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대거 복권되면서 모택동사상과 모택동의 공적에 대하여 광범위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와 같은 실용주의 지도자들의 모택동사상에 대한 비판과 재평가운동은 1981년 6월에 개최된 중공당 제11기 6중 전회에서 ‘건국 이래 당의 약간의 역사문제에 대한 결의’에 반영되었다.
이 ‘역사결의’에 의하면 중국공산혁명과정과 사회주의 개조가 완결된 1956년 제 8차 전당대회까지의 모택동의 공로는 부정할 수 없지만, 그 이후에 모택동은 여러 가지 오류를 범했다는 것이다. 특히 모택동의 계급투쟁에 관한 이론, 계속혁명론, 그리고 자본주의의 부활에 관한 경고등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기본정신에 위배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모택동사상의 오류로 말미암아 문화혁명과 같은 ‘대재난’이 초래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실용주의 지도자들은 중국사회에서 계급간의 모순은 사실상 주요한 모순이 아니며, 오히려 “인민의 나날이 증대하는 물질적, 문화적 욕구와 사회생산력의 발전과 4대 현대화의 달성이 당과 국가의 최대 최고의 목표라고 선언하였다.
모택동 사상의 급진적인 측면은 오늘날 혹독한 대상이 되고 있으며, 더 이상 당과 국가의 지도이념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국의 아버지로서 모택동은 개인에 대한 대중들의 지지는 여전히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참고문헌
김영준 『모택동사상과 등소평의 사회주의』 아세아문화사, 1985
H. G. Creel 『중국사상의 이해: 공자로부터 모택동에 이르기까지』 경문사, 1989
은종필 『모택동을 알면 중국이 보인다』 유레카미디어, 1996
필검횡 『모택동 사상과 중국철학』 예문서원, 2000
이 ‘역사결의’에 의하면 중국공산혁명과정과 사회주의 개조가 완결된 1956년 제 8차 전당대회까지의 모택동의 공로는 부정할 수 없지만, 그 이후에 모택동은 여러 가지 오류를 범했다는 것이다. 특히 모택동의 계급투쟁에 관한 이론, 계속혁명론, 그리고 자본주의의 부활에 관한 경고등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기본정신에 위배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모택동사상의 오류로 말미암아 문화혁명과 같은 ‘대재난’이 초래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실용주의 지도자들은 중국사회에서 계급간의 모순은 사실상 주요한 모순이 아니며, 오히려 “인민의 나날이 증대하는 물질적, 문화적 욕구와 사회생산력의 발전과 4대 현대화의 달성이 당과 국가의 최대 최고의 목표라고 선언하였다.
모택동 사상의 급진적인 측면은 오늘날 혹독한 대상이 되고 있으며, 더 이상 당과 국가의 지도이념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국의 아버지로서 모택동은 개인에 대한 대중들의 지지는 여전히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참고문헌
김영준 『모택동사상과 등소평의 사회주의』 아세아문화사, 1985
H. G. Creel 『중국사상의 이해: 공자로부터 모택동에 이르기까지』 경문사, 1989
은종필 『모택동을 알면 중국이 보인다』 유레카미디어, 1996
필검횡 『모택동 사상과 중국철학』 예문서원, 2000
키워드
추천자료
문화 대혁명 시기의 중국 경제 - 등소평 복귀의 의의
인도의 사회 문화의 특성에 대하여
[서양문화의유산]프랑스 혁명의 의의
계몽사상과 프랑스 혁명
[인류][인류의 시작][인류의 선사문화][인류의 신체][인류의 4대혁명][인류의 공동생존][인류...
[성리학의 이해] '주자의 생애와 철학사상'에 대하여
새로운 혁명관에 대하여(클로드 마조릭)
[예술]종합예술로서의 건축, 예술의 경건성, 디지털기술의 문화예술 혁명, 고급예술과 저급예...
혁명파의 사상 - 손문 사상을 중심으로
[역사학개론] 프랑스혁명의 이상과 현실 - 자유주의 사상과 관련지어서
문화 대혁명
[교육철학 및 교육사] 지적이고 도덕적인 혁명 (지혜의 교사들, 소트라테스의 교육사상, 플라...
[관광문화론 觀光文化論] 관광혁명 - 관광혁명의 의미와 관광혁명의 변화과정(제1차 관광혁명...
조선 후기 실학에 대하여 [실학 사상 전개과정, 실학파 계보, 실학자, 실학 종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