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 오차로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처음 실험할 때 프리즘의 꼭지각 측정에서, 프리즘의 위치를 정확히 두기 위해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했었는데, 별다른 방법 없이 이것 또한 직접 각도를 여러방향에서 재어 보고 위치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어림짐작으로 각도를 맞추는 방법으로 실험을 하여서 각도가 실험 방법에서 제시된 것과는 조금이라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했을 것이다.
7. 결 론
이번 실험은 프리즘 분광계를 이용하여 프리즘의 꼭지각과 최소 편향각을 측정하여 프리즘의 굴절률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처음에 꼭지각을 측정하는 것이었는데, 여러번 측정해서 낸 평균으로, 5회 측정 평균이 59.94° 이었다. 거의 60°에 가까운 값으로 나와서 다음 실험으로 최소 편향각 실험을 하였다. 이 실험 또한 반복 실험으로 각 파장별로 평균값을 구했는데, 파장이 짧아지는 빨간색에서 보라색으로 갈 수록 그 각도가 점점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실험으로는 굴절률을 계산하였는데, 이론에서 식이 제시되어 있어서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계산하는데 수월하였다. 앞서 했던 최소 편향각 실험에서 파장이 짧아지는 보라색으로 갈 수록 그 각도가 커진 것과 마찬가지로 굴절률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마찬가지로 보라색으로 갈 수록 굴절률이 커졌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이론으로만 알고 있던 내용들, 프리즘을 통과하면서 굴절할 때 파장이 짧을수록 굴절각이 크다는 것을 직접 각도를 측정하고 계산하는 과정으로 알 수 있었다.
8. 참고문헌
http://heebok.kongju.ac.kr/experiment/optics/lw12.html
그리고 처음 실험할 때 프리즘의 꼭지각 측정에서, 프리즘의 위치를 정확히 두기 위해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했었는데, 별다른 방법 없이 이것 또한 직접 각도를 여러방향에서 재어 보고 위치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어림짐작으로 각도를 맞추는 방법으로 실험을 하여서 각도가 실험 방법에서 제시된 것과는 조금이라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했을 것이다.
7. 결 론
이번 실험은 프리즘 분광계를 이용하여 프리즘의 꼭지각과 최소 편향각을 측정하여 프리즘의 굴절률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처음에 꼭지각을 측정하는 것이었는데, 여러번 측정해서 낸 평균으로, 5회 측정 평균이 59.94° 이었다. 거의 60°에 가까운 값으로 나와서 다음 실험으로 최소 편향각 실험을 하였다. 이 실험 또한 반복 실험으로 각 파장별로 평균값을 구했는데, 파장이 짧아지는 빨간색에서 보라색으로 갈 수록 그 각도가 점점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실험으로는 굴절률을 계산하였는데, 이론에서 식이 제시되어 있어서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계산하는데 수월하였다. 앞서 했던 최소 편향각 실험에서 파장이 짧아지는 보라색으로 갈 수록 그 각도가 커진 것과 마찬가지로 굴절률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마찬가지로 보라색으로 갈 수록 굴절률이 커졌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이론으로만 알고 있던 내용들, 프리즘을 통과하면서 굴절할 때 파장이 짧을수록 굴절각이 크다는 것을 직접 각도를 측정하고 계산하는 과정으로 알 수 있었다.
8. 참고문헌
http://heebok.kongju.ac.kr/experiment/optics/lw12.htm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