딪혀서 생기는 마찰과 진동이 오차의 한 원인이고, 스프링을 추가로 달면서 고정하는 부분과 생기는 마찰과 진동이 또한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변위를 측정할 때 달려있는 자로 사람의 눈으로 눈금을 읽어야 하므로 정확한 값의 측정이 어려웠던 것도 하나의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6. 결론
- 마지막 실험이라는 생각에 최선을 다하여 변수를 통제하려고 했지만 역시나 오차가 발생하고 말았지만 맨 처음 실험을 할 때와는 다르게 점점 실험을 거듭해갈수록 실험 장치에 조금씩 익숙해져갔다. 기본 상태에서 얻은 공진이 일어나는 회전수 163rpm을 환산한 값인 = 17.09rad/s, = 292.07를 토대로 무게추를 달지 않고 스프링 2개를 달았을 때의 값인 288.44rad/s로 선택하여 강성(k)값은 128N/M로 선택하여 실험을 했다. 그 결과 기존의 공진이 일어났던 회전수 163rpm에서는 변위가 큰 폭으로 줄고 그 외의 두 회전수 129rpm, 203.8rpm에서 변위가 약간 상승했다. 이것으로 흡진기를 추가함으로써 공진이 일어날 때의 변위를 큰 폭으로 줄일 수 있지만 다른 두 회전수에서 변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 흡진기를 사용할 때는 이것저것 상황을 잘 판단하여 사용해야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