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며, 홍수는 본류와 지류의 교차점에서 주로 일어나는 나라이기도 하다. 여기 한반도에서의 치수는 한반도의 이러한 환경에 기반을 두어야만 한다. 물론 4대강 사업에 대해 반대하는 것 이 환경 보호적 측면만을 고려한 결과는 아니다. 자연 환경 보호를 둔 논쟁은 차치하고서라도, 적어도 그 환경에 맞는 정책과 계획을 세워 강을 정비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갑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갑에, 을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을에 투자를 하고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하는데, 지금으로서는 무엇이 갑(甲)이고 무엇이 을(乙)인지도 모른 채 병(丙)에 온 나라가 들썩이고 있는 것 같다. 예를 들어보자. 만일 영산강이 다른 세 강보다 치수가 절실한 하천이고, 영산강의 호우 시와 갈수기간의 유량 불안정이 근본적으로 녹색댐 효과가 낮은 유역의 지형 환경에 기인한다면, 어째서 녹색댐 효과가 낮은지 어떻게 하면 녹색댐 효과를 극대화할지 강구해야 할 것이다. 무턱대고 보를 축조하는 것은 전혀 환경적이지 않다. 현 4대강 사업은 ‘한반도의 자연 환경 같은 건 가볍게 넘기고 오로지 다른 것들에만 시선을 집중할 때만 가능한 환경 정책’이라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추천자료
환경문제와 환경시민단체운동(ngo활동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환경문제 대응을 위한 환경정책의 새로운 과제 및 전략
[환경, 환경문제] 동양사상과 환경문제
[현대윤리학] 환경문제와 환경윤리
생태계와 환경문제발생원인과 과제 그리고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관점비교
[교회][교회 본질][교회 성직][교회 교육][교회 목회자상][교회 사회적 책임][환경문제]교회...
[환경교육][환경문제][환경교육 외국 사례][환경교육 과제]환경교육의 의미, 환경교육의 목표...
[환경교육][환경오염][환경보호][환경문제][환경보전]환경교육의 정의, 환경교육의 필요성, ...
[환경문제의 원인과 외부효과] 환경문제 발생원인과 심각성, 구조적 특성, 영향
지구환경문제와 환경위생
한국의 도시 환경문제와 환경정책
[정치생태학, 정치생태학과 정치경제학, 환경문제, 맑스주의(마르크스주의), 민족주의]정치생...
일상 생활 속의 삶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환경문제에 대한 개인적 삶의 해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