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의 문제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4대강 사업의 문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며, 홍수는 본류와 지류의 교차점에서 주로 일어나는 나라이기도 하다. 여기 한반도에서의 치수는 한반도의 이러한 환경에 기반을 두어야만 한다. 물론 4대강 사업에 대해 반대하는 것 이 환경 보호적 측면만을 고려한 결과는 아니다. 자연 환경 보호를 둔 논쟁은 차치하고서라도, 적어도 그 환경에 맞는 정책과 계획을 세워 강을 정비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갑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갑에, 을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을에 투자를 하고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 하는데, 지금으로서는 무엇이 갑(甲)이고 무엇이 을(乙)인지도 모른 채 병(丙)에 온 나라가 들썩이고 있는 것 같다. 예를 들어보자. 만일 영산강이 다른 세 강보다 치수가 절실한 하천이고, 영산강의 호우 시와 갈수기간의 유량 불안정이 근본적으로 녹색댐 효과가 낮은 유역의 지형 환경에 기인한다면, 어째서 녹색댐 효과가 낮은지 어떻게 하면 녹색댐 효과를 극대화할지 강구해야 할 것이다. 무턱대고 보를 축조하는 것은 전혀 환경적이지 않다. 현 4대강 사업은 ‘한반도의 자연 환경 같은 건 가볍게 넘기고 오로지 다른 것들에만 시선을 집중할 때만 가능한 환경 정책’이라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 가격7,56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6.30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4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