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따라서 단면은 진원으로 돌아가려고 하고 굽힘은 직선으로 돌아가려고 하므로 자유단에 붙여진 관끝 쪽의 포드핀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탄성변위를 한다. 이 변위 량은 내기에 의해서 확대되어 지침의 회전 각도로 바뀌어서 지침을 호전시키므로 눈금판 위의 지침의 시도를 읽음으로써 가해진 압력을 알 수 있다. 부르동관 압력계는 미리 정해진 압력을 부르동관에 가해서 눈금 맞추기를 하고 게다가 눈금 분할이 등분 균등하게 되도록 조정되어 있으므로 지침의 시도를 직접 읽어서 유압회로의 압력을 알 수 있다.
정하중 압력계
이 압력계는 압력측정보다는 압력 검정용으로서 압력계의 교정을 위하여 많이 사용되며 다음 그림과 같다.
◎ 실험장치도
- 정하중압력계
- 부르돈관 (Bourdon tube)
- 추(KSC)
- 시료 (오일 SAE 20)
정하중압력계
부르돈관(Bourdon tube)
추(KSC)
시료(오일 SAE)
◎ 실험방법
① 시험기를 견고한 곳에 수평이 되도록 설치한다.
② 펌프의 조인상태에서 오일 저장조에 오일(SAE 20)을 넣는다.
③ 두 밸브를 열어 실린더와 압력계 연결부까지 오일이 채워지도록 한다.
④ 출구 밸브를 닫고 펌프에 오일이 유입되도록 나사를 풀어서 오일을 채운다.
⑤ 보정을 요하는 압력계(스프링저울, 변환기 등)등을 게이지 연결부에 부착 한다.
⑥ 저장조 밸브를 닫고 출구를 연다.
⑦ 적정한 중량의 추를 피스톤 위에 올려놓는다.
⑧ 펌프의 핸들을 돌려 서서히 테이블이 부상하도록 하며 테이블 하단과 지 시나사 가 일치하면 압력을 읽어 기록한다.
⑨ 위의 단계를 저압에서 고압으로 단계적으로 시험하고 다시 압력을 하강 시키며 반복 시험한다.
⑩ 시험의 종료 후 압력계 탈착전에 반드시 저장조의 밸브를 열고 오일을 회유시켜 누유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결과
①압력계 실험결과 기록표
실험일시 : 대 기 압 : mmHg
실 험 자 : 온 도 : 28.8 ℃
습 도 : %
증 압 시
감 압 시
추의 중량
KSC
게이지압력
Kgf/cm2
추의 중량
KSC
게이지압력
Kgf/cm2
0
1
70
74
7
9.5
63
67
14
17
56
60.5
21
24
49
53
28
31
42
46
35
38
35
39
42
46
28
32
49
54
21
24
56
60
14
17
63
68
7
9
70
74
0
1
◎ 그래프
- 증 감압시 그래프
이상적인 그래프로는 y=ax 이런 식의 정비례그래프가 된다.
l증압시-감압시l 이 데이터는 개인적인 오차로 볼 수 있다.
◎ 고찰
- 가장이상적인 데이터로는 위에서 말했듯이 정비례관계가 성립되는 데이터로서 추의 중량과 측정값이 일치하는 값이다. 증압시 데이터와 감압시 데이터 역시 동일해야한다. 하지만 일치하는 데이터가 나오지 않고 약간의 오차가 존재한다.
l추의중량 - 측정값l or ㅣ증압시 - 감압시ㅣ 이 오차를 개인적인 오차 혹은 기기오차 등으로 볼 수 있다 .
※오차의 발생이유
계기오차
- 측정기의 정도 결정은 KS에서는 온도 20°C, 기압 760[mmHg], 습도 58%로 규정하고 있으며 계기오차는 측정기의 구조(아베의 원리), 측정압력(사람의 힘), 측정온도(측정하는 현장이나 측정실의 온도), 측정기의 마모(측정기와 공작물의 마찰에 의한 마모) 등에 따른 오차를 말한다.
개인오차
- 시차와 함께 측정자의 미숙으로 발생하는 오차를 개인오차라고 한다. 측정기가 정확하게 치수를 지시하고 있을지라도 측정자의 부주의 때문에 생기는 오차로서, 측정자의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눈금의 읽음 값에 오차가 생기는 경우이다.
이의 방지를 위해서는 측정자의 눈의 위치는 항상 눈금판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습관을 기르도록 하여야 한다.
정하중 압력계
이 압력계는 압력측정보다는 압력 검정용으로서 압력계의 교정을 위하여 많이 사용되며 다음 그림과 같다.
◎ 실험장치도
- 정하중압력계
- 부르돈관 (Bourdon tube)
- 추(KSC)
- 시료 (오일 SAE 20)
정하중압력계
부르돈관(Bourdon tube)
추(KSC)
시료(오일 SAE)
◎ 실험방법
① 시험기를 견고한 곳에 수평이 되도록 설치한다.
② 펌프의 조인상태에서 오일 저장조에 오일(SAE 20)을 넣는다.
③ 두 밸브를 열어 실린더와 압력계 연결부까지 오일이 채워지도록 한다.
④ 출구 밸브를 닫고 펌프에 오일이 유입되도록 나사를 풀어서 오일을 채운다.
⑤ 보정을 요하는 압력계(스프링저울, 변환기 등)등을 게이지 연결부에 부착 한다.
⑥ 저장조 밸브를 닫고 출구를 연다.
⑦ 적정한 중량의 추를 피스톤 위에 올려놓는다.
⑧ 펌프의 핸들을 돌려 서서히 테이블이 부상하도록 하며 테이블 하단과 지 시나사 가 일치하면 압력을 읽어 기록한다.
⑨ 위의 단계를 저압에서 고압으로 단계적으로 시험하고 다시 압력을 하강 시키며 반복 시험한다.
⑩ 시험의 종료 후 압력계 탈착전에 반드시 저장조의 밸브를 열고 오일을 회유시켜 누유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결과
①압력계 실험결과 기록표
실험일시 : 대 기 압 : mmHg
실 험 자 : 온 도 : 28.8 ℃
습 도 : %
증 압 시
감 압 시
추의 중량
KSC
게이지압력
Kgf/cm2
추의 중량
KSC
게이지압력
Kgf/cm2
0
1
70
74
7
9.5
63
67
14
17
56
60.5
21
24
49
53
28
31
42
46
35
38
35
39
42
46
28
32
49
54
21
24
56
60
14
17
63
68
7
9
70
74
0
1
◎ 그래프
- 증 감압시 그래프
이상적인 그래프로는 y=ax 이런 식의 정비례그래프가 된다.
l증압시-감압시l 이 데이터는 개인적인 오차로 볼 수 있다.
◎ 고찰
- 가장이상적인 데이터로는 위에서 말했듯이 정비례관계가 성립되는 데이터로서 추의 중량과 측정값이 일치하는 값이다. 증압시 데이터와 감압시 데이터 역시 동일해야한다. 하지만 일치하는 데이터가 나오지 않고 약간의 오차가 존재한다.
l추의중량 - 측정값l or ㅣ증압시 - 감압시ㅣ 이 오차를 개인적인 오차 혹은 기기오차 등으로 볼 수 있다 .
※오차의 발생이유
계기오차
- 측정기의 정도 결정은 KS에서는 온도 20°C, 기압 760[mmHg], 습도 58%로 규정하고 있으며 계기오차는 측정기의 구조(아베의 원리), 측정압력(사람의 힘), 측정온도(측정하는 현장이나 측정실의 온도), 측정기의 마모(측정기와 공작물의 마찰에 의한 마모) 등에 따른 오차를 말한다.
개인오차
- 시차와 함께 측정자의 미숙으로 발생하는 오차를 개인오차라고 한다. 측정기가 정확하게 치수를 지시하고 있을지라도 측정자의 부주의 때문에 생기는 오차로서, 측정자의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눈금의 읽음 값에 오차가 생기는 경우이다.
이의 방지를 위해서는 측정자의 눈의 위치는 항상 눈금판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습관을 기르도록 하여야 한다.
소개글