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면에서 파괴가 발생하므로 최소연단거리는 Pedestal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사항 중의 하나이다.
4.3 Nut가 있는 Bolt의 설계
Anchoring 확보를 위해 끝단에 Bolt의 설치 또는 나사산에 Nut를 설치하는 경우, 파괴는 Bolt의 항복과 그림 11과 같이 기초로부터 Bolt 주위에 콘크리트 Cone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Cone은 45°각도를 이루며 Cone의 표면에서 인장파괴가 일어난다.
그림 11. Anchor의 Cone 파괴
Anchor Bolt의 하중은 철근을 통하여 전달되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Cone은 확장된다. 콘크리트의 Cone 파괴에 대한 설계는 철근의 역할을 무시하고 설계되므로, 배근되는 철근은 안전측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멘트를 받는 Base Plate와 인장력이 작용하는 Pedestal에서는 철근이 Cone 파괴의 면적에 배근되어야한다.
2.5 전단에 대한 설계
일반적으로 기둥 하부의 전단력은 축하중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저항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전단저항력은 필요치 않다. 그러나 강접합 골조, 가새가 연결된 부분 또는 인발이 걸리는 부분에서는 전단력이 마찰력을 초과하게 되고 다른 방법으로 전단력이 기초에 전달되어야 한다.
전단에 저항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마찰력의 증가, Bolt의 전단/지압, Shear Lugs, 기둥의 주각부를 기초에 매입하는 방법 등이 있다. Y
참고문헌
1.대한건축학회, "한계상태설계기준에 의한 강구조설계 예제집", 기문당, 2002.
2.대한건축학회,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규준 및 해설", 기문당, 2000.
3.대한건축학회, "강구조 한계상태 설계기준 및 해설", 기문당, 1998.
4.John T. Dewolf, David T. Ricker, "Steel Design Guide Series 1 Column Base Plates" ,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Inc., Sept. 1991.
5.Charles G. Salmon, John E. Johnson, "Steel Structure Design and Behavior", 1st edition, Harper & Row Publishers, Inc., 1990.
6.AISC, "Manual of Steel Construction", 9th edition,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Inc., 1992.
7.AISC,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Manual of Steel Construction", 1st edition,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Inc., 1986.
8.PCI, "PCI Design Handbook", 3rd edition, Prestressed Concrete Institute, 1985.
9.日本鋼構造協會, "鐵骨鐵筋콘크리트造 配筋指針(案)·同解設", 탐구문화사, 2000.
4.3 Nut가 있는 Bolt의 설계
Anchoring 확보를 위해 끝단에 Bolt의 설치 또는 나사산에 Nut를 설치하는 경우, 파괴는 Bolt의 항복과 그림 11과 같이 기초로부터 Bolt 주위에 콘크리트 Cone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Cone은 45°각도를 이루며 Cone의 표면에서 인장파괴가 일어난다.
그림 11. Anchor의 Cone 파괴
Anchor Bolt의 하중은 철근을 통하여 전달되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Cone은 확장된다. 콘크리트의 Cone 파괴에 대한 설계는 철근의 역할을 무시하고 설계되므로, 배근되는 철근은 안전측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멘트를 받는 Base Plate와 인장력이 작용하는 Pedestal에서는 철근이 Cone 파괴의 면적에 배근되어야한다.
2.5 전단에 대한 설계
일반적으로 기둥 하부의 전단력은 축하중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저항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전단저항력은 필요치 않다. 그러나 강접합 골조, 가새가 연결된 부분 또는 인발이 걸리는 부분에서는 전단력이 마찰력을 초과하게 되고 다른 방법으로 전단력이 기초에 전달되어야 한다.
전단에 저항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마찰력의 증가, Bolt의 전단/지압, Shear Lugs, 기둥의 주각부를 기초에 매입하는 방법 등이 있다. Y
참고문헌
1.대한건축학회, "한계상태설계기준에 의한 강구조설계 예제집", 기문당, 2002.
2.대한건축학회, "철골·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규준 및 해설", 기문당, 2000.
3.대한건축학회, "강구조 한계상태 설계기준 및 해설", 기문당, 1998.
4.John T. Dewolf, David T. Ricker, "Steel Design Guide Series 1 Column Base Plates" ,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Inc., Sept. 1991.
5.Charles G. Salmon, John E. Johnson, "Steel Structure Design and Behavior", 1st edition, Harper & Row Publishers, Inc., 1990.
6.AISC, "Manual of Steel Construction", 9th edition,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Inc., 1992.
7.AISC,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Manual of Steel Construction", 1st edition,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Inc., 1986.
8.PCI, "PCI Design Handbook", 3rd edition, Prestressed Concrete Institute, 1985.
9.日本鋼構造協會, "鐵骨鐵筋콘크리트造 配筋指針(案)·同解設", 탐구문화사, 2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