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려하게 된 지금, 이동 컴퓨팅에서는 트래픽의 불균형 문제를 생각해야만 한다. 데스크탑 컴퓨터에서 이루어지던 웹 브라우징 같은 것도 이제는 이동 단말에서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reverse link 로는 수십 Kbyte 정도면 되겠지만, forward link 로는 그림 등 훨씬 더 큰 트래픽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컴퓨팅 파워는 여전히 기지국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트래픽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4) CDMA의 응용
가. DS-CDMA(Qualcomm)
- Direct Sequence, Very Slow Long Code 방식
- 1.25MHz 확산대역
- 효율적인 변조 방식과 강력한 부호화(Convolutional Code, Viterbi 알고리즘, QPSK 방식 사용)
- Pilot 채널 공유(동기화, 채널 측정, 핸드오프등)
- 다중 경로 이용(Rake Receiver 사용)
- Soft.Softer Handoff(Make before Break)
- 전력 제어
- 가변 데이타율의 Vocoder(1.2~9.6Kbps)
- AMPS와 CDMA 공존 가능
나. FH-CDMA(Ericsson)
동일 셀내의 사용자간에 교란이 없으며 음성 신호의 Duty Cycle의 이용과 적응 전력 제어에 의한 용량의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GSM 방식과 매우 유사하다.
- 동일 셀내의 직교 Hopping, 타 셀간에는 임의의 Hopping(동일 셀내의 교란 제거, 전 주파수 재사용)
- Convolutional Code와 Interleaving으로 교란 감쇠
- 적어도 210KHz당 6개의 Carrier 필요
- 복수의 음성 부호화 서비스(Half Rate ~ Double Rate 음성 부호화기 사용)
- 복수의 데이타율 서비스(4.8Kbps ~ 64Kbps, 단일 Time Slot ~ 복수 Time Slot)
- ISDN 수준의 BER
- MAHO(Mobile Assisted HandOff) 기술 이용(Microcell과 Umbrella Cell간의 Handoff 용이)
- 전력의 Near/Far Problem 해결 용이
다.CDMA-IC(Interference Cancellation)
- 협대역 CDMA 방식(210KHz 주파수 대역, 사용자 수가 셀당 20으로 증가)
- 총 Bit Rate은 270Kbps
-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 방식
- Walsh 함수 이용 확산
- 16Kbps Vocoder 이용
- 음성 활동 검색에 의한 용량 증대
- 적응 전송 전력 제어
- 다중 경로 신호는 경로당(Ray-by-ray) 제거
- Interleaving은 삽입치 않으므로 Delay 낮음
라. B-CDMA(Broadband CDMA)
용량 증대를 위하여 채널당 대역폭을 10MHz로 늘인 Broadband 방식이다.
- 다른 이동통신 방식과의 상호 교란 제거
- 데이타 전송시 역방향 전송 속도는 3Mbps(2개의 T1 Line)으로 제한(동시에 46 사용자가 64Kbps로 데이타 전송 가능, 한 사용자는 1.544Mbps로 다른 23 사용자는 64Kbps로 전송 가능)
- 음성 전송시 FEC(Foward Error Correction)의 CELP(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이용(13Kbps 사용으로 음성 활동 검색을 통해 500 사용자의 동시 사용 가능)
- 다중 경로에 의한 감쇄 현상 영향 제거
- 1.9GHz 대역 사용
- 음성 전송시 Spce Diversity, Rake Receiver 불필요, 주파수 재사용 가능
5) CDMA 2000[1x]
CDMA2000 1X 서비스는 기존의 IS-95 A/B망에서 한 단계 진화한 형태로서 기존 셀룰러 및 PCS에서도 IS-95 A/B망에서 지원했던 속도(9.6kbps/64kbps)보다 훨씬 빠른 최고 153.6kbps까지 지원이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CDMA2000 1X 서비스를 통해 기존의 음성 및 WAP 서비스 품질의 향상은 물론 각종 멀티미디어서비스(AOD, VOD 등)의 제공도 가능합니다.
가. CDMA2000 1X의 특징
-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 Mobile IP 서비스 지원이 가능합니다.
- 수용용량이 약 1.5~1.7배로 증가될 수 있습니다.
- 단말기 대기시간이 2배로 증가합니다.
- 시스템 집적도 증가로 장비 설치공간이 감소됩니다.
- 무선 Data시장 활성화에 따른 단계적 투자가 가능합니다.
나. CDMA2000 1X의 활용분야
- 최대 153.6kbps의 전송속도에 의한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동영상 음악, 화상 클립, 화상대화, 화상전자메일, 사진 및 스틸사진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이 가능합니다.
- 데이터 서비스의 Mobility 구현으로 다양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영상 Contents, 대용량 데이터 전송, 실시간 전자상거래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Contents 서비스 분야로 확장이 가능합니다.
5. 결과
우리가 이번 프로젝트를 수행하고자 했던 소정의 목적은 달성했다고 본다. 이번 학기 디지털 통신시스템과 이동통신 시스템 수업을 듣고도 잘 이해하지 못했던 CDMA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더 이해할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지금에 와서 좀더 적극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지 못한데 대한 아쉬움이 남는다. 처음부터 너무나 방대한 주제를 정함으로써 보다 심도있는 과제를 수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러한 프로젝트 수행경험이 앞으로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6. 기타
-참고 사이트
http://cdma.netian.com
http://cdma01.etri.re.kr
http://rsiwin.com.ne.kr/web/cdma.htm
http://www.choimedia.com
http://archi.snu.ac.kr/jhpark/manage/study/mobile.html
http://kailua.byus.net
4) CDMA의 응용
가. DS-CDMA(Qualcomm)
- Direct Sequence, Very Slow Long Code 방식
- 1.25MHz 확산대역
- 효율적인 변조 방식과 강력한 부호화(Convolutional Code, Viterbi 알고리즘, QPSK 방식 사용)
- Pilot 채널 공유(동기화, 채널 측정, 핸드오프등)
- 다중 경로 이용(Rake Receiver 사용)
- Soft.Softer Handoff(Make before Break)
- 전력 제어
- 가변 데이타율의 Vocoder(1.2~9.6Kbps)
- AMPS와 CDMA 공존 가능
나. FH-CDMA(Ericsson)
동일 셀내의 사용자간에 교란이 없으며 음성 신호의 Duty Cycle의 이용과 적응 전력 제어에 의한 용량의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GSM 방식과 매우 유사하다.
- 동일 셀내의 직교 Hopping, 타 셀간에는 임의의 Hopping(동일 셀내의 교란 제거, 전 주파수 재사용)
- Convolutional Code와 Interleaving으로 교란 감쇠
- 적어도 210KHz당 6개의 Carrier 필요
- 복수의 음성 부호화 서비스(Half Rate ~ Double Rate 음성 부호화기 사용)
- 복수의 데이타율 서비스(4.8Kbps ~ 64Kbps, 단일 Time Slot ~ 복수 Time Slot)
- ISDN 수준의 BER
- MAHO(Mobile Assisted HandOff) 기술 이용(Microcell과 Umbrella Cell간의 Handoff 용이)
- 전력의 Near/Far Problem 해결 용이
다.CDMA-IC(Interference Cancellation)
- 협대역 CDMA 방식(210KHz 주파수 대역, 사용자 수가 셀당 20으로 증가)
- 총 Bit Rate은 270Kbps
-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 방식
- Walsh 함수 이용 확산
- 16Kbps Vocoder 이용
- 음성 활동 검색에 의한 용량 증대
- 적응 전송 전력 제어
- 다중 경로 신호는 경로당(Ray-by-ray) 제거
- Interleaving은 삽입치 않으므로 Delay 낮음
라. B-CDMA(Broadband CDMA)
용량 증대를 위하여 채널당 대역폭을 10MHz로 늘인 Broadband 방식이다.
- 다른 이동통신 방식과의 상호 교란 제거
- 데이타 전송시 역방향 전송 속도는 3Mbps(2개의 T1 Line)으로 제한(동시에 46 사용자가 64Kbps로 데이타 전송 가능, 한 사용자는 1.544Mbps로 다른 23 사용자는 64Kbps로 전송 가능)
- 음성 전송시 FEC(Foward Error Correction)의 CELP(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이용(13Kbps 사용으로 음성 활동 검색을 통해 500 사용자의 동시 사용 가능)
- 다중 경로에 의한 감쇄 현상 영향 제거
- 1.9GHz 대역 사용
- 음성 전송시 Spce Diversity, Rake Receiver 불필요, 주파수 재사용 가능
5) CDMA 2000[1x]
CDMA2000 1X 서비스는 기존의 IS-95 A/B망에서 한 단계 진화한 형태로서 기존 셀룰러 및 PCS에서도 IS-95 A/B망에서 지원했던 속도(9.6kbps/64kbps)보다 훨씬 빠른 최고 153.6kbps까지 지원이 가능한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CDMA2000 1X 서비스를 통해 기존의 음성 및 WAP 서비스 품질의 향상은 물론 각종 멀티미디어서비스(AOD, VOD 등)의 제공도 가능합니다.
가. CDMA2000 1X의 특징
-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 Mobile IP 서비스 지원이 가능합니다.
- 수용용량이 약 1.5~1.7배로 증가될 수 있습니다.
- 단말기 대기시간이 2배로 증가합니다.
- 시스템 집적도 증가로 장비 설치공간이 감소됩니다.
- 무선 Data시장 활성화에 따른 단계적 투자가 가능합니다.
나. CDMA2000 1X의 활용분야
- 최대 153.6kbps의 전송속도에 의한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동영상 음악, 화상 클립, 화상대화, 화상전자메일, 사진 및 스틸사진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이 가능합니다.
- 데이터 서비스의 Mobility 구현으로 다양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영상 Contents, 대용량 데이터 전송, 실시간 전자상거래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Contents 서비스 분야로 확장이 가능합니다.
5. 결과
우리가 이번 프로젝트를 수행하고자 했던 소정의 목적은 달성했다고 본다. 이번 학기 디지털 통신시스템과 이동통신 시스템 수업을 듣고도 잘 이해하지 못했던 CDMA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더 이해할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지금에 와서 좀더 적극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지 못한데 대한 아쉬움이 남는다. 처음부터 너무나 방대한 주제를 정함으로써 보다 심도있는 과제를 수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러한 프로젝트 수행경험이 앞으로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6. 기타
-참고 사이트
http://cdma.netian.com
http://cdma01.etri.re.kr
http://rsiwin.com.ne.kr/web/cdma.htm
http://www.choimedia.com
http://archi.snu.ac.kr/jhpark/manage/study/mobile.html
http://kailua.byus.ne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