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택동과 그의 사상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택동과 그의 사상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대거 복권되면서 모택동사상과 모택동의 공적에 대하여 광범위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실용주의 지도자들의 모택동사상에 대한 비판과 재평가운동은 1981년 6월에 개최된 중공당 제11기 6중 전회에서 ‘건국 이래 당의 약간의 역사문제에 대한 결의’에 반영되었다.
이 ‘역사결의’에 의하면 중국공산혁명과정과 사회주의 개조가 완결된 1956년 제 8차 전당대회까지의 모택동의 공로는 부정할 수 없지만, 그 이후에 모택동은 여러 가지 오류를 범했다는 것이다. 특히 모택동의 계급투쟁에 관한 이론, 계속혁명론, 그리고 자본주의의 부활에 관한 경고등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기본정신에 위배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모택동사상의 오류로 말미암아 문화혁명과 같은 ‘대재난’이 초래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실용주의 지도자들은 중국사회에서 계급간의 모순은 사실상 주요한 모순이 아니며, 오히려 “인민의 나날이 증대하는 물질적, 문화적 욕구와 사회생산력의 발전과 4대 현대화의 달성이 당과 국가의 최대 최고의 목표라고 선언하였다.
모택동 사상의 급진적인 측면은 오늘날 혹독한 대상이 되고 있으며, 더 이상 당과 국가의 지도이념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국의 아버지로서 모택동은 개인에 대한 대중들의 지지는 여전히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참고문헌
김영준 『모택동사상과 등소평의 사회주의』 아세아문화사, 1985
H. G. Creel 『중국사상의 이해: 공자로부터 모택동에 이르기까지』 경문사, 1989
은종필 『모택동을 알면 중국이 보인다』 유레카미디어, 1996
필검횡 『모택동 사상과 중국철학』 예문서원, 2000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6.29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42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